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전망]1분기 어닝시즌 절정…"종목장세 이어질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번주(22~26일) 국내 증시는 기업들의 본격적인 1분기 실적 발표에 따라 개별 종목들의 성적표에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미국 증시가 기업들이 양호한 실적에 반등해 국내 증시 역시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개별 업종과 종목들의 실적, 중국발 상승동력(모멘텀)을 활용한 투자전략을 권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지수는 전주보다 26.73포인트(1.02%) 하락한 2216.15를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는 0.45% 내린 762.57이었다.
주 초반 꾸준히 오르던 지수는 연일 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주 후반 들어 이틀 연속 하락했다. 주 마지막 거래일인 금요일에 재차 반등에 나섰다.
◆기업 호실적에 반응한 美 증시
22일 한국 증시에 영향을 줄 미국 증시는 1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상승했다. 18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0.00포인트(0.42%) 상승한 26,559.54에 마감됐다. S&P500지수는 4.58포인트(0.16%) 오른 2905.03, 나스닥 종합지수는 1.98포인트(0.02%) 나아간 7998.06에 장을 마쳤다.
1분기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폭이 줄어든 것이 투자심리 개선을 도왔다. 이는 국내 증시에서도 시사하는 것이 있다는 분석이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200 기준 지난해 9월의 12개월 선행 예상 영업이익은 214조원이었으나 현재는 160조원을 밑돌면서 투심을 쪼그라들게 했다"며 "미 증시에서 보듯 앞으로 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이 멈추는 시기가 오면 국내 증시의 투심도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관건은 주요 반도체 기업의 실적이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코스피 1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 전망치는 각각 32조9000억원와 22조9000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1%와 33% 줄어들 전망이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자동차 화학 철강 IT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눈여겨 봐야할 것"이라며 "특히 반도체 기업 실적이 중요한데 1분기보다는 2분기 실적을 바닥으로 하반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투자 전략 역시 실적에 대응하라는 권고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당분간 시장은 글로벌 거시경제와 내부 실적 등에서 추가적인 상승동력을 확인하기 위해 쉬어갈 가능성이 높다"며 "개별 업종 및 종목을 활용한 투자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부양책을 감안해 자동차부품 비철금속 증권 패션 화장품을 비롯한 중국 소비재 등이 유망할 것"이라며 "글로벌 저금리 기조 고착화 등으로 고배당주와 우선주 투자도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김병연 연구원도 "실적 시즌 정점이라는 점에서 실적에 대한 관심 확대로 종목별로 차별화된 등락을 보일 것"이라며 "중국 관련주의 상승 동력이 강한 상황으로 중국 소비 관련주인 소재 산업재 미디어 게임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25일 한국 1분기 GDP 성장률 살펴야
오는 25일 발표되는 1분기 국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지켜봐야한다. 앞서 한국은행은 4월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5%로 0.1%포인트 낮췄다. 한국투자증권은 1분기 GDP 성장률을 0%대로 보고 있다.
정희성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1분기 GDP 성장률이 기대를 넘어섰지만, 중국의 수요 회복이 주변국으로 확산되는 단계가 아니라는 점에서 한국 GDP에 대한 기대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1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대비 크게 부진할 것"이라며 "1~2월 발표된 산업 활동 동향도 지속적인 경기하락 국면을 가리키고 있고, 수출 역시 상반기 뚜렷한 반등이 어려워 1분기 성장률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박희찬 미래에셋대우 연구원도 "한국 GDP는 확장적 재정정책에도 불구하고 기저효과가 낮고 수출이 부진했던 점을 고려할 때 성장세가 약화됐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는 26일부터 이틀 동안 열리는 중국 일대일로 포럼도 관심사다. 미국과의 무역협상 화해무드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개최되는 것으로 중국의 행보를 지켜봐야 한다. 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일대일로 포럼에도 초대돼 중국 러시아 북한의 경제협력 방안과 대북제재 해제 관련 논의가 오갈 수 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지수는 전주보다 26.73포인트(1.02%) 하락한 2216.15를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는 0.45% 내린 762.57이었다.
주 초반 꾸준히 오르던 지수는 연일 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주 후반 들어 이틀 연속 하락했다. 주 마지막 거래일인 금요일에 재차 반등에 나섰다.
◆기업 호실적에 반응한 美 증시
22일 한국 증시에 영향을 줄 미국 증시는 1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상승했다. 18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0.00포인트(0.42%) 상승한 26,559.54에 마감됐다. S&P500지수는 4.58포인트(0.16%) 오른 2905.03, 나스닥 종합지수는 1.98포인트(0.02%) 나아간 7998.06에 장을 마쳤다.
1분기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폭이 줄어든 것이 투자심리 개선을 도왔다. 이는 국내 증시에서도 시사하는 것이 있다는 분석이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200 기준 지난해 9월의 12개월 선행 예상 영업이익은 214조원이었으나 현재는 160조원을 밑돌면서 투심을 쪼그라들게 했다"며 "미 증시에서 보듯 앞으로 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이 멈추는 시기가 오면 국내 증시의 투심도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관건은 주요 반도체 기업의 실적이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코스피 1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 전망치는 각각 32조9000억원와 22조9000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1%와 33% 줄어들 전망이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자동차 화학 철강 IT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눈여겨 봐야할 것"이라며 "특히 반도체 기업 실적이 중요한데 1분기보다는 2분기 실적을 바닥으로 하반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투자 전략 역시 실적에 대응하라는 권고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당분간 시장은 글로벌 거시경제와 내부 실적 등에서 추가적인 상승동력을 확인하기 위해 쉬어갈 가능성이 높다"며 "개별 업종 및 종목을 활용한 투자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부양책을 감안해 자동차부품 비철금속 증권 패션 화장품을 비롯한 중국 소비재 등이 유망할 것"이라며 "글로벌 저금리 기조 고착화 등으로 고배당주와 우선주 투자도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김병연 연구원도 "실적 시즌 정점이라는 점에서 실적에 대한 관심 확대로 종목별로 차별화된 등락을 보일 것"이라며 "중국 관련주의 상승 동력이 강한 상황으로 중국 소비 관련주인 소재 산업재 미디어 게임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25일 한국 1분기 GDP 성장률 살펴야
오는 25일 발표되는 1분기 국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지켜봐야한다. 앞서 한국은행은 4월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6%에서 2.5%로 0.1%포인트 낮췄다. 한국투자증권은 1분기 GDP 성장률을 0%대로 보고 있다.
정희성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1분기 GDP 성장률이 기대를 넘어섰지만, 중국의 수요 회복이 주변국으로 확산되는 단계가 아니라는 점에서 한국 GDP에 대한 기대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1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대비 크게 부진할 것"이라며 "1~2월 발표된 산업 활동 동향도 지속적인 경기하락 국면을 가리키고 있고, 수출 역시 상반기 뚜렷한 반등이 어려워 1분기 성장률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박희찬 미래에셋대우 연구원도 "한국 GDP는 확장적 재정정책에도 불구하고 기저효과가 낮고 수출이 부진했던 점을 고려할 때 성장세가 약화됐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는 26일부터 이틀 동안 열리는 중국 일대일로 포럼도 관심사다. 미국과의 무역협상 화해무드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개최되는 것으로 중국의 행보를 지켜봐야 한다. 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일대일로 포럼에도 초대돼 중국 러시아 북한의 경제협력 방안과 대북제재 해제 관련 논의가 오갈 수 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