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부담…인천~서울 광역버스 운행 중단 속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천지교통, 노선 반납
송도~서울 M버스는 16일 폐쇄
송도~서울 M버스는 16일 폐쇄
인천과 서울 주요 도심을 운행하는 광역버스들이 경영환경 악화로 노선 운행을 잇달아 중단하고 있다. 노선이 줄고 배차 간격이 늘어나면서 서울과 인천을 오가는 하루 5만여 명의 승객이 큰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인천~서울 간 광역버스는 6개 업체가 19개 노선에서 259대를 운행하고 있다.
운행 중단 신청 잇달아
15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광역버스 운송업체 중 천지교통이 적자를 견디다 못해 지난 12일 광역버스 2500번의 운행 중단을 신청했다. 이 버스는 인천 계산삼거리에서 서울 공덕역까지 왕복 운행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천지교통이 이 노선 사업권을 반납했기 때문에 시민 불편이 없도록 기존 노선을 재조정하고, 새로운 사업자를 서둘러 선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삼화교통도 인천 송도에서 서울 잠실과 여의도를 왕복하는 M6635, M6336번 광역급행버스(M버스) 운행을 16일부터 중단한다. 광역버스업체들은 “운행 횟수 축소, 일부 노선의 직선화 등 비용 절감을 위한 다양한 자구책을 시행했지만 적자경영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이 와중에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로제가 실질적인 재무 압박으로 다가와 적자 노선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인천의 A광역버스업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서울을 왕복하는 차량의 10%를 휴업 차량으로 신고했다. 운행 차량을 출퇴근 시간에 집중 배치하고 낮에는 가급적 운행을 줄이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도 했다. 회사 관계자는 “시민 불편을 알지만 비용 절감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며 “내년부터 주 52시간 근로제가 적용되면 버스 1대의 기사가 2명에서 2.78명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수익을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B광역버스업체도 차량 보험료와 주유비를 절감하기 위해 전체 운행 차량의 5%를 쉬게 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이 회사도 주 52시간 근로제가 의무 적용되기 전에 일부 노선의 폐선 신청을 고민하고 있다. 광역버스는 출퇴근 시간대에만 승객이 북적일 뿐 낮에는 텅 빈 상태로 운행하기 때문에 흑자 전환이 쉽지 않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얘기다.
인천시 “광역버스 지원 어려워”
광역버스 인허가권자인 인천시는 업체들의 폐선 신청을 받아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매년 일반 시내버스의 적자 보전금이 1000억원을 넘는 상황에서 광역버스까지 지원하기는 어렵다는 게 인천시의 얘기다. 시 관계자는 “광역버스업체들이 폐선을 신청할 정도로 운행 적자가 쌓이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당장 광역버스에 일반 버스처럼 준공영제를 도입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일부 광역버스업체는 지난 3월 출범한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에서 지원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대도시광역교통위는 M버스 문제가 더 시급하기 때문에 일반 광역버스는 아직 상황 파악도 제대로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도시광역교통위 관계자는 “광역버스 적자 운영 대책은 업무가 이관되고 현황을 파악해야 추진 방향을 알 수 있다”며 “준공영제, 노선 변경에 따른 수익 개선, 최소한의 교통요금 인상 등 다양한 방안이 있으나 지금은 어떤 대답도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
운행 중단 신청 잇달아
15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광역버스 운송업체 중 천지교통이 적자를 견디다 못해 지난 12일 광역버스 2500번의 운행 중단을 신청했다. 이 버스는 인천 계산삼거리에서 서울 공덕역까지 왕복 운행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천지교통이 이 노선 사업권을 반납했기 때문에 시민 불편이 없도록 기존 노선을 재조정하고, 새로운 사업자를 서둘러 선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삼화교통도 인천 송도에서 서울 잠실과 여의도를 왕복하는 M6635, M6336번 광역급행버스(M버스) 운행을 16일부터 중단한다. 광역버스업체들은 “운행 횟수 축소, 일부 노선의 직선화 등 비용 절감을 위한 다양한 자구책을 시행했지만 적자경영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이 와중에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로제가 실질적인 재무 압박으로 다가와 적자 노선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인천의 A광역버스업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서울을 왕복하는 차량의 10%를 휴업 차량으로 신고했다. 운행 차량을 출퇴근 시간에 집중 배치하고 낮에는 가급적 운행을 줄이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도 했다. 회사 관계자는 “시민 불편을 알지만 비용 절감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며 “내년부터 주 52시간 근로제가 적용되면 버스 1대의 기사가 2명에서 2.78명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수익을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B광역버스업체도 차량 보험료와 주유비를 절감하기 위해 전체 운행 차량의 5%를 쉬게 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이 회사도 주 52시간 근로제가 의무 적용되기 전에 일부 노선의 폐선 신청을 고민하고 있다. 광역버스는 출퇴근 시간대에만 승객이 북적일 뿐 낮에는 텅 빈 상태로 운행하기 때문에 흑자 전환이 쉽지 않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얘기다.
인천시 “광역버스 지원 어려워”
광역버스 인허가권자인 인천시는 업체들의 폐선 신청을 받아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매년 일반 시내버스의 적자 보전금이 1000억원을 넘는 상황에서 광역버스까지 지원하기는 어렵다는 게 인천시의 얘기다. 시 관계자는 “광역버스업체들이 폐선을 신청할 정도로 운행 적자가 쌓이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당장 광역버스에 일반 버스처럼 준공영제를 도입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일부 광역버스업체는 지난 3월 출범한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에서 지원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대도시광역교통위는 M버스 문제가 더 시급하기 때문에 일반 광역버스는 아직 상황 파악도 제대로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도시광역교통위 관계자는 “광역버스 적자 운영 대책은 업무가 이관되고 현황을 파악해야 추진 방향을 알 수 있다”며 “준공영제, 노선 변경에 따른 수익 개선, 최소한의 교통요금 인상 등 다양한 방안이 있으나 지금은 어떤 대답도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인천=강준완 기자 jeff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