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효자된 '반값 수상태양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년여간 민관 연구개발
中보다 발전시스템 단가 낮춰
해상 태양광도 2023년 사업화
中보다 발전시스템 단가 낮춰
해상 태양광도 2023년 사업화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 등 때문에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좁은 국토, 높은 산지 비중, 주민 반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물 위를 활용하는 방안이다. 바다나 호수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발전은 활용 가능한 면적이 넓고 주민 반대도 상대적으로 덜해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기술평가원도 이런 점을 인식해 2015년부터 관련 연구개발(R&D)에 매진해왔다. 눈에 보이는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호수, 저수지 등에 설치하는 수상태양광 분야가 대표적이다.
평가원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민간 기업인 LS산전, 스코트라, 오토렉스 등은 2015년 6월부터 시작한 ‘수상태양광 발전 시스템 표준화 및 단가 절감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발전 시스템 단가를 ㎾당 종전의 350만원에서 160만원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180만원 수준인 중국 대만 등 외국 수상태양광 시스템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다.
경제성이 확보되자 자연스레 사업화 확대로 이어졌다. LS산전, 스코트라 등은 2017년 말부터 수상태양광 계약을 따내기 시작해 총 55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수출길도 열었다. 작년 11월 스코트라는 대만으로부터 7.25㎿ 규모의 수상태양광 부유체 사업을 수주했다. 수주액은 30억원이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2.8GW 규모의 새만금 수상태양광 개발 계획도 단가 절감 등 성과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다음 도전 과제는 해상 태양광·풍력이다. 바다 위에 짓는 재생에너지 발전은 파도와 염분, 조석 차 등 때문에 호수나 저수지보다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평가원은 14개 민간기업, 공공기관, 대학 등과 함께 작년 6월부터 해상태양광 시스템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국비 189억원, 민간 80억8000만원 등 총 269억8000만원을 투입한다. 2023년 사업화가 목표다.
풍력 분야에선 먼바다에 건설하는 부유식 해상풍력 R&D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6월 5㎿급 부유식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계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부유식 해상풍력은 국내 잠재량이 48.7GW나 돼 미래 먹거리로 꼽힌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기술평가원도 이런 점을 인식해 2015년부터 관련 연구개발(R&D)에 매진해왔다. 눈에 보이는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호수, 저수지 등에 설치하는 수상태양광 분야가 대표적이다.
평가원과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민간 기업인 LS산전, 스코트라, 오토렉스 등은 2015년 6월부터 시작한 ‘수상태양광 발전 시스템 표준화 및 단가 절감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발전 시스템 단가를 ㎾당 종전의 350만원에서 160만원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180만원 수준인 중국 대만 등 외국 수상태양광 시스템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다.
경제성이 확보되자 자연스레 사업화 확대로 이어졌다. LS산전, 스코트라 등은 2017년 말부터 수상태양광 계약을 따내기 시작해 총 55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수출길도 열었다. 작년 11월 스코트라는 대만으로부터 7.25㎿ 규모의 수상태양광 부유체 사업을 수주했다. 수주액은 30억원이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2.8GW 규모의 새만금 수상태양광 개발 계획도 단가 절감 등 성과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다음 도전 과제는 해상 태양광·풍력이다. 바다 위에 짓는 재생에너지 발전은 파도와 염분, 조석 차 등 때문에 호수나 저수지보다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평가원은 14개 민간기업, 공공기관, 대학 등과 함께 작년 6월부터 해상태양광 시스템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국비 189억원, 민간 80억8000만원 등 총 269억8000만원을 투입한다. 2023년 사업화가 목표다.
풍력 분야에선 먼바다에 건설하는 부유식 해상풍력 R&D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6월 5㎿급 부유식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계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부유식 해상풍력은 국내 잠재량이 48.7GW나 돼 미래 먹거리로 꼽힌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