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토론회서 발표…현 기준 '교실 대비 1.5배 용량' 사용 조건
"이산화탄소는 환기장치 이용해 제거하는 게 더 효과적"
학교 공기정화장치(공기청정기)가 기준대로 설치된 경우 실내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60%가량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에 따르면 한방우 환경기계연구실장 연구팀은 지난해 9월부터 학교용 공기청정기 현장 미세먼지 저감 실증 사업을 진행했다.

서울과 광주 등 샘플 학교를 선정해 공기청정기 미세먼지 감소 특성 평가와 에어필터 유지보수 기간을 살폈다.
그 결과 학교 공기정화장치 사용기준인 교실 크기 대비 1.5배 용량(적용면적 100㎡ 이상·바람량 분당 13㎥ 이상) 1대를 쓸 때 초미세먼지 63∼64%가 저감됐다.

미세먼지(PM-10)의 경우는 54∼61%를 낮출 수 있었다.

청정기 성능은 실내보다는 바깥 공기(외기) 농도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초미세먼지 농도가 더 그랬다.

동일 외기 농도에서는 신축 학교 내 교실 미세먼지가 더 적었는데, 이는 건물 기밀도(내외부 공기 차단 정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방증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눈에 띄는 건 이산화탄소 평균 농도다.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에 따른 별다른 차이가 보이지 않아서다.

외려 공기청정기가 없을 때보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사례도 있었다.
한방우 실장은 그 이유에 대해 "환기가 부족한 학교 교실의 일반적인 문제점"이라며 "공기청정기가 미세먼지 제거 성능은 우수하지만, 이산화탄소나 유해가스 처리는 환기장치가 더 낫다"고 전했다.

다시 말해 두 장치의 조합을 최적화해야 한다는 뜻이다.

실제 두 장치를 일정 간격으로 번갈아 운전했을 때 연속 운전 소비 전력의 40% 수준만으로도 공기 질은 향상했다.

한 실장은 "공기청정기는 초기 성능 유지를 위한 필터를 신경 써야 한다"며 "예컨대 헤파필터는 한 학기마다 교체하는 등 전문가의 방문 관리가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건물 기밀도 향상이나 도로변 방진벽 등 건축공학적 접근도 조언했다.
기계연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학교 미세먼지 해결 토론회에서 이런 내용을 발표했다.

자유한국당 김승희·더불어민주당 송옥주 미세먼지대책특별위원장이 공동 개최한 이번 행사에서는 에어랩 노광철 대표의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 미세먼지 저감 사례 비교'와 배귀남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사업단장의 '생활환경 미세먼지 과학 기술적 관리방안' 소개가 이어졌다.

전문가 패널토론도 함께했다.

박천홍 한국기계연구원장은 "우리 미래세대를 위해 실내 공기 질 개선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술적인 의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과학적인 해결책을 통해 국민께서 미세먼지에 대한 막연한 공포에서 벗어나 안전한 삶을 지켜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올해 전국 각급 학교 모든 교실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