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폰 내장 반도체값 LTE의 1.85배…"제2의 슈퍼사이클 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JP모건 보고서 추정, 5G 도입 따른 반도체 추가수익 2021년 16조원
5G 이동통신용 휴대전화에 탑재되는 반도체 가격이 LTE폰의 거의 2배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안정적인 성능 구현을 위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성능이 높은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5G가 본격 도입될 경우 글로벌 반도체 업계가 제2의 '슈퍼호황'을 맞을 것이라는 낙관론을 뒷받침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29일 업계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등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인 JP모건은 최근 보고서에서 플래그십 LTE폰과 5G폰에 탑재되는 전체 반도체 가격을 비교한 결과 1.85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바일용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기존 LTE폰에 탑재되는 것은 올해 기준으로 평균 59.6달러(6만9천200원)이지만 5G폰은 85.4달러(9만9천200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디지털통신에 필요한 모뎁칩(BP·베이스밴드 프로세서)과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각각 15.5달러에서 33.4달러, 27.5달러에서 55.6달러로 모두 2배 수준으로 비싸진다.
이를 포함해 다른 내장 반도체까지 모두 합치면 LTE폰에 탑재되는 반도체의 가격은 평균 126.1달러(약 14만6천400원)이나 5G폰의 경우 233.9달러(약 27만1천600원)에 달해 약 85% 높아진다고 JP모건은 추산했다.
이런 가격 상승분에 5G폰의 글로벌 보급 전망치를 반영하면 5G폰 도입에 따른 반도체 산업의 추가 수익은 올해 5억4천만달러(약 6천200억원)에서 내년 59억9천만달러(약 6조9천500억원), 오는 2021년 141억3천만달러(약 16조4천억원)로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5G 도입은 스마트폰은 물론 자율주행, 원격의료 등 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이는 결국 반도체 시장의 슈퍼사이클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특히 단기적으로는 이동통신 분야에서 수요가 가장 많아 모바일 반도체 시장에 가장 큰 호재"라고 말했다.
특히 휴대전화용 반도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바일 메모리의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각각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반도체 코리아'의 영향력이 더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IITP 조성선 수석연구원은 "5G 시대에도 국내 기업들의 모바일 메모리 시장 주도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특히 삼성전자는 개발과 양산에서 경쟁기업에 한걸음 앞서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지난해 2세대 10나노급(Iy) D램을 모바일용으로 적용한 데 이어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3세대 10나노급(1z) D램을 개발해 올 하반기에 양산체제에 돌입하기로 했다.
또 올초 세계 최초로 1TB(테라바이트)급 모바일 낸드플래시 제품을 양산해 갤럭시S10+에 탑재했다.
더욱이 최근 삼성전자는 오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사업에 133조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내놨고, SK하이닉스는 경기도 용인에 대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예정이어서 두 회사가 5G 시대 '제2의 반도체 슈퍼호황기'에도 대표적인 수혜 기업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국이나 중국의 '견제'와 연구개발(R&D) 분야 우수인력 유출, 국내 산업의 규제 장벽 등 산적한 '걸림돌'이 우선 해결돼야 한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
안정적인 성능 구현을 위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성능이 높은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5G가 본격 도입될 경우 글로벌 반도체 업계가 제2의 '슈퍼호황'을 맞을 것이라는 낙관론을 뒷받침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29일 업계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등에 따르면 미국 투자은행인 JP모건은 최근 보고서에서 플래그십 LTE폰과 5G폰에 탑재되는 전체 반도체 가격을 비교한 결과 1.85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바일용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기존 LTE폰에 탑재되는 것은 올해 기준으로 평균 59.6달러(6만9천200원)이지만 5G폰은 85.4달러(9만9천200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디지털통신에 필요한 모뎁칩(BP·베이스밴드 프로세서)과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각각 15.5달러에서 33.4달러, 27.5달러에서 55.6달러로 모두 2배 수준으로 비싸진다.
이를 포함해 다른 내장 반도체까지 모두 합치면 LTE폰에 탑재되는 반도체의 가격은 평균 126.1달러(약 14만6천400원)이나 5G폰의 경우 233.9달러(약 27만1천600원)에 달해 약 85% 높아진다고 JP모건은 추산했다.
이런 가격 상승분에 5G폰의 글로벌 보급 전망치를 반영하면 5G폰 도입에 따른 반도체 산업의 추가 수익은 올해 5억4천만달러(약 6천200억원)에서 내년 59억9천만달러(약 6조9천500억원), 오는 2021년 141억3천만달러(약 16조4천억원)로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5G 도입은 스마트폰은 물론 자율주행, 원격의료 등 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이는 결국 반도체 시장의 슈퍼사이클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특히 단기적으로는 이동통신 분야에서 수요가 가장 많아 모바일 반도체 시장에 가장 큰 호재"라고 말했다.
특히 휴대전화용 반도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바일 메모리의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각각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반도체 코리아'의 영향력이 더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IITP 조성선 수석연구원은 "5G 시대에도 국내 기업들의 모바일 메모리 시장 주도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특히 삼성전자는 개발과 양산에서 경쟁기업에 한걸음 앞서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지난해 2세대 10나노급(Iy) D램을 모바일용으로 적용한 데 이어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3세대 10나노급(1z) D램을 개발해 올 하반기에 양산체제에 돌입하기로 했다.
또 올초 세계 최초로 1TB(테라바이트)급 모바일 낸드플래시 제품을 양산해 갤럭시S10+에 탑재했다.
더욱이 최근 삼성전자는 오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사업에 133조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내놨고, SK하이닉스는 경기도 용인에 대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예정이어서 두 회사가 5G 시대 '제2의 반도체 슈퍼호황기'에도 대표적인 수혜 기업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국이나 중국의 '견제'와 연구개발(R&D) 분야 우수인력 유출, 국내 산업의 규제 장벽 등 산적한 '걸림돌'이 우선 해결돼야 한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