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진료받은 환자와 대화하는 문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원격진료받은 환자와 대화하는 문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두 분 의사 선생님의 관심을 받고, 한국에 가지 않아도 한국 의사 선생님을 뵐 수 있다는 게 좋습니다”(우즈베키스탄 여성 환자)

지난 18일 오후 타슈켄트 인하대병원. 투르크메니스탄 순방일정을 마치고 우즈베키스탄으로 넘어온 문재인 대통령은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타슈겐트 인하대’ 국제진료센터의 원격협진 시연현장부터 찾았다. 인하대 송준호 교수로부터 2016년 진료를 받고 온 환자를 두고 우즈베키스탄 의사와 협진이 진행됐다. 가슴 엑스레이와 CT 등을 영상으로 검토한 송 교수는 “즉각적 치료가 필요없으니 6개월뒤에 추적치료를 하자”는 진단을 내렸다.

이날 시연을 안내한 이동욱 우즈베키스탄 복지부 차관은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누구보다 보건의료 분야 발전의지가 강하고 원격의료에도 관심이 많다”고 전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이 차관 영입은 2017년 11월 한국을 국빈 방문한 미르지예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보건전문가 지원을 요청해 성사됐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대통령의 강한 의지 아래 의료서비스 개선에 사활을 걸고 있다. 우리 정부와 국립아동병원설립, 보건의료복합단지조성 등의 협력에 이어 문 대통령 방문 기간 중 ‘한·우즈베키스탄 보건의료협력센터’도 개소한다.

하지만 한국을 롤모델로 삼고 있다는 우즈베키스탄에 자신있게 ‘따라오라’하기 어려운 분야도 있다. 바로 이날 문 대통령이 현장을 찾은 원격의료 서비스다. 2000년 국내서 첫 도입된 원료진료는 지금까지 19년째 시범서비스만 맴돌고 있다. 지난해 8월 문 대통령은 “도서벽지에 있어 의료 혜택을 받기 어려운 환자들을 원격의료 하는 것은 선한 기능”이라며 원격진료 활성화를 당부했지만 국회는 요지부동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원격진료가 의료민영화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당내 소수파의 반대와 수도권 병원 집중화를 우려하는 지역 의료계의 반발을 의식해 8개월이 넘도록 개정안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원격협진 시연 현장에서 “우리 국민의 원격의료에 대한 인식도 점차 개선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이같은 상황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이국의 원격진료 시연현장에서 답답함을 토로하는 대통령의 고민에 여당이 답을 내놓을 차례다.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