이달 27일 고성 DMZ 외부 7.9㎞부터 시범운영…軍 경호지원·기존 모습 최대한 유지
"북한에 아직 통보는 안 해…DMZ 내부 시행할 때는 통보 검토"
금단의 땅 비무장지대(DMZ)가 둘레길로 개방된다.

정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통일부, 국방부, 환경부 등 5개 부처 합동 브리핑을 열어 DMZ와 연결된 3개 지역을 가칭 'DMZ 평화둘레길'로 이달 27일부터 단계적으로 개방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대상 지역은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감시초소(GP) 철거, 유해 발굴 등 긴장 완화 노력이 이뤄지고 있는 고성, 철원, 파주 등 3개 지역이다.

각 지역은 동부, 중부, 서부에서 한 곳씩 선발됐다.

이달 말 GOP(일반전초) 철책선 이남 고성 지역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한다.

상설운영 시작 시점은 미정이다.

둘레길 총연장은 고성 7.9㎞가 확정됐고 파주와 철원은 각 20㎞, 14㎞ 정도의 계획이 잡혔으나 변동 가능하다.

고성 지역은 통일전망대에서 시작해 해안 철책을 따라 금강산전망대까지 방문하는 도보 2.7㎞ 구간으로 조성한다.

통일전망대에서 금강산전망대까지 왕복 구간을 차량으로 이동하는 5.2㎞ 별도 코스도 있다.

고성 구간은 철원, 파주와 달리 DMZ 외부 코스로만 꾸려졌다.

철원과 파주는 통문을 지나 DMZ 안으로 들어가는 경로를 포함할 예정이다.

정부는 고성 구간에서 도보 코스 1일 2회 각 20명, 차량 코스 1일 2회 각 80명 등 하루 총 200명이 오가도록 해 주 6회 운영해볼 방침이다.

철원 구간은 백마고지 전적비에서 시작해 DMZ 남측 철책길을 따라 공동유해발굴현장과 인접한 화살머리고지 비상주 GP까지 방문하는 코스다.

파주는 임진각에서 시작해 도라산 전망대를 경유해 철거한 GP 현장까지 방문하는 구간이다.

이들 지역은 앞으로 DMZ를 따라 한반도 동서를 횡단하는 '탐방길 연결사업',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사업'과 연계될 예정이다.
개방 지역은 군사작전지역이자 접경지대인 만큼 관광객 안전이 주요 현안이다.

방문객들은 민수용 방탄복과 헬멧을 지급받아 휴대하고 우리 군의 경호 지원을 받는다.

DMZ 내 방문객 출입과 안전조치 등에 대해 국방부와 유엔군사령부 간 협의가 진행 중이다.

운영 횟수와 참여 인원은 군사작전 여건, 자연환경, 생태 보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한다.

정부 관계자는 "유엔사에서는 방탄복이나 헬멧이 필요 없지 않으냐는 의견도 있었다"며 "방탄복 등은 현재 상황을 나쁘게 보고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본적으로 군사분계선(MDL) 이남 우리 DMZ에서 하는 것이므로 지금 단계에서 북한에 통보한 사항은 없다"며 "그러나 여러 국민의 안전이 달린 만큼 DMZ 내부에서 시행할 때는 다양한 경로로 북한에 통보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북한 경계초소와 가장 가까운 둘레길까지의 거리는 파주 1.2㎞, 철원 1.9㎞, 고성 1.6㎞ 정도"라며 "지금 운영 중인 여러 안보견학장도 가까운 곳은 그 정도 거리인데 1㎞가 넘는다는 것은 소총 유효사거리를 벗어났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생태 보존을 위해 기존에 사용 중인 도로나 철책길을 있는 그대로 활용하고 인위적 손질은 최소화할 방침이다.

외래종 유입이나 야생동물 이동 저해 등 생태적 영향을 줄일 조치를 병행하고 무인조사체계를 구축해 환경 영향을 모니터링한다.

정부는 이 사업의 환경적 영향이 크지는 않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두루미의 철원 지역 월동 기간인 10∼3월은 운영을 제한하는 등 보존 방안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첫 시범 지역인 고성 방문 신청은 행안부 DMZ통합정보시스템 '디엠지기', 한국관광공사 걷기여행 홈페이지 '두루누비'에서 오는 11일부터 접수하며 추첨으로 참가자를 결정한다.

길의 정식 명칭은 대국민 명칭 공모로 이달 중 최종 선정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