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니-부테린, 가상화폐 사기냐 혁신이냐 '맞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루비니 "가상화폐와 ICO 그 자체가 사기"
비탈릭 "거품 있지만 기술 개발이 해결"
비탈릭 "거품 있지만 기술 개발이 해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견해 '닥터 둠'으로 유명한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가 "가상화폐(암호화폐)는 사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표적 암호화폐 이더리움의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과의 토론에서다.
4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분산경제포럼(디코노미) 2019'에서 부테린과 마주앉은 루비니 교수는 "기존 금융시스템도 비효율적이며 문제가 많지만 암호화폐는 시세조작과 자금세탁 등 한층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탈중앙화, 분산화를 지향하는 암호화폐가 실제로는 극소수에 의해 좌우된다. 기존 금융시스템이 중앙화된 구조로 인해 금융위기를 초래했지만 암호화폐는 더욱 심각하다”고 비판했다. 앞서 루비니 교수는 부테린을 독재자에 빗댄 바 있다. 이더리움이 부테린을 중심으로 철저히 중앙화됐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블록체인의 장점으로 꼽는 익명성과 검열저항성도 문제"라며 "익명성을 필요로 하는 것은 범죄자 정도다. 어느 정부도 그런 행위를 허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스스로를 보호하려면 실명을 드러내고 거래해야 한다"고도 했다. 반면 부테린은 암호화폐가 아직 발전과정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암호화폐가 기존 금융시스템보다 낙후됐다고 하지만 해외송금 등 특정한 상황에선 더 나은 효율성을 보여준다. 기술이 발전해나가며 암호화폐의 효율성은 은행 수준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루비니 교수가 지적한 검열저항성에 대해선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더 심각한 문제라고 반박했다. 중앙화 사회 시스템의 정점에 있는 정부가 기업 경영이나 은행 시스템에 영향을 끼친다는 얘기다.
부테린은 "정부가 기업경영에 개입하거나 인터넷을 검열하는 등의 일이 자주 벌어진다. 온라인에서라도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기술로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암호화폐를 이용한 모든 활동에 동의하진 않는다. 가치에 거품이 있는 것도 인정한다"면서도 기술발전으로 이를 해결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부테린은 "샤딩, 플라즈마, 코스모스 네트워크 등 많은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면서 "기술발전에 따라 수년 내로 탈중앙성을 강화하면서도 기존 금융시스템 수준을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하지만 재반론에 나선 루비니 교수는 "암호화폐를 구동하는 합의인 작업증명방식(PoW)은 확장성이 없고 지분증명방식(PoS)은 예상보다 더 중앙화된 구조다. 확장이 가능하고 안정됐으며 탈중앙화된 소위 '트릴레마(3가지 딜레마)'를 해결한 암호화폐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암호화폐의 가치 98%가 사라진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4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분산경제포럼(디코노미) 2019'에서 부테린과 마주앉은 루비니 교수는 "기존 금융시스템도 비효율적이며 문제가 많지만 암호화폐는 시세조작과 자금세탁 등 한층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탈중앙화, 분산화를 지향하는 암호화폐가 실제로는 극소수에 의해 좌우된다. 기존 금융시스템이 중앙화된 구조로 인해 금융위기를 초래했지만 암호화폐는 더욱 심각하다”고 비판했다. 앞서 루비니 교수는 부테린을 독재자에 빗댄 바 있다. 이더리움이 부테린을 중심으로 철저히 중앙화됐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블록체인의 장점으로 꼽는 익명성과 검열저항성도 문제"라며 "익명성을 필요로 하는 것은 범죄자 정도다. 어느 정부도 그런 행위를 허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스스로를 보호하려면 실명을 드러내고 거래해야 한다"고도 했다. 반면 부테린은 암호화폐가 아직 발전과정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암호화폐가 기존 금융시스템보다 낙후됐다고 하지만 해외송금 등 특정한 상황에선 더 나은 효율성을 보여준다. 기술이 발전해나가며 암호화폐의 효율성은 은행 수준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루비니 교수가 지적한 검열저항성에 대해선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더 심각한 문제라고 반박했다. 중앙화 사회 시스템의 정점에 있는 정부가 기업 경영이나 은행 시스템에 영향을 끼친다는 얘기다.
부테린은 "정부가 기업경영에 개입하거나 인터넷을 검열하는 등의 일이 자주 벌어진다. 온라인에서라도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기술로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암호화폐를 이용한 모든 활동에 동의하진 않는다. 가치에 거품이 있는 것도 인정한다"면서도 기술발전으로 이를 해결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부테린은 "샤딩, 플라즈마, 코스모스 네트워크 등 많은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면서 "기술발전에 따라 수년 내로 탈중앙성을 강화하면서도 기존 금융시스템 수준을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하지만 재반론에 나선 루비니 교수는 "암호화폐를 구동하는 합의인 작업증명방식(PoW)은 확장성이 없고 지분증명방식(PoS)은 예상보다 더 중앙화된 구조다. 확장이 가능하고 안정됐으며 탈중앙화된 소위 '트릴레마(3가지 딜레마)'를 해결한 암호화폐는 존재하지 않는다"며 "암호화폐의 가치 98%가 사라진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