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조양호' 체제…조원태 사장으로 경영승계 순항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항공 조원태 체제로 전환할듯…지배구조 취약·주주권 견제 과제
"갑작스런 별세로 지분이양 시간 부족…최대주주 지위 위협받을 수도"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8일 갑작스럽게 별세하면서 그룹과 핵심 계열사인 대한항공 경영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린다.
재계에서는 조 회장 장남인 조원태(44) 대한항공 사장으로의 경영권 승계가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취약한 지배구조와 행동주의 사모펀드·국민연금 등의 견제 속에 조 사장의 승계가 순조롭게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는 분석도 나온다.
조 회장은 명실상부한 한진그룹 총수로, 그동안 그룹 경영에 관한 사안을 모두 직접 챙겨왔다.
그는 지난달 27일 대한항공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연임에 실패해 대한항공 대표이사직은 상실했지만, 여전히 미등기 회장직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 그룹 지주회사 한진칼을 비롯해 ㈜한진, 진에어, 정석기업, 한진정보통신, 한진관광 등 6개사의 등기임원에 올라있고 한국공항, 칼호텔네트워크 등 2개사의 비등기 임원도 맡고 있다. 조 회장은 지난해 차녀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의 이른바 '물컵 갑질' 사건을 계기로 일가 전체가 각종 불법·갑질 논란에 휩싸이며 경영권 압박을 받는 처지에 올렸다.
이에 올해 3월 조 회장은 핵심 계열사인 한진칼, 대한항공, ㈜한진의 임원을 제외한 6곳의 계열사 임원직을 연말까지 내려놓겠다고 선언하고 이를 추진하던 중이었다.
조 회장 유고에도 당장 그룹 계열사의 경영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게 한진그룹과 재계의 전망이다.
지난달 지주회사 한진칼 주총에서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 등 외부 견제에도 조 회장 측근인 석태수 대표이사가 사내이사 연임에 성공했고, 조 회장 측 지분을 통해 그룹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각 계열사 사장단이 전문적인 경영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경영 판단에도 큰 혼선이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6월 초 서울에서 대한항공 주최로 열리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총회 역시 조 회장 부재에도 무리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대표이사 자격이 있는 조원태 사장과 우기홍 부사장이 의장을 맡아 회의를 치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의 경우 조 사장 체제로 전환이 추진될 전망이다.
조 사장은 2003년 한진정보통신으로 입사해 2004년 대한항공 경영기획팀 부팀장 등을 거쳐 2016년 3월 대한항공 대표이사 총괄부사장으로 선임됐다.
이듬해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진한 조 사장은 부친과 함께 회사 경영을 이끌어왔다.
작년 말 조 회장이 요양 목적으로 미국으로 출국하자 올해 시무식을 직접 챙기며 전면에서 경영 행보를 보였다.
그는 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 대표이사도 맡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대한항공의 경우 기존 사내이사 3명을 유지하면서 조 사장 체제로 전환될 것"이라며 "조 사장이 대한항공의 대표이사 및 회장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조 사장으로의 경영권 승계가 추진되겠지만, 조 회장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지분 상속 및 승계가 순탄하게 이뤄지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 지분 구조를 보면 조 회장 일가의 우호 지분이 28.95%다.
이 가운데 조 회장이 17.84%를 보유하고 있고, 조원태 사장 2.34%, 장녀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2.31%, 차녀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 2.30% 등으로 조 회장 자녀들의 지분은 그리 크지 않다.
안정적인 경영권 승계를 위해서는 상속세와 지분 이양 등 숙제를 풀어야 하는데, 갑작스러운 별세로 시간이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상속세율을 50%로 가정할 때(상속세율 단순 적용), 한진칼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20.03%이고, KCGI 및 국민연금의 합산지분은 20.81%여서 단순 계산으로도 조 사장 측이 최대주주 지위를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조 사장이 그동안 아버지 그늘에 가려 뚜렷하게 내세울 만한 경영성과가 없었다는 점도 극복해야 할 숙제로 꼽힌다.
/연합뉴스
"갑작스런 별세로 지분이양 시간 부족…최대주주 지위 위협받을 수도"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8일 갑작스럽게 별세하면서 그룹과 핵심 계열사인 대한항공 경영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린다.
재계에서는 조 회장 장남인 조원태(44) 대한항공 사장으로의 경영권 승계가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취약한 지배구조와 행동주의 사모펀드·국민연금 등의 견제 속에 조 사장의 승계가 순조롭게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는 분석도 나온다.
조 회장은 명실상부한 한진그룹 총수로, 그동안 그룹 경영에 관한 사안을 모두 직접 챙겨왔다.
그는 지난달 27일 대한항공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연임에 실패해 대한항공 대표이사직은 상실했지만, 여전히 미등기 회장직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 그룹 지주회사 한진칼을 비롯해 ㈜한진, 진에어, 정석기업, 한진정보통신, 한진관광 등 6개사의 등기임원에 올라있고 한국공항, 칼호텔네트워크 등 2개사의 비등기 임원도 맡고 있다. 조 회장은 지난해 차녀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의 이른바 '물컵 갑질' 사건을 계기로 일가 전체가 각종 불법·갑질 논란에 휩싸이며 경영권 압박을 받는 처지에 올렸다.
이에 올해 3월 조 회장은 핵심 계열사인 한진칼, 대한항공, ㈜한진의 임원을 제외한 6곳의 계열사 임원직을 연말까지 내려놓겠다고 선언하고 이를 추진하던 중이었다.
조 회장 유고에도 당장 그룹 계열사의 경영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게 한진그룹과 재계의 전망이다.
지난달 지주회사 한진칼 주총에서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 등 외부 견제에도 조 회장 측근인 석태수 대표이사가 사내이사 연임에 성공했고, 조 회장 측 지분을 통해 그룹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각 계열사 사장단이 전문적인 경영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경영 판단에도 큰 혼선이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6월 초 서울에서 대한항공 주최로 열리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총회 역시 조 회장 부재에도 무리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대표이사 자격이 있는 조원태 사장과 우기홍 부사장이 의장을 맡아 회의를 치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의 경우 조 사장 체제로 전환이 추진될 전망이다.
조 사장은 2003년 한진정보통신으로 입사해 2004년 대한항공 경영기획팀 부팀장 등을 거쳐 2016년 3월 대한항공 대표이사 총괄부사장으로 선임됐다.
이듬해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진한 조 사장은 부친과 함께 회사 경영을 이끌어왔다.
작년 말 조 회장이 요양 목적으로 미국으로 출국하자 올해 시무식을 직접 챙기며 전면에서 경영 행보를 보였다.
그는 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 대표이사도 맡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대한항공의 경우 기존 사내이사 3명을 유지하면서 조 사장 체제로 전환될 것"이라며 "조 사장이 대한항공의 대표이사 및 회장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조 사장으로의 경영권 승계가 추진되겠지만, 조 회장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지분 상속 및 승계가 순탄하게 이뤄지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 지분 구조를 보면 조 회장 일가의 우호 지분이 28.95%다.
이 가운데 조 회장이 17.84%를 보유하고 있고, 조원태 사장 2.34%, 장녀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2.31%, 차녀 조현민 전 대한항공 전무 2.30% 등으로 조 회장 자녀들의 지분은 그리 크지 않다.
안정적인 경영권 승계를 위해서는 상속세와 지분 이양 등 숙제를 풀어야 하는데, 갑작스러운 별세로 시간이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상속세율을 50%로 가정할 때(상속세율 단순 적용), 한진칼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20.03%이고, KCGI 및 국민연금의 합산지분은 20.81%여서 단순 계산으로도 조 사장 측이 최대주주 지위를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조 사장이 그동안 아버지 그늘에 가려 뚜렷하게 내세울 만한 경영성과가 없었다는 점도 극복해야 할 숙제로 꼽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