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 리스크'에 노출된 세계 GDP 2.3%…한국은 2.9%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블룸버그, OECD 데이터 분석…브렉시트·미중 갈등·車관세 영향
보호주의에 따른 글로벌 통상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주요 통상 분쟁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다.
14일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계 경제가 보호주의에 바탕을 둔 주요 무역 리스크에 노출된 규모를 분석한 결과, 세계 총생산(GDP)의 2.3% 수준으로 집계됐다.
국가별로 한국 GDP의 2.9%가 무역 보호주의의 영향권에 있으며 영국(10.4%)과 노르웨이(6.7%), 중국(4.3%), 멕시코(4.3%) 경제도 큰 리스크에 노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스마트폰에 동아시아 국가들과 미국의 자원과 부품이 혼합돼 사용되는 것처럼 공급망이 국경을 종횡으로 넘나드는 세계 무역의 현실을 반영해 산출한 것이라고 메이바 커즌·톰 올릭 이코노미스트는 설명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가 지목한 최대 주요 리스크는 ▲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 미국·중국 무역전쟁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부과 등 세 가지다.
브렉시트는 유럽연합(EU) 내 자유로운 사람과 물자의 이동에 대한 반발로 시작돼 영국 국민투표로 현실화했다.
EU와 영국이 난항 끝에 10월 말까지로 시한을 6개월 연장했으나 여전히 세계 경제에 최대 리스크 중 하나로 남아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글로벌 GDP의 0.9%가 브렉시트 무역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고 진단했다.
영국과 아일랜드가 각각 경제 규모의 10% 안팎에 대해 리스크에 직면했으며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등 영국과 무역 연관성이 높은 작은 유럽 국가 경제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로존 전체로는 역내 GDP의 2.7%가 영향권에 있다.
올해 유로존 성장률 전망치가 1.1%라는 점에서 리스크가 현실화하면 큰 타격이 된다. 미·중 무역전쟁 역시 지난해 본격화하면서 전 세계를 뒤흔든 최대 이슈 중 하나로, 양국이 관세 폭탄을 주고받는 전쟁을 벌이다가 봉합 국면에 들어섰다.
하지만, 양국이 합의에 이르더라도 당장 양국이 상호 부과한 관세가 철폐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경제 패권을 둘러싼 양국의 근본적인 갈등도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GDP에서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리스크는 1%를 차지한다.
중국 경제가 3.9%로 가장 큰 리스크에 노출돼 있고 미국도 1.3%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경제는 0.8%, 대만 경제는 1.7% 위험에 처한 것으로 분석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과의 관세 전쟁이 끝나가자 포문을 EU와 일본으로 돌리고 있다.
이때 미국의 최대 '무기'는 자동차 관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는 유럽 국가들과 일본, 한국 등의 주력 수출 품목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자동차가 미국의 국가안보에 가하는 위협을 근거로 관세를 매길 수 있는지 검토하도록 상무부에 지시해 그 결과물을 받아둔 상태다.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면 세계 GDP의 0.4%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분석했다.
멕시코가 GDP의 4%만큼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한국이 1.9%, 독일 자동차와 연계가 많은 헝가리는 1.7% 등으로 리스크 노출도가 높다.
독일의 위험 노출 정도는 GDP의 1.2%, 일본은 1.1%다.
보호무역은 'R(경기침체·Recession) 공포'가 고개를 들고 있는 글로벌 경제에 최대 위협 요인으로 지목된다.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정경제장관은 지난 11일 미 CNBC와 한 인터뷰에서 "우리는 무역전쟁을 피해야 한다.
글로벌 차원으로나 유럽 차원으로나 경기 둔화에 직면해 있으며 그 이유가 바로 전 세계를 둘러싼 통상 갈등 때문"이라며 "미·EU의 무역갈등은 정치적, 경제적 실수가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기타 고피나트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우리는 무역갈등의 고조를 중대한 리스크로 본다"며 "미국과 중국간 진전이 있었고 가까운 미래에 합의에 이를 수도 있지만, 자동차와 같은 다른 부문들에서 갈등 고조를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IMF는 지난 9일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3%로 직전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내려 9개월 만에 세 번째로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연합뉴스
14일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계 경제가 보호주의에 바탕을 둔 주요 무역 리스크에 노출된 규모를 분석한 결과, 세계 총생산(GDP)의 2.3% 수준으로 집계됐다.
국가별로 한국 GDP의 2.9%가 무역 보호주의의 영향권에 있으며 영국(10.4%)과 노르웨이(6.7%), 중국(4.3%), 멕시코(4.3%) 경제도 큰 리스크에 노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스마트폰에 동아시아 국가들과 미국의 자원과 부품이 혼합돼 사용되는 것처럼 공급망이 국경을 종횡으로 넘나드는 세계 무역의 현실을 반영해 산출한 것이라고 메이바 커즌·톰 올릭 이코노미스트는 설명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가 지목한 최대 주요 리스크는 ▲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 미국·중국 무역전쟁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부과 등 세 가지다.
브렉시트는 유럽연합(EU) 내 자유로운 사람과 물자의 이동에 대한 반발로 시작돼 영국 국민투표로 현실화했다.
EU와 영국이 난항 끝에 10월 말까지로 시한을 6개월 연장했으나 여전히 세계 경제에 최대 리스크 중 하나로 남아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글로벌 GDP의 0.9%가 브렉시트 무역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고 진단했다.
영국과 아일랜드가 각각 경제 규모의 10% 안팎에 대해 리스크에 직면했으며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등 영국과 무역 연관성이 높은 작은 유럽 국가 경제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로존 전체로는 역내 GDP의 2.7%가 영향권에 있다.
올해 유로존 성장률 전망치가 1.1%라는 점에서 리스크가 현실화하면 큰 타격이 된다. 미·중 무역전쟁 역시 지난해 본격화하면서 전 세계를 뒤흔든 최대 이슈 중 하나로, 양국이 관세 폭탄을 주고받는 전쟁을 벌이다가 봉합 국면에 들어섰다.
하지만, 양국이 합의에 이르더라도 당장 양국이 상호 부과한 관세가 철폐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경제 패권을 둘러싼 양국의 근본적인 갈등도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GDP에서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리스크는 1%를 차지한다.
중국 경제가 3.9%로 가장 큰 리스크에 노출돼 있고 미국도 1.3%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경제는 0.8%, 대만 경제는 1.7% 위험에 처한 것으로 분석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과의 관세 전쟁이 끝나가자 포문을 EU와 일본으로 돌리고 있다.
이때 미국의 최대 '무기'는 자동차 관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는 유럽 국가들과 일본, 한국 등의 주력 수출 품목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자동차가 미국의 국가안보에 가하는 위협을 근거로 관세를 매길 수 있는지 검토하도록 상무부에 지시해 그 결과물을 받아둔 상태다.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면 세계 GDP의 0.4%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분석했다.
멕시코가 GDP의 4%만큼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한국이 1.9%, 독일 자동차와 연계가 많은 헝가리는 1.7% 등으로 리스크 노출도가 높다.
독일의 위험 노출 정도는 GDP의 1.2%, 일본은 1.1%다.
보호무역은 'R(경기침체·Recession) 공포'가 고개를 들고 있는 글로벌 경제에 최대 위협 요인으로 지목된다.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정경제장관은 지난 11일 미 CNBC와 한 인터뷰에서 "우리는 무역전쟁을 피해야 한다.
글로벌 차원으로나 유럽 차원으로나 경기 둔화에 직면해 있으며 그 이유가 바로 전 세계를 둘러싼 통상 갈등 때문"이라며 "미·EU의 무역갈등은 정치적, 경제적 실수가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기타 고피나트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우리는 무역갈등의 고조를 중대한 리스크로 본다"며 "미국과 중국간 진전이 있었고 가까운 미래에 합의에 이를 수도 있지만, 자동차와 같은 다른 부문들에서 갈등 고조를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IMF는 지난 9일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3%로 직전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내려 9개월 만에 세 번째로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