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공개발언 부작용 경계…다각도 대북접촉 통해 충분히 조율할듯
남북회담 조기추진 방침, 특사 곧 결정될 수도…정의용·서훈 등 거론
대북특사 언급 삼간 文대통령…물밑 준비부터 '신중 모드'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수석·보좌관 회의 모두발언에서 남북정상회담 추진 의지를 거듭 천명하면서도, 최근 관심을 모은 '대북특사 파견'과 관련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전날 기자들을 만나 '문 대통령이 회의에서 대북특사 문제를 언급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 "그 이슈를 포함해 대통령의 언급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한 바 있다.

이후 청와대 안팎에서는 문 대통령이 이날 회의에서 대북특사에 대한 입장을 내놓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지만, 결국 특사 관련 내용은 문 대통령의 발언에 포함되지 않았다.

여기에는 특사 파견이 지나치게 빨리 공식화됐을 때의 부작용에 대한 문 대통령의 우려가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대북특사가 북한이라는 상대방이 있는 사안임을 고려하면, 문 대통령으로서는 충분한 물밑 조율을 거치고 나서 공개적으로 거론해야 한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이는 그만큼 문 대통령이 대북 소통 문제에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는 방증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후 남북관계나 북미관계 모두 살얼음판을 걷듯 아슬아슬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며 "문 대통령도 남북관계를 한층 신중하게 풀어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여기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남측은) 오지랖 넓은 '중재자'·'촉진자' 행세를 할 게 아니라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돼야 한다"고 발언한 것 역시, 문 대통령의 이런 '신중론'에 무게를 실었으리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청와대 내에서는 문 대통령이 이른 시일 안에 대북특사 파견 시기나 명단을 확정 짓지는 않으리라는 예상이 나온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북한과의 다각도 물밑 접촉을 통해 논의를 숙성시킨 후 특사 문제를 공론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대북특사 언급 삼간 文대통령…물밑 준비부터 '신중 모드'
그러나 문 대통령이 이날 남북정상회담 추진 의지를 거듭 피력한 만큼, 회담의 '디딤돌' 역할을 하는 대북특사 파견 역시 지나치게 지연되지는 않으리라는 의견도 동시에 제기된다.

곧 4·27 1차 남북정상회담 1주년이 다가오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도 추진되는 등 굵직한 일정들이 줄줄이 예정돼 있어, 문 대통령으로서는 특사 파견을 통한 남북대화 분위기 조성을 마냥 미룰 수 없으리라는 분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16∼23일) 기간 전격적으로 특사를 파견할 가능성 역시 배제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대북특사 후보 중 하나로 거론되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문 대통령의 순방에 동행하지 않는다는 점 역시 이런 관측의 근거로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 내에서는 정 실장과 함께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특사 후보군으로 꼽히고 있다.

두 사람은 지난해 3월과 9월에 각각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과 특사로 북한을 다녀온 바 있다.

북한과 이뤄지는 대화의 연속성 등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동일한 멤버가 문 대통령의 메시지를 들고 북한을 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