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신진대사 역류…성장동력은 '주춤'·쇠퇴업종은 '쑥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20년 동안 글로벌 성장 업종에서 국내 제조업의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쇠퇴 업종에서는 오히려 점유율이 오르고 있어 '산업 신진대사'가 역류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15일 대한상공회의소의 '한국 제조업의 중장기 추세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07년과 2017년의 수출액 상위 10개 품목을 비교한 결과 이 가운데 2개만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부품과 모니터가 10대 품목에서 빠진 대신 특수선박(해양플랜트)과 유화원료가 새로 포함됐다.
같은 기간 중국에서는 인쇄기와 스웨터, 변압기, 여성정장 등 4개가 10대 수출품목에서 제외됐다. 반대로 자동차부품과 램프·조명기구, 가죽가방, 가구 등이 추가된 것과 비교하면 국내 제조업의 교체율은 중국의 절반에 그친 셈이다. 선진국 진영과 비교해도 독일(3개 교체)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미국(각 2개 교체)과는 같았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10대 품목의 비중은 한국이 지난 2017년 기준으로 46.6%에 달해 일본(33.8%)과 중국(27.9%), 독일(28.0%), 미국(30.1%) 등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10년 동안 수출 상위 10개 품목 가운데 8개가 바뀌지 않고 10대 수출품목의 비중이 경쟁국들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높다는 것은 제조업의 고착화와 편중화를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무역 규모가 증가하는 성장 업종에서는 부진한 반면 성장력이 떨어지며 도태되거나 사양의 조짐이 보이는 업종에서는 점유율이 더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계 주요 40개 제조업종 가운데 석유정제, 통신, 의약, 비철금속, 정밀기기 등이 '5대 성장 업종'으로 분류됐는데, 한국은 지난 1995년과 2016년 사이에 통신기기와 의약, 비철금속 업종에서 글로벌 생산 점유율이 하락했다. 하지만 제지와 섬유, 특수목적기계, 의류, 일반가전 등 '5대 쇠퇴 업종' 가운데서는 섬유만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기간에 글로벌 점유율이 상승했다.
제조업 부문의 차세대 신산업으로 화장품과 의약 업종이 부상하고 있지만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0.86%와 0.55%에 그쳐 주력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에는 미약한 수준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서비스산업에서는 게임이 '한류 콘텐츠 산업'의 선도 업종으로 집중 육성되고 있지만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10위권 기업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제조업의 국내 생산액이 2012년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고 해외법인 매출액도 2014년 이후 감소하는 등 우리 제조업은 중장기적인 쇠락 추세에 진입한 상태"라면서 "특히 제조업의 역동성과 신진대사가 저조하다"고 진단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5일 대한상공회의소의 '한국 제조업의 중장기 추세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07년과 2017년의 수출액 상위 10개 품목을 비교한 결과 이 가운데 2개만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부품과 모니터가 10대 품목에서 빠진 대신 특수선박(해양플랜트)과 유화원료가 새로 포함됐다.
같은 기간 중국에서는 인쇄기와 스웨터, 변압기, 여성정장 등 4개가 10대 수출품목에서 제외됐다. 반대로 자동차부품과 램프·조명기구, 가죽가방, 가구 등이 추가된 것과 비교하면 국내 제조업의 교체율은 중국의 절반에 그친 셈이다. 선진국 진영과 비교해도 독일(3개 교체)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미국(각 2개 교체)과는 같았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10대 품목의 비중은 한국이 지난 2017년 기준으로 46.6%에 달해 일본(33.8%)과 중국(27.9%), 독일(28.0%), 미국(30.1%) 등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10년 동안 수출 상위 10개 품목 가운데 8개가 바뀌지 않고 10대 수출품목의 비중이 경쟁국들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높다는 것은 제조업의 고착화와 편중화를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무역 규모가 증가하는 성장 업종에서는 부진한 반면 성장력이 떨어지며 도태되거나 사양의 조짐이 보이는 업종에서는 점유율이 더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계 주요 40개 제조업종 가운데 석유정제, 통신, 의약, 비철금속, 정밀기기 등이 '5대 성장 업종'으로 분류됐는데, 한국은 지난 1995년과 2016년 사이에 통신기기와 의약, 비철금속 업종에서 글로벌 생산 점유율이 하락했다. 하지만 제지와 섬유, 특수목적기계, 의류, 일반가전 등 '5대 쇠퇴 업종' 가운데서는 섬유만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기간에 글로벌 점유율이 상승했다.
제조업 부문의 차세대 신산업으로 화장품과 의약 업종이 부상하고 있지만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0.86%와 0.55%에 그쳐 주력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에는 미약한 수준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서비스산업에서는 게임이 '한류 콘텐츠 산업'의 선도 업종으로 집중 육성되고 있지만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10위권 기업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제조업의 국내 생산액이 2012년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고 해외법인 매출액도 2014년 이후 감소하는 등 우리 제조업은 중장기적인 쇠락 추세에 진입한 상태"라면서 "특히 제조업의 역동성과 신진대사가 저조하다"고 진단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