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관계자는 "1차 마일스톤은 완료했고 2차 마일스톤은 이미 진행 중"이라며 "성공적으로 파이프라인이 도출되면 셀리버리의 약물 전달 기술인 '약리물질 생체 내 약물 전송기술(TSDT)'을 사용해 얻은 이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이전을 협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루게릭병, 근위축성측색경화증 등 신경계 질환은 현재 치료제가 없거나 증상을 완화하는 의약품만 출시됐다.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은 연평균 11%씩 성장해 오는 2022년에 2099억 달러(238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전체 처방 의약품 매출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수준이다.
셀리버리는 지난해 11월 성장성 특례 1호로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회사다. 단백질을 포함한 고분자 물질을 세포 또는 조직 안으로 전송하는 플랫폼 기술인 TSDT를 보유하고 있어 많은 국내외 제약사와 협업하고 있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