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공간 개방한 LG 덕에 新사업 빨라졌어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입주한 스타트업 가보니
임차료 없고 장비 마음껏 사용
8개 계열사가 컨설팅도 지원
임차료 없고 장비 마음껏 사용
8개 계열사가 컨설팅도 지원
가상현실(VR) 자전거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컨시더씨의 신재현 대표는 작년 초 프로젝트를 함께한 LG전자 직원에게 솔깃한 제안을 받았다. 석 달 뒤 서울 마곡동에 문을 여는 LG그룹의 첨단 연구개발(R&D) 단지 ‘LG 사이언스파크’의 개방형 연구 공간에 들어가지 않겠느냐는 것이었다. LG와 협력 관계에 있는 유망 스타트업만 입주할 수 있는데, 임차료가 무료인 데다 3차원(3D) 프린터 등 최첨단 장비도 마음껏 쓸 수 있다고 했다. 무엇보다 신 대표 마음을 움직인 것은 “LG 각 계열사가 컨설팅과 해외 진출을 도와줄 것”이라는 약속이었다. 신 대표는 선뜻 개방형 연구 공간 입주를 결정했다.
지난 12일 개장 1년을 앞둔 마곡 LG 사이언스파크를 찾았다. E10동 지하 1층, 1322㎡ 규모 연구 공간엔 캐주얼 복장을 한 입주 스타트업 임직원들이 삼삼오오 모여 회의하고 있었다. 컨시더씨 사무실 문을 열자 VR 자전거 페달을 밟고 있는 직원과 그 옆에 서서 모니터를 체크하고 있는 신 대표가 보였다. 직원 권유에 자전거에 올라 ‘알프스’ 코스를 선택하자 오르막 도로 영상이 나왔다. 페달을 밟은 지 3분도 안 돼 셔츠가 땀으로 축축해졌다. 신 대표는 “야외 자전거 도로를 그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고 말했다.
컨시더씨는 도로 영상을 100인치 이상 대형 디스플레이(사이니지) 화면에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LG전자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ID) 사업부도 상업화 가능성을 높게 보고 컨시더씨를 돕고 있다. 신 대표는 “LG가 인증한 스타트업이란 인식 덕분에 신사업 추진이 훨씬 수월해졌다”며 “입주 전 2명이던 직원도 15명으로 늘었다”고 했다.
LG 오픈이노베이션(외부 스타트업 육성) 전략의 장점은 여러 계열사가 함께 지원한다는 것이다. 스타트업은 LG 사이언스파크에 입주한 8개 LG 계열사로부터 사업 아이디어와 관련해 동시에 조언을 들을 수 있다. 이미지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게 주력 사업인 입주 업체 퍼널 사례가 대표적이다. 퍼널은 LG CNS와 협업 중인데 앞으로 LG전자, LG유플러스 등 다른 계열사와도 공동 사업을 할 예정이다.
입주 기업도 늘어날 전망이다. 지금은 LG와 협력 관계인 국내 스타트업만 입주할 수 있지만 해외 기업에도 문을 열 계획이다. 이에 따라 LG는 LG 사이언스파크 내 통합지원센터, 공동실험센터, 각 연구동 등에 추가 연구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지난 12일 개장 1년을 앞둔 마곡 LG 사이언스파크를 찾았다. E10동 지하 1층, 1322㎡ 규모 연구 공간엔 캐주얼 복장을 한 입주 스타트업 임직원들이 삼삼오오 모여 회의하고 있었다. 컨시더씨 사무실 문을 열자 VR 자전거 페달을 밟고 있는 직원과 그 옆에 서서 모니터를 체크하고 있는 신 대표가 보였다. 직원 권유에 자전거에 올라 ‘알프스’ 코스를 선택하자 오르막 도로 영상이 나왔다. 페달을 밟은 지 3분도 안 돼 셔츠가 땀으로 축축해졌다. 신 대표는 “야외 자전거 도로를 그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고 말했다.
컨시더씨는 도로 영상을 100인치 이상 대형 디스플레이(사이니지) 화면에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LG전자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ID) 사업부도 상업화 가능성을 높게 보고 컨시더씨를 돕고 있다. 신 대표는 “LG가 인증한 스타트업이란 인식 덕분에 신사업 추진이 훨씬 수월해졌다”며 “입주 전 2명이던 직원도 15명으로 늘었다”고 했다.
LG 오픈이노베이션(외부 스타트업 육성) 전략의 장점은 여러 계열사가 함께 지원한다는 것이다. 스타트업은 LG 사이언스파크에 입주한 8개 LG 계열사로부터 사업 아이디어와 관련해 동시에 조언을 들을 수 있다. 이미지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게 주력 사업인 입주 업체 퍼널 사례가 대표적이다. 퍼널은 LG CNS와 협업 중인데 앞으로 LG전자, LG유플러스 등 다른 계열사와도 공동 사업을 할 예정이다.
입주 기업도 늘어날 전망이다. 지금은 LG와 협력 관계인 국내 스타트업만 입주할 수 있지만 해외 기업에도 문을 열 계획이다. 이에 따라 LG는 LG 사이언스파크 내 통합지원센터, 공동실험센터, 각 연구동 등에 추가 연구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