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크라우드펀딩 자금조달 31% 증가…수익률은 제각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영화 '너의이름은' 수익률 41%로 역대 최고
원금 전액손실 사례도
올해 초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연간 모집 한도가 확대되고서 이를 통한 창업·벤처기업의 자금조달 규모가 대폭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40% 넘는 투자이익을 본 경우도 있지만, 투자원금을 전액 까먹은 사례도 발생하는 등 사안별로 차이가 컸다.
1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43개 창업·벤처기업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114억원(44건)의 자금을 조달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보다 건수는 8.3% 줄었지만, 금액은 31.0% 늘어난 것이다.
올해 1월 연간 모집 한도가 7억원에서 15억원으로 확대된 영향이 컸다.
실제로 1분기 건당 평균 조달금액은 2억6천만원으로 지난해 연평균(1억6천만원)보다 62.5%나 증가했다.
이미 종전 발행 한도인 7억원을 초과해 자금을 조달한 사례들도 나오고 있다.
벤처기업 '두물머리'는 알고리즘 기반의 펀드 추천서비스인 '불리오'를 기반으로 15억원의 자금을 모집했다.
또 주식회사 '지피페스트'가 뮤직 페스티벌(그린플러그드) 개최 자금 9억7천만원을 조달했고 '타임기술'이 선진 군수지원 사업을 위한 자금 9억3천만원을 모았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이 2016년 도입된 이후 지난해까지 3년간 총 417개 창업·벤처기업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755억원의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펀딩 성공 건수는 2016년 115건에서 2017년 183건으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185건으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펀딩에 성공한 기업의 업력은 평균 3년 4개월이고 이 가운데 업력 3년 이하 기업이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모집 규모별로 보면 2억원 이하 자금조달이 74% 수준이다.
전체 투자자는 3만9천152명이며 이 중 일반투자자가 93.8%(3만6천726명)를 차지했고 적격투자자 3.4%(1천336명), 전문투자자 2.8%(1천90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투자 금액 기준으로 보면 일반투자자 비중이 52.5%(396억원)에 달했고 전문투자자 41.0%(310억원), 적격투자자 6.5%(49억원) 등 순이었다.
일반투자자는 1년에 기업당 500만원씩 총 1천만원까지 투자할 수 있지만 일정 소득을 갖춘 적격투자자는 기업당 1천만원씩 2천만원까지 투자할 수 있고 전문투자자는 투자에 제한이 없다.
성공한 펀드당 투자자 수는 평균 81명이고 투자금액은 193만원이었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지속해서 참여하는 투자자도 적지 않았다.
총 5차례 이상 투자한 일반투자자는 1천332명이고 최대 56차례나 투자한 사레도 있었다.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한 기업 중 92곳은 이후 583억원의 후속투자금과 164억원의 정책자금을 유치하기도 했다.
펀딩 성공기업 중 197곳은 지난해 535명을 신규 고용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만기가 지난 채무증권 88건 중 55건은 투자이익이 발생했고 27건은 투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6건은 원금만 상환했다.
투자이익이 발생한 채권의 수익률은 평균 8.3%(연율 10.5%)였고 최고 수익률은 41.2%(연율 80%)에 달했다.
예를 들어 영화 '너의 이름은' 배급 사업의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한 투자자는 기본이율 10%(연율)에 추가이율 70%(연율)를 받았다.
이에 비해 투자 손실이 발생한 채권의 손실률은 평균 64.3%였고 원금 전액손실도 10건(18억9천만원)에 달했다.
예탁결제원은 오는 3분기 중에는 투자자들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채권 투자와 관련된 위험성 등을 더욱 쉽게 이해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채권의 상환건수, 금액, 부도율 등 통계를 매 분기 집계해 공개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허용기업을 창업·벤처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확대하고자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상반기 중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코스닥 상장사에 상장 후 3년간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허용하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도 연내 추진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원금 전액손실 사례도

투자자 입장에서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40% 넘는 투자이익을 본 경우도 있지만, 투자원금을 전액 까먹은 사례도 발생하는 등 사안별로 차이가 컸다.
이는 지난해 동기보다 건수는 8.3% 줄었지만, 금액은 31.0% 늘어난 것이다.
올해 1월 연간 모집 한도가 7억원에서 15억원으로 확대된 영향이 컸다.
이미 종전 발행 한도인 7억원을 초과해 자금을 조달한 사례들도 나오고 있다.
벤처기업 '두물머리'는 알고리즘 기반의 펀드 추천서비스인 '불리오'를 기반으로 15억원의 자금을 모집했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이 2016년 도입된 이후 지난해까지 3년간 총 417개 창업·벤처기업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755억원의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펀딩 성공 건수는 2016년 115건에서 2017년 183건으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185건으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체 투자자는 3만9천152명이며 이 중 일반투자자가 93.8%(3만6천726명)를 차지했고 적격투자자 3.4%(1천336명), 전문투자자 2.8%(1천90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투자 금액 기준으로 보면 일반투자자 비중이 52.5%(396억원)에 달했고 전문투자자 41.0%(310억원), 적격투자자 6.5%(49억원) 등 순이었다.
일반투자자는 1년에 기업당 500만원씩 총 1천만원까지 투자할 수 있지만 일정 소득을 갖춘 적격투자자는 기업당 1천만원씩 2천만원까지 투자할 수 있고 전문투자자는 투자에 제한이 없다.
성공한 펀드당 투자자 수는 평균 81명이고 투자금액은 193만원이었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지속해서 참여하는 투자자도 적지 않았다.
총 5차례 이상 투자한 일반투자자는 1천332명이고 최대 56차례나 투자한 사레도 있었다.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한 기업 중 92곳은 이후 583억원의 후속투자금과 164억원의 정책자금을 유치하기도 했다.
펀딩 성공기업 중 197곳은 지난해 535명을 신규 고용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만기가 지난 채무증권 88건 중 55건은 투자이익이 발생했고 27건은 투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6건은 원금만 상환했다.
투자이익이 발생한 채권의 수익률은 평균 8.3%(연율 10.5%)였고 최고 수익률은 41.2%(연율 80%)에 달했다.
예를 들어 영화 '너의 이름은' 배급 사업의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한 투자자는 기본이율 10%(연율)에 추가이율 70%(연율)를 받았다.
이에 비해 투자 손실이 발생한 채권의 손실률은 평균 64.3%였고 원금 전액손실도 10건(18억9천만원)에 달했다.
예탁결제원은 오는 3분기 중에는 투자자들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의 채권 투자와 관련된 위험성 등을 더욱 쉽게 이해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채권의 상환건수, 금액, 부도율 등 통계를 매 분기 집계해 공개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허용기업을 창업·벤처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확대하고자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상반기 중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코스닥 상장사에 상장 후 3년간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을 허용하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도 연내 추진하기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