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이 국내 전력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조금씩 낮아지는 추세다. 액화천연가스(LNG)와 재생에너지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하지만 석탄은 여전히 전체 발전 비중의 40%를 넘는 ‘제1의 발전원’이다.

석탄화력발전, 전력생산 42% 차지 '제1 발전원'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작년 석탄화력발전량은 총 23만8984GWh로, 전체 발전원 중 41.9%를 차지했다.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갈수록 비중이 줄고 있는 원자력(13만3505GWh)의 약 두 배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27.2%보다도 훨씬 높다.

석탄 외 전기를 많이 생산하는 에너지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LNG다. 작년 기준 26.8%였다. 다음으로 원자력(23.4%) 신재생(6.2%) 유류(1.0%) 수력(0.7%) 등의 순이다. 정부가 2030년까지 20%로 대폭 확대하기로 한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중은 신재생과 수력을 모두 합해도 6.9%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전기 사용량이 꾸준히 늘면서 석탄 수입도 덩달아 증가세다. 국내 유연탄 수입량은 작년 총 1억3152만t이었다. 전년 세웠던 역대 최고 기록(1억3146만t)을 경신했다. 2016년 수입량(1억1847만t)보다 11.0% 늘어난 규모다. 작년 수입액은 146억5000만달러였다. 2012년 이후 최고치다.

국내 석탄화력발전소는 대부분 화력이 뛰어난 유연탄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 화력발전 연료의 98% 이상이 유연탄이다. 국내 생산 석탄은 무연탄이어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석탄화력발전 단가가 원자력 다음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미세먼지 논란이 뜨거워도 갑자기 줄이는 건 쉽지 않은 문제”라며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려면 전기요금을 많이 올리는 방법 외 대안이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오염물질 배출만 놓고 보면 에너지 중에서 석탄 책임이 가장 큰 게 사실이다. 유엔 산하 IPCC(기후변화에 따른 정부 간 협의체)에 따르면 탄소 배출량은 석탄이 ㎾당 1001g에 달했다. 이어 석유(840g) LNG(469g) 태양광(46g) 원전(16g) 순이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