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11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 /한경DB
문 대통령, 11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 /한경DB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워싱턴 DC로 떠난다. 1박 3일 일정으로 이뤄지는 이번 방미에서 문 대통령은 하노이 핵 담판 결렬 이후 교착상태에 접어든 미북 간 비핵화 협상의 동력을 살리는 데에 힘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10일(이하 현지시간) 오후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해 영빈관에서 하룻밤을 지낸다.

문 대통령은 이튿날인 11일 오전 영빈관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차례로 접견한다. 이어 정오부터는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2시간 가량 만나며 비핵화 해법을 두고 머리를 맞댄다.

정상회담은 정상 내외가 참석하는 친교를 겸한 단독회담과 핵심 각료 및 참모들이 배석해 이뤄지는 확대회담을 겸한 업무오찬 순서로 진행된다.

특히 일괄타결론을 주장하는 미국과 단계적 해법을 주장하는 북한이 맞서고 있는 가운데, 한미정상이 이 간극을 얼마나 좁힐 수 있을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청와대가 비핵화 진전을 위해서는 '연속적 조기 수확(early harvest)'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문 대통령이 회담에서 '단계적 대북 보상'을 거론하며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김 여사는 11일 오전 워싱턴 인근 초등학교를 방문한 뒤,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일대일 오찬을 한다. 한국 대통령의 방미 시 한미 정상 부인이 단독으로 오찬을 하는 것은 30년 만이다.

문 대통령 내외는 이 같은 일정을 마치고 11일 오후 공항을 출발해 한국시간으로 12일 밤늦게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할 예정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최종 상태, 즉 '엔드 스테이트'에 대해서는 한미 간 의견이 일치한다. 그리고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 필요성도 의견이 일치한다"며 "양 정상이 이런 것에 대해 심도있게 대화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지금 이 시점에서 봤을 때는 북한과 미국의 신뢰를 가지고 있는 분은 문 대통령"이라며 "작년 5월 미북회담이 취소된 다음 판문점에서 원포인트 남북정상회담, 6월12일에 미북회담 열렸듯 아마 이번에도 우리 역할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