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사람 금융백서] "경제활동가구 월소득 476만원…소득격차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소득 중 절반 소비…소득 수준 높을수록 교육비 비중 높아
최근 1년 사이 소득이 증가하고 소득 격차는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가 올랐음에도 총소득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가량을 유지했다.
주거·교육비는 꾸준히 늘어나 일반인들의 어깨를 무겁게 했다.
신한은행은 16일 '2019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은행 급여이체 고객(서울시 거주 94만명), 카드 거래 고객(서울시 거주 직장인 100만명), 조사 참여 고객(전국 만 20∼64세 경제생활자 1만명)의 금융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했다.
조사 대상자의 지난해 월평균 가구 총소득은 476만원이었다.
가구 총소득은 2016년 461만원에서 2017년 462만원으로 정체 양상이었지만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14만원 늘었다.
지난해 소득 1구간(하위 20%)의 평균 소득은 185만원, 5구간(상위 20%)은 892만원으로 소득 격차는 4.8배였다.
전년 5.2배에서 다소 완화됐다. 이는 중산층 이하 가구에서 소득이 많이 개선된 결과다.
1구간에서 소득은 지난해 8.8%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구간(5.7%), 3구간(5.2%)도 적지 않게 늘었다.
소득 상위 20%인 5구간은 전년보다 0.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증가액은 3구간이 22만원으로 1년 사이 소득이 가장 많이 늘었다.
5구간의 소득 증가액은 5만원이었다.
지난해 월평균 총소득 476만원을 기준으로 운용 현황을 보면 총소득의 절반가량인 238만원(49.9%)을 소비에 지출했다.
저축은 116만원(24.4%)을 하고, 부채 상환에는 40만원(8.4%)을 썼다.
잉여자금은 82만원(17.3%)이었다.
연령대별로 저축 비중은 20대가 33.5%로 가장 높고, 소비 비중은 40대가 52.0%로 최고였다.
결혼 여부 별 저축 비중은 미혼(33.9%)이 기혼(22.4%)보다 저축 비중이 11.5%포인트 높았고, 소비는 기혼(50.7%)이 미혼(46.2%)보다 4.5%포인트 높았다. 2016∼2018년 최근 2년 사이 소비액이 꾸준히 늘어난 항목은 주거비(월세)가 7만원으로 가장 컸다.
교육비(2만3천원), 의료비·건강보조제 구입비(2만1천원), 여가·운동·취미활동비(9천원), 가사서비스(8천원) 등도 2년 연속 소비액이 늘었다.
지난해 기준 월 소비액 238만원 가운데 식비가 48만원(20.2%)으로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교육비 29만원(12.2%), 교통비 21만원(8.8%), 여가·취미활동·유흥비 19만원(8.0%), 공과금·관리비 18만원(7.6%) 순이었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저소득층(월 300만원 미만)의 평균 소비액은 103만원, 중-저소득층(월 3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198만원, 중-고소득층(월 5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 288만원, 고소득층(월 700만원 이상)은 420만원이었다.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교육비 비중이 늘어났다.
특히 교육비 지출액이 고소득층이 64만원(15.2%)으로 저소득층 3만원(2.9%)의 21배나 됐다.
소득이 높을수록 교통비, 통신비, 주거비 비중은 감소했다.
결혼 여부 별로 보면 식비를 제외하고 미혼은 여가·취미활동·유흥비 비중이 12.8%로 가장 높은 반면, 기혼은 교육비(14.3%)에 가장 많이 썼다.
기혼의 교육비 지출액은 41만원으로 미혼 2만원의 20배가량 됐다. /연합뉴스
최근 1년 사이 소득이 증가하고 소득 격차는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가 올랐음에도 총소득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가량을 유지했다.
주거·교육비는 꾸준히 늘어나 일반인들의 어깨를 무겁게 했다.
신한은행은 16일 '2019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은행 급여이체 고객(서울시 거주 94만명), 카드 거래 고객(서울시 거주 직장인 100만명), 조사 참여 고객(전국 만 20∼64세 경제생활자 1만명)의 금융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했다.
조사 대상자의 지난해 월평균 가구 총소득은 476만원이었다.
가구 총소득은 2016년 461만원에서 2017년 462만원으로 정체 양상이었지만 지난해에는 전년보다 14만원 늘었다.
지난해 소득 1구간(하위 20%)의 평균 소득은 185만원, 5구간(상위 20%)은 892만원으로 소득 격차는 4.8배였다.
전년 5.2배에서 다소 완화됐다. 이는 중산층 이하 가구에서 소득이 많이 개선된 결과다.
1구간에서 소득은 지난해 8.8%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구간(5.7%), 3구간(5.2%)도 적지 않게 늘었다.
소득 상위 20%인 5구간은 전년보다 0.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증가액은 3구간이 22만원으로 1년 사이 소득이 가장 많이 늘었다.
5구간의 소득 증가액은 5만원이었다.
지난해 월평균 총소득 476만원을 기준으로 운용 현황을 보면 총소득의 절반가량인 238만원(49.9%)을 소비에 지출했다.
저축은 116만원(24.4%)을 하고, 부채 상환에는 40만원(8.4%)을 썼다.
잉여자금은 82만원(17.3%)이었다.
연령대별로 저축 비중은 20대가 33.5%로 가장 높고, 소비 비중은 40대가 52.0%로 최고였다.
결혼 여부 별 저축 비중은 미혼(33.9%)이 기혼(22.4%)보다 저축 비중이 11.5%포인트 높았고, 소비는 기혼(50.7%)이 미혼(46.2%)보다 4.5%포인트 높았다. 2016∼2018년 최근 2년 사이 소비액이 꾸준히 늘어난 항목은 주거비(월세)가 7만원으로 가장 컸다.
교육비(2만3천원), 의료비·건강보조제 구입비(2만1천원), 여가·운동·취미활동비(9천원), 가사서비스(8천원) 등도 2년 연속 소비액이 늘었다.
지난해 기준 월 소비액 238만원 가운데 식비가 48만원(20.2%)으로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교육비 29만원(12.2%), 교통비 21만원(8.8%), 여가·취미활동·유흥비 19만원(8.0%), 공과금·관리비 18만원(7.6%) 순이었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저소득층(월 300만원 미만)의 평균 소비액은 103만원, 중-저소득층(월 3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198만원, 중-고소득층(월 5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 288만원, 고소득층(월 700만원 이상)은 420만원이었다.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교육비 비중이 늘어났다.
특히 교육비 지출액이 고소득층이 64만원(15.2%)으로 저소득층 3만원(2.9%)의 21배나 됐다.
소득이 높을수록 교통비, 통신비, 주거비 비중은 감소했다.
결혼 여부 별로 보면 식비를 제외하고 미혼은 여가·취미활동·유흥비 비중이 12.8%로 가장 높은 반면, 기혼은 교육비(14.3%)에 가장 많이 썼다.
기혼의 교육비 지출액은 41만원으로 미혼 2만원의 20배가량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