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시련의 계절…'백종원' 더본코리아도 영업익 '반토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더본코리아, 작년 매출액 '정체' 영업이익 '급감'
"인건비·내수불황에 프랜차이즈 규제까지 겹쳐"
"중국보다 쎈 규제 탓에 프랜차이즈 본사 몸 사려"
"인건비·내수불황에 프랜차이즈 규제까지 겹쳐"
"중국보다 쎈 규제 탓에 프랜차이즈 본사 몸 사려"
국내 프랜차이즈 시장이 시련의 계절을 맞고 있다. 각종 규제와 내수 불황 탓에 폐업 브랜드가 속출하고 고용인원이 급감하고 있어서다. 이 때문에 수 년 간 잘 키워 온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팔겠다며 인수합병(M&A) 시장엔 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국내 1위 더본코리아, 영업익 '급감'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외식사업가 백종원 씨가 운영하는 더본코리아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01억원으로 전년보다 21% 줄었다. 이 브랜드가 가장 호황을 누렸던 2016년(197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가까이 급감했다. 불과 2년 만이다. 백 씨의 더본코리아는 지난해 기준 20개 브랜드를 보유한 국내 1위 프랜차이즈 업체다.
더 큰 문제는 정체된 매출액이다. 더본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액은 1776억원으로 3년째 1700억원대에 머물러 있다. '규모의 경제'가 핵심인 프랜차이즈 사업에서 매출이 정체되면 보통 브랜드의 첫 번째 위기 신호로 본다. 신규 출점이 원활하지 않거나 기존 매장의 매출이 뒷받침 되고 있지 않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더본코리아 관계자는 "다양한 시도를 위한 인력투자로 인건비가 증가했고 물가 상승 요인으로 매출원가가 높아졌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다른 프랜차이즈 브랜드 관계자는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프랜차이즈인 더본코리아마저 성장이 꺾였다면 다른 브랜드들은 훨씬 심각한 상황에 놓인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배경에는 프랜차이즈 본사들이 각종 규제가 예고된 탓에 신규 브랜드와 새 매장을 출점하지 않는 등 몸을 사리고 있는 측면이 크다. 현재 가맹본사의 원가 공개 등을 포함해 국회에 계류된 프랜차이즈 규제 관련 법안만 60여개에 달한다.
법안들이 통과된다면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당장 가맹본사 원가공개, 초과이익공유제, 가맹점주 단체교섭권 등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는 지난달 '원가공개'가 본사의 영업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며 헌법소원을 낸 상태다.
이 같은 상황에서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폐업은 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등록된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458개, 사라진 브랜드는 351개로 집계됐다. 사업을 접는다며 법인 등록을 취소한 본사도 318개에 달한다. 최근 5년 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프랜차이즈산업 고용인원도 약 130만명으로 파악돼 관련 수치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했다.
더 심각한 건 이 시장에 뛰어드는 '사업가'들이 줄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5년 간 국내 전체 가맹점 수가 연평균 5.5%의 일정한 속도로 증가한 반면 가맹본부와 브랜드 수는 증가폭이 줄어들고 있다. 가맹본부 수의 전년 대비 증가율을 보면 ▲2014년 17.1% ▲2016년 9.2% ▲2018년 5.4%로 집계됐고, 브랜드 수도 ▲2014년 16.2% ▲2016년 8.9% ▲2018년 5.4%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 인수합병 시장에 프랜차이즈 매물 '우르르'
이 때문에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엔 프랜차이즈 매물이 쏟아지고 있지만 사겠다는 곳은 없는 상황이다. 현재 공개된 매물만 해도 놀부, 공차, 아웃백, 온더보더, 할리스커피 등이 매각을 추진 중이거나 잠재적인 매물로 지목되고 있다. 매드포갈릭, 스쿨푸드 등은 매각을 추진하다가 마땅한 매수자를 구하지 못해 작업을 일시적으로 멈췄다.
상장을 준비하던 프랜차이즈들은 온전한 평가를 받지 못할 것이란 우려에 줄줄이 기업공개(IPO)를 미루고 있다. 이미 이디야커피가 상장 계획 잠정 중단을 선언했고, 본아이에프, 교촌치킨, 쥬씨 등이 "신중하게 상장을 추진하겠다"며 속도조절에 나섰다. 더본코리아 역시 지난해 상장 주관사(NH투자증권)를 선정한 이후 영업환경이 호전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프랜차이즈협회 관계자는 "국내 프랜차이즈산업 규제는 중국 등 세계 어느 나라보다 심하다"며 "대립과 갈등을 부추기는 입법보다는 산업을 진흥하는 데 도움을 주는 법안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국내 1위 더본코리아, 영업익 '급감'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외식사업가 백종원 씨가 운영하는 더본코리아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01억원으로 전년보다 21% 줄었다. 이 브랜드가 가장 호황을 누렸던 2016년(197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가까이 급감했다. 불과 2년 만이다. 백 씨의 더본코리아는 지난해 기준 20개 브랜드를 보유한 국내 1위 프랜차이즈 업체다.
더 큰 문제는 정체된 매출액이다. 더본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액은 1776억원으로 3년째 1700억원대에 머물러 있다. '규모의 경제'가 핵심인 프랜차이즈 사업에서 매출이 정체되면 보통 브랜드의 첫 번째 위기 신호로 본다. 신규 출점이 원활하지 않거나 기존 매장의 매출이 뒷받침 되고 있지 않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더본코리아 관계자는 "다양한 시도를 위한 인력투자로 인건비가 증가했고 물가 상승 요인으로 매출원가가 높아졌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다른 프랜차이즈 브랜드 관계자는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프랜차이즈인 더본코리아마저 성장이 꺾였다면 다른 브랜드들은 훨씬 심각한 상황에 놓인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배경에는 프랜차이즈 본사들이 각종 규제가 예고된 탓에 신규 브랜드와 새 매장을 출점하지 않는 등 몸을 사리고 있는 측면이 크다. 현재 가맹본사의 원가 공개 등을 포함해 국회에 계류된 프랜차이즈 규제 관련 법안만 60여개에 달한다.
법안들이 통과된다면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당장 가맹본사 원가공개, 초과이익공유제, 가맹점주 단체교섭권 등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는 지난달 '원가공개'가 본사의 영업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며 헌법소원을 낸 상태다.
이 같은 상황에서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폐업은 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등록된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458개, 사라진 브랜드는 351개로 집계됐다. 사업을 접는다며 법인 등록을 취소한 본사도 318개에 달한다. 최근 5년 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프랜차이즈산업 고용인원도 약 130만명으로 파악돼 관련 수치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했다.
더 심각한 건 이 시장에 뛰어드는 '사업가'들이 줄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5년 간 국내 전체 가맹점 수가 연평균 5.5%의 일정한 속도로 증가한 반면 가맹본부와 브랜드 수는 증가폭이 줄어들고 있다. 가맹본부 수의 전년 대비 증가율을 보면 ▲2014년 17.1% ▲2016년 9.2% ▲2018년 5.4%로 집계됐고, 브랜드 수도 ▲2014년 16.2% ▲2016년 8.9% ▲2018년 5.4%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 인수합병 시장에 프랜차이즈 매물 '우르르'
이 때문에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엔 프랜차이즈 매물이 쏟아지고 있지만 사겠다는 곳은 없는 상황이다. 현재 공개된 매물만 해도 놀부, 공차, 아웃백, 온더보더, 할리스커피 등이 매각을 추진 중이거나 잠재적인 매물로 지목되고 있다. 매드포갈릭, 스쿨푸드 등은 매각을 추진하다가 마땅한 매수자를 구하지 못해 작업을 일시적으로 멈췄다.
상장을 준비하던 프랜차이즈들은 온전한 평가를 받지 못할 것이란 우려에 줄줄이 기업공개(IPO)를 미루고 있다. 이미 이디야커피가 상장 계획 잠정 중단을 선언했고, 본아이에프, 교촌치킨, 쥬씨 등이 "신중하게 상장을 추진하겠다"며 속도조절에 나섰다. 더본코리아 역시 지난해 상장 주관사(NH투자증권)를 선정한 이후 영업환경이 호전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프랜차이즈협회 관계자는 "국내 프랜차이즈산업 규제는 중국 등 세계 어느 나라보다 심하다"며 "대립과 갈등을 부추기는 입법보다는 산업을 진흥하는 데 도움을 주는 법안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