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신문, 분조관리제 분배 모범 협동농장 소개…물질적 인센티브 부여 초점
北, '일한 만큼 현물 받는' 제도 정착에 안간힘
북한이 농업생산을 늘리기 위해 '분조관리제 내 포전(논밭)담당책임제'에 따른 엄격한 분배 제도의 정착과 이를 통한 물질적 인센티브의 부여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이후 2013년부터 협동농장의 운영을 종전 수십명 규모의 작업반 단위에서 말단인 10∼15명 분조로 전환하고 특히 분조 내에서 3∼5명 중심으로 '포전담당책임제'를 도입했는데, 이는 농업분야의 시장 개혁적 조치로 꼽힌다.

그런데도 '일한 만큼, 번 만큼'에 대한 '공정한 일당' 평가와 분배, 생산물 처분 권한 등에서 문제점이 있어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은 지난해 12월 제4차 전국농업부문열성자회의를 열고 포전담당책임제의 우월성이 최대한 발양되지 못한 데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등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8일 '과학 농사와 분조관리제를 틀어쥐면 풍년을 안아올 수 있다' 제목의 기사에서 황해남도 재령군 복지협동농장에서 분조관리제와 포전담당 책임제의 정확한 운영을 통해 일한 만큼, 수확을 낸 만큼 분배받는 제도를 정착시킨 과정을 모범 사례로 상세히 소개했다.
北, '일한 만큼 현물 받는' 제도 정착에 안간힘
신문에 따르면 복지농장에서는 정확한 분배를 위해 하루 일이 끝나면 분조장 뿐 아니라 농근맹 초급간부와 선동원 등 여러 명이 마주 앉아 당일 분조원들의 '일당'을 공평하게 평가토록 했다.

과거에는 분조장 일인의 일방적 평가에만 의존했지만, 여러 명이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것이다.

신문은 분조장 일인 평가제도의 부작용에 대해 "(매일)정상적으로 로력공수(일당) 평가를 하지 못하거나 로력공수를 얼굴을 봐가며 주는 것과 같은 편향이 제기되곤 했고 그 후과(결과)는 농장원들의 생산 열의를 떨어뜨리고 분조의 단합에 저해를 줬으며 나아가 알곡 생산을 늘리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농장 관리위원회는 또 연초가 오면 농장원들과 분배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약속하고 가을에는 그 약속에 따라 "농장원별 가동일수(일한 날짜), 로력공수, 공동노동참가실태, 알곡 수매량 등을 일일이 계산"해 무조건 일한 만큼, 번 만큼 현물을 분배했다.

사실 분조관리제 이전에는 생산한 모든 곡물을 전부 낮은 국정 가격으로 국가 기관에 수매해야만 하는 현금 분배 제도로 인해 농민들의 피해가 컸다.

김정은 위원장의 집권 이후 토지사용료, 관개 및 전기 사용료, 농자재 대금, 지원 인력 등 국가가 제공한 영농물자 비용만 국가에 의무적으로 수매하고 나머지 생산물을 일한 만큼, 수확한 만큼 현물로 받도록 했다.
北, '일한 만큼 현물 받는' 제도 정착에 안간힘
특히 북한은 분배받은 현물을 국가 수매가 아닌, 기업체 등 지정된 기관 등에 협상을 통해 가격을 흥정해 판매할 수 있도록 했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나 복지농장 관리위원회는 엄격한 분배 제도의 정착을 통해 곡물 생산을 대폭 늘릴 수 있었고, 노동신문도 "몇해 먹을 쌀이 차례지는 가정들이 늘어나 농장원들의 생산열의가 고조됐다는 것은 더 말할 것도 없다"고 밝혔다.

복지협동농장에서는 이외에도 일한 만큼, 번 만큼 엄격한 분배 제도의 정착을 위해 좋은 땅과 나쁜 땅을 균등하게 나누도록 하고 3∼5명의 포전담당도 성별과 나이, 건강과 기술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성했다.

논밭의 지력과 인적 구성이 공평하지 않다 보니 1정보당(1정보는 3천평) 논벼 수확량이 무려 3t 이상 차이 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농민들의 불평불만을 야기하고 사기도 저하했기 때문이다.

농장 관리위원회의 이런 노력으로 분조관리제 내 포전담당책임제를 도입하기 6년 전보다 논 1정보당 1t의 쌀을 더 생산할 수 있게 됐다고 노동신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