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특사' 신중모드…언급 삼간 문 대통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수석·보좌관 회의 모두발언에서 남북정상회담 추진 의지를 거듭 천명하면서도 대북특사 파견과 관련해서는 언급을 삼갔다. 특사 파견이 지나치게 빨리 공식화될 경우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앞서 청와대 관계자는 전날 기자들을 만나 "대북특사 등을 포함해 대통령의 언급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결국 특사 관련 내용은 문 대통령의 발언에 포함되지 않았다.
대북특사는 북한이라는 상대방이 있는 사안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충분한 물밑 조율을 거치고 나서 공개적으로 거론해야 한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이는 그만큼 문 대통령이 대북 소통 문제에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는 방증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여기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남측은 오지랖 넓은 '중재자'·'촉진자' 행세를 할 게 아니라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돼야 한다"고 발언한 것 역시 문 대통령의 이런 '신중론'에 무게를 실었으리라는 해석이 나온다.
결국 청와대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북한과의 다각도 물밑 접촉을 통해 논의를 숙성시킨 뒤 특사 문제를 공론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남북정상회담의 디딤돌 역할을 하는 대북특사 파견이 지나치게 지연되지는 않으리라는 의견도 동시에 제기된다. 곧 4·27 1차 남북정상회담 1주년이 다가오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도 추진되는 등 굵직한 일정들이 줄줄이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특사 파견을 통한 남북대화 분위기 조성을 마냥 미룰 수 없다.
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16∼23일) 기간 전격적으로 특사를 파견할 가능성 역시 배제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흘러나온다. 대북특사 후보 중 하나로 거론되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문 대통령의 순방에 동행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런 관측에 무게를 더한다. 청와대 내에서는 정 실장과 함께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특사 후보군으로 꼽히고 있다. 두 사람은 지난해 3월과 9월에 각각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과 특사로 북한을 다녀온 바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앞서 청와대 관계자는 전날 기자들을 만나 "대북특사 등을 포함해 대통령의 언급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결국 특사 관련 내용은 문 대통령의 발언에 포함되지 않았다.
대북특사는 북한이라는 상대방이 있는 사안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충분한 물밑 조율을 거치고 나서 공개적으로 거론해야 한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이는 그만큼 문 대통령이 대북 소통 문제에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는 방증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여기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남측은 오지랖 넓은 '중재자'·'촉진자' 행세를 할 게 아니라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돼야 한다"고 발언한 것 역시 문 대통령의 이런 '신중론'에 무게를 실었으리라는 해석이 나온다.
결국 청와대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북한과의 다각도 물밑 접촉을 통해 논의를 숙성시킨 뒤 특사 문제를 공론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남북정상회담의 디딤돌 역할을 하는 대북특사 파견이 지나치게 지연되지는 않으리라는 의견도 동시에 제기된다. 곧 4·27 1차 남북정상회담 1주년이 다가오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도 추진되는 등 굵직한 일정들이 줄줄이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특사 파견을 통한 남북대화 분위기 조성을 마냥 미룰 수 없다.
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16∼23일) 기간 전격적으로 특사를 파견할 가능성 역시 배제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흘러나온다. 대북특사 후보 중 하나로 거론되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문 대통령의 순방에 동행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런 관측에 무게를 더한다. 청와대 내에서는 정 실장과 함께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특사 후보군으로 꼽히고 있다. 두 사람은 지난해 3월과 9월에 각각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과 특사로 북한을 다녀온 바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