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조원 대륙시장 노려라"…외국산 게임 빗장 푸는 中에 기대감 커지는 국내업체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 지난달 외산 게임 30종 허가
사드 여파로 한국 포함 안됐지만
배그·리니지2 등 대작들 대기 중
사드 여파로 한국 포함 안됐지만
배그·리니지2 등 대작들 대기 중
중국 정부가 1년여 만에 신규 외국 게임의 유통을 허가했다. 하지만 한국산 신규 게임의 수출은 여전히 막고 있다.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한국 배치를 둘러싼 갈등이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국내 게임업계의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머잖아 문호 개방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커지는 모습이다.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은 지난 2일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달 29일자로 판호(版號)를 받은 외국산 게임 30종의 명단을 공개했다. 판호는 중국에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발급받아야 하는 허가권을 뜻한다. 중국 기업이 만든 게임에 대한 허가인 내자 판호와 해외 게임 및 지식재산권(IP) 활용 게임이 대상인 외자 판호로 구분된다.
중국 정부는 게임산업을 정비한다는 이유로 지난해 2월 11일 이후 외자 판호를 발급하지 않았다. 중국산 게임의 판호 발급도 작년 3월에 중단했다가 작년 12월 재개했다.
이번에 판호를 받은 외국산 게임은 모바일 게임 22종, PC 게임 5종, 콘솔용 게임기(엑스박스와 플레이스테이션4) 3종이다. 텐센트의 ‘왕좌의 게임: 윈터 이즈 커밍’, 넷이즈의 ‘더 룸 3’, 퍼펙트월드의 ‘더 플레임 인 더 플러드’ 등 중국 대형 게임사의 미국·일본·영국 등 IP 게임들이 포함됐다. NHN의 일본 자회사가 개발한 모바일 게임 ‘콤파스’도 이번에 판호를 받았다. 하지만 한국 게임은 판호를 받지 못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외자 판호가 나왔다는 것 자체가 긍정적인 신호”라고 말했다. 넷마블,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펄어비스 등 국내 게임사도 주력 게임들의 중국 내 신규 서비스를 기다리고 있다. 국내에서 인기를 끌었던 ‘리니지2 레볼루션’ ‘리니지 레드나이츠’ ‘배틀그라운드’ ‘검은사막’ 등이 대표적이다. 대부분 중국 게임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장르의 게임이다. 김학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판호 대기 게임은 대부분 현지화 작업이 끝났기 때문에 판호 발급 이후 출시까지 짧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 관계의 경색이 완전히 풀리지 않아 한국산 신규 게임의 중국 진출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2017년 중국이 사드 보복 조치를 시작한 지 2년이 넘었지만 상황이 개선된 곳은 별로 없다.
롯데백화점은 중국 톈진에 있는 톈진문화중심점의 영업을 그만두는 등 중국 내 매장이 6곳에서 3곳으로 줄었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더페이스샵 매장 130여 곳을 모두 폐점했다. 사드 사태 이후 발길을 끊었던 유커(중국인 관광객)들이 언제 한국으로 발길을 돌릴지도 미지수다.
국내 게임업체들은 중국 시장을 포기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은 2016년 미국과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 게임시장으로 부상했다. 시장조사기관 IDC의 ‘2017 중국 게임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게임시장 규모는 2036억위안(약 34조4328억원)에 달한다. 세계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한국 게임사들의 최대 수출 지역이기도 하다. 2017년에는 한국 게임 수출의 60.5%를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이 차지했다. 전년(37.6%)보다 1.5배 이상 커졌다. 넥슨의 자회사인 네오플의 게임 ‘던전앤파이터’가 중국 지역에서만 올린 매출은 연간 1조5000억원 이상이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은 지난 2일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달 29일자로 판호(版號)를 받은 외국산 게임 30종의 명단을 공개했다. 판호는 중국에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발급받아야 하는 허가권을 뜻한다. 중국 기업이 만든 게임에 대한 허가인 내자 판호와 해외 게임 및 지식재산권(IP) 활용 게임이 대상인 외자 판호로 구분된다.
중국 정부는 게임산업을 정비한다는 이유로 지난해 2월 11일 이후 외자 판호를 발급하지 않았다. 중국산 게임의 판호 발급도 작년 3월에 중단했다가 작년 12월 재개했다.
이번에 판호를 받은 외국산 게임은 모바일 게임 22종, PC 게임 5종, 콘솔용 게임기(엑스박스와 플레이스테이션4) 3종이다. 텐센트의 ‘왕좌의 게임: 윈터 이즈 커밍’, 넷이즈의 ‘더 룸 3’, 퍼펙트월드의 ‘더 플레임 인 더 플러드’ 등 중국 대형 게임사의 미국·일본·영국 등 IP 게임들이 포함됐다. NHN의 일본 자회사가 개발한 모바일 게임 ‘콤파스’도 이번에 판호를 받았다. 하지만 한국 게임은 판호를 받지 못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외자 판호가 나왔다는 것 자체가 긍정적인 신호”라고 말했다. 넷마블,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펄어비스 등 국내 게임사도 주력 게임들의 중국 내 신규 서비스를 기다리고 있다. 국내에서 인기를 끌었던 ‘리니지2 레볼루션’ ‘리니지 레드나이츠’ ‘배틀그라운드’ ‘검은사막’ 등이 대표적이다. 대부분 중국 게임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장르의 게임이다. 김학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판호 대기 게임은 대부분 현지화 작업이 끝났기 때문에 판호 발급 이후 출시까지 짧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드 배치에 따른 한·중 관계의 경색이 완전히 풀리지 않아 한국산 신규 게임의 중국 진출을 가늠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2017년 중국이 사드 보복 조치를 시작한 지 2년이 넘었지만 상황이 개선된 곳은 별로 없다.
롯데백화점은 중국 톈진에 있는 톈진문화중심점의 영업을 그만두는 등 중국 내 매장이 6곳에서 3곳으로 줄었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더페이스샵 매장 130여 곳을 모두 폐점했다. 사드 사태 이후 발길을 끊었던 유커(중국인 관광객)들이 언제 한국으로 발길을 돌릴지도 미지수다.
국내 게임업체들은 중국 시장을 포기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은 2016년 미국과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 게임시장으로 부상했다. 시장조사기관 IDC의 ‘2017 중국 게임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게임시장 규모는 2036억위안(약 34조4328억원)에 달한다. 세계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이미 한국 게임사들의 최대 수출 지역이기도 하다. 2017년에는 한국 게임 수출의 60.5%를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이 차지했다. 전년(37.6%)보다 1.5배 이상 커졌다. 넥슨의 자회사인 네오플의 게임 ‘던전앤파이터’가 중국 지역에서만 올린 매출은 연간 1조5000억원 이상이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