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스마트공장 구축의 오해와 편견
정부가 지난해 말 2022년까지 3만 개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기 위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내놨다. 근로자 10인 이상의 제조기업 6만7000여 개 중 절반가량의 공장 혁신을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스마트공장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는 중소기업인은 많지 않다. 공장 자동화·무인화와 혼동하고 비용 부담을 걱정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잘못된 인식을 스마트공장 구축의 최대 걸림돌로 꼽고 있다.

흔히 공장 자동화는 생산을 위한 도구인 인간의 팔다리를 기계로 대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스마트공장은 두뇌를 대체하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ICT(정보통신기술)와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데이터에 기반해 제품 생산 과정을 컨트롤하고 개선해나가는 지능형 공장’이라고 정의했다. 스마트공장이 구축되면 근로자는 각종 소모품이 언제쯤 마모되고 교체해야 하는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완제품이 이동하는 경로와 도착 시간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중기부는 스마트공장을 바코드(RFID) 시스템을 활용해 부분적으로 공정을 표준화하는 레벨1부터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제어 및 최적화 작업이 가능한 레벨5까지 5단계로 나눴다. 정부는 생산정보 모니터링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레벨2와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제어하는 레벨3의 스마트공장을 중소기업에 구축하는 게 목표다.

스마트공장 구축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중소기업이 적지 않다. 하지만 정부 지원을 잘만 활용하면 부담은 크게 줄어든다. 업종에 따라 시스템과 센서 등 장비와 솔루션 구축비용엔 다소 차이가 있다. 정부는 최대 1억원(레벨3 이상은 1억5000만원)을 지원해준다. 레벨 1~2단계는 1억원 안팎에서 구축이 가능하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스마트공장엔 공장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모니터와 솔루션 서버가 갖춰진다. 이를 통해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까지 추적할 수 있다.

지금 중소기업 가운데 불량이 언제, 어느 공정에서 발생하는지 제대로 파악하는 곳은 많지 않다. 그렇다 보니 많은 기업에서 불량품 폐기가 일상화돼 있다. 하지만 스마트공장 시스템이 구축되면 불량품이 발생한 공정을 찾아 즉각 개선할 수 있다. 불량률이 줄어들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이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들이 스마트공장 구축만으로도 단기에 실적이 크게 좋아진다고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수도권의 한 건자재 업체는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뒤 작업 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제품 관리가 한결 쉬워졌다. 제품 배송까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고객사의 불만도 크게 감소했다. 이 회사 대표는 “작업 환경이 낙후돼 있는 영세 중소기업은 스마트공장 구축에 앞서 내부를 깨끗하게 정리하고 청소하는 게 기본”이라며 “이렇게 첫걸음만 떼도 회사 분위기가 확 달라진다”고 말했다.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 내수 침체 등으로 중소기업의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외부 환경이 하루 아침에 개선되기는 어렵다. 회사 내부에서 위기 극복 방안을 찾는 것도 필요하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나 중소기업중앙회를 찾아 스마트공장 구축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