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전망 2% 안팎으로 더 내려…이주열 "목표 맞추려면 분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한은 전망치 2.5∼2.7%에 전문가들 "쉽지 않아…2% 초반대"
세계 경기, 반도체 시황이 관건…추가 재정투입·금리인하 예상도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에 대한 시장의 전망치가 2% 안팎으로 더 내려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조차 정부와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2.5∼2.7%)를 맞추려면 '분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주열 총재는 지난 26일 주요 은행장들과 모인 금융협의회에서 "2·3·4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리지 않으면 올해 성장률을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정부의 재정투입 효과가 아직 개별 소비 주체에 잘 전달되지 않는 것 같다"며 우려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5%로 낮춰 잡았다.
1분기 -0.3%를 기록한 만큼, 2분기(1.2%)·3분기(0.8%)·4분기(0.9%)에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야만 이를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1분기 역(逆)성장에 따른 반등 효과를 계산에 넣더라도 2분기 1.2% 성장이 쉽지 않은 수치라고 지적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2분기 1.2%의 성장률은 가능성이 작다. 재정투입 효과가 일부 회복해도 높아야 1.0%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4월(1∼20일) 수출이 -8.7%다. 이런 상황이면 2분기 1.2% 성장은 어렵다고 보는 게 맞는다"고 말했다.
같은 맥락에서 올해 성장률도 정부나 한은의 예상보다 낮은 2% 초반대, 최악의 경우 2%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외국계 투자은행 가운데 노무라증권은 지난 25일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1.8%로 대폭 낮춰 잡았다.
하나금융투자 이미선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1분기 역성장으로 올해 2.5% 성장은 어려워졌다"며 "2분기 1.0%, 3분기와 4분기 0.6∼0.7%씩, 연간 2.1∼2.2% 성장"을 점쳤다. 이 총재는 금융협의회에서 "기업투자 심리가 되살아나야 성장 흐름의 회복을 앞당길 수 있다"고 했지만, 주 실장은 "통신업은 마무리됐고, 남은 건 제조업인데, 투자하겠다는 기업이 없다"며 올해 성장률을 2.2∼2.3%로 봤다.
LG경제연구원은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3%로 하향 조정했다.
대신증권 공동락 연구원은 "애초 예상했던 2.3%보다 낮아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일각에선 6조7천억원의 추가경정예산안에 기대를 걸지만, 이 정도 규모로는 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올리는 데도 역부족인 실정이다.
서울대학교 김소영 교수는 이번 추경에 대해 "경기부양 효과를 보여주는 '재정승수'가 0에 가까운 복지지출이 많다"며 "소비 진작이 원하는 만큼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세계 경기의 흐름,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 시장의 회복이 관건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일단 미국의 1분기 성장률(전분기 대비 성장률을 연율로 환산)이 3.2%로 시장 예상치(2.5%)를 훌쩍 웃돈 점은 우호적 대외 여건으로 평가된다.
산업연구원의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보면 올해 반도체 수출은 감소가 불가피하다.
다만 감소폭은 상반기 -16.9%에서 하반기 -6.1%로 작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경기부양을 위해 추가적인 재정투입이나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일단 '2차 추경'에 선을 그었다.
이 총재도 금리 인하에 거리를 두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 경기, 반도체 시황이 관건…추가 재정투입·금리인하 예상도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에 대한 시장의 전망치가 2% 안팎으로 더 내려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조차 정부와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2.5∼2.7%)를 맞추려면 '분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주열 총재는 지난 26일 주요 은행장들과 모인 금융협의회에서 "2·3·4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리지 않으면 올해 성장률을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정부의 재정투입 효과가 아직 개별 소비 주체에 잘 전달되지 않는 것 같다"며 우려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5%로 낮춰 잡았다.
1분기 -0.3%를 기록한 만큼, 2분기(1.2%)·3분기(0.8%)·4분기(0.9%)에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야만 이를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1분기 역(逆)성장에 따른 반등 효과를 계산에 넣더라도 2분기 1.2% 성장이 쉽지 않은 수치라고 지적했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2분기 1.2%의 성장률은 가능성이 작다. 재정투입 효과가 일부 회복해도 높아야 1.0%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4월(1∼20일) 수출이 -8.7%다. 이런 상황이면 2분기 1.2% 성장은 어렵다고 보는 게 맞는다"고 말했다.
같은 맥락에서 올해 성장률도 정부나 한은의 예상보다 낮은 2% 초반대, 최악의 경우 2%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외국계 투자은행 가운데 노무라증권은 지난 25일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1.8%로 대폭 낮춰 잡았다.
하나금융투자 이미선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1분기 역성장으로 올해 2.5% 성장은 어려워졌다"며 "2분기 1.0%, 3분기와 4분기 0.6∼0.7%씩, 연간 2.1∼2.2% 성장"을 점쳤다. 이 총재는 금융협의회에서 "기업투자 심리가 되살아나야 성장 흐름의 회복을 앞당길 수 있다"고 했지만, 주 실장은 "통신업은 마무리됐고, 남은 건 제조업인데, 투자하겠다는 기업이 없다"며 올해 성장률을 2.2∼2.3%로 봤다.
LG경제연구원은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3%로 하향 조정했다.
대신증권 공동락 연구원은 "애초 예상했던 2.3%보다 낮아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일각에선 6조7천억원의 추가경정예산안에 기대를 걸지만, 이 정도 규모로는 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올리는 데도 역부족인 실정이다.
서울대학교 김소영 교수는 이번 추경에 대해 "경기부양 효과를 보여주는 '재정승수'가 0에 가까운 복지지출이 많다"며 "소비 진작이 원하는 만큼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세계 경기의 흐름,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 시장의 회복이 관건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일단 미국의 1분기 성장률(전분기 대비 성장률을 연율로 환산)이 3.2%로 시장 예상치(2.5%)를 훌쩍 웃돈 점은 우호적 대외 여건으로 평가된다.
산업연구원의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보면 올해 반도체 수출은 감소가 불가피하다.
다만 감소폭은 상반기 -16.9%에서 하반기 -6.1%로 작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경기부양을 위해 추가적인 재정투입이나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일단 '2차 추경'에 선을 그었다.
이 총재도 금리 인하에 거리를 두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