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SK '배터리 전쟁'…美서 소송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화학, SK이노베이션 상대
美 수입금지·손해배상 청구訴
美 수입금지·손해배상 청구訴
LG화학은 29일(현지시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델라웨어주 지방법원에 SK이노베이션을 “2차전지 관련 핵심 기술을 탈취했다”고 제소했다.
LG화학은 ITC에 SK이노베이션의 셀, 팩, 샘플 등의 미국 수입 전면 금지를 요청했다. 델라웨어 지방법원엔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영업비밀 침해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LG화학 고위 관계자는 “SK이노베이션이 2017년부터 LG화학의 연구개발, 생산, 구매 부문 등에서 일한 76명의 핵심 인력을 빼가 미국에서 저가 수주전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30년간 일군 우리 핵심 기술을 이용한 이 같은 행위가 국익에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 고위 관계자는 “인력 채용은 투명한 공개 채용 절차를 통해 이뤄졌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SK이노베이션이 없었다면 이들 인력은 중국 기업 등으로 갔을 것”이라며 “LG화학의 기술을 빼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LG화학 "2차전지 기술·인력 빼가"…SK이노 "대우 좋으니 인재 모여"
“핵심 인력을 빼가서 빨리 컸다.”(LG화학)
“대우를 잘해주니 좋은 인재가 스스로 오는 것이다.”(SK이노베이션)
LG화학은 29일(현지시간) 미국 법원 등에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선 이유로 ‘영업 비밀 침해’를 들었다. LG화학 출신 고급 인력이 가져간 노하우 덕분에 SK이노베이션이 2차전지 사업을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반면 SK이노베이션은 “적법한 절차에 따른 이직”이라고 맞섰다. “SK이노베이션이 아니었으면 중국 경쟁사로 갔을 인력”이라고도 했다. 업계에선 2차전지 시장 선도업체인 LG화학이 후발주자인 SK이노베이션을 견제하기 위해 ‘강수’를 뒀다는 분석도 나온다.
“핵심 기술 보호 위한 조치”
LG화학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델라웨어주 법원에 SK이노베이션을 제소했다. SK이노베이션의 전지사업 미국법인이 있는 델라웨어주는 회사법과 조세 등 각종 제도가 기업에 유리해 포천 500대 기업의 60% 이상이 이 지역에 서류상 본사를 두고 있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이 2차전지 사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힌 2017년부터 핵심 기술이 다량 유출된 구체적 자료들을 발견했다고 소송 이유를 설명했다. 2차전지는 1차전지(건전지)와 달리 충전이 가능한 전지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가 대표적이다.
미국에서 소송을 낸 것은 ITC와 미국 법원이 강력한 ‘증거 제출 절차’ 제도를 운영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증거 제출은 소송의 한쪽 당사자가 보유한 증거 자료 등을 상대방이 요청하면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한 제도다. 이를 어기면 재판에서 불리하게 작용한다.
LG화학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2017년부터 2년 동안 LG화학 출신 임직원 76명을 채용했고 추가 영입도 추진하고 있다. 연구개발, 생산, 품질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이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LG화학이 미국의 한 완성차업체와 진행하고 있는 차세대 전기차 프로젝트에 참여한 핵심 인력들도 다수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이 입사지원 서류에 2차전지 양산 기술 등 LG화학의 주요 영업비밀을 상세하게 쓰도록 했다고 했다. 이직을 앞둔 직원들이 회사 시스템에서 1인당 400여 건에서 1900여 건의 핵심 기술 관련 문서를 내려받았다고도 주장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LG화학의 2차전지 사업은 1990년대 초반부터 30년간의 투자와 집념으로 이뤄낸 결실”이라며 “이번 소송은 핵심 기술과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말했다 .
“당사자가 원한 이직”
SK이노베이션은 ‘정당한 이직’이라고 반박했다. 이 회사는 “투명한 공개 채용 절차를 통해 국내외에서 경력 직원을 채용하고 있으며 직원 이동은 처우 개선과 미래 발전 가능성 등을 고려한 당사자 의사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직해온 인력들은 전 회사에서 비밀 유지 각서를 쓰고 오기 때문에 영업비밀을 유출했다는 주장도 맞지 않다”고 했다.
SK이노베이션은 이어 “기업의 정당한 영업활동에 대한 불필요한 문제 제기이며 국내 이슈를 외국에서 제기한 것은 국익 훼손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커지는 배터리 시장 놓고 격돌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간 소송은 처음이 아니다. LG화학은 2011년 12월 SK이노베이션이 2차전지의 핵심 재료인 분리막 특허권을 침해했다며 소송을 냈다. 이에 SK이노베이션은 특허심판원에 특허무효 심판을 제기했다. 두 회사가 2014년 소송을 취하하면서 휴전에 들어갔다.
LG화학은 2017년 SK이노베이션으로 이직한 직원 5명을 대상으로 국내 법원에 제기한 전직 금지 가처분소송에서 올해 초 ‘2년 전직 금지’ 처분을 받아내기도 했다. 다만 이에 대해 SK이노베이션 측은 “해당 소송은 동종 업계 이직 금지를 서약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SK이노베이션과는 관계가 없다”고 설명했다.
국내 2차전지 업체 가운데 1위 LG화학과 3위 SK이노베이션은 주머니에 소재를 담는 형태의 ‘파우치형’을 쓰고 있다. 2위인 삼성SDI 제품은 금속 캔에 담는 ‘각형’이다.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2차전지 시장은 올해 293억달러(약 34000조원)에서 2025년 1190억달러(약 139조원)로 커질 전망이다. LG화학은 1992년 이 사업에 뛰어들어 1998년 국내 최초로 대량생산체제 구축에 성공했다. 지난해 전지사업 부문 매출은 6조4989억원, 영업이익은 2091억원이었다.
최근에는 SK이노베이션의 추격이 거세다. 이 회사는 독일 폭스바겐으로부터 미국산 전기차용 배터리를 수주하고 지난달 조지아주 공장을 착공했다. 지난해 전지 부문에서 3482억원의 매출에 3175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김재후/강현우/김보형 기자 hu@hankyung.com
LG화학은 ITC에 SK이노베이션의 셀, 팩, 샘플 등의 미국 수입 전면 금지를 요청했다. 델라웨어 지방법원엔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영업비밀 침해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LG화학 고위 관계자는 “SK이노베이션이 2017년부터 LG화학의 연구개발, 생산, 구매 부문 등에서 일한 76명의 핵심 인력을 빼가 미국에서 저가 수주전을 벌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30년간 일군 우리 핵심 기술을 이용한 이 같은 행위가 국익에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 고위 관계자는 “인력 채용은 투명한 공개 채용 절차를 통해 이뤄졌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SK이노베이션이 없었다면 이들 인력은 중국 기업 등으로 갔을 것”이라며 “LG화학의 기술을 빼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LG화학 "2차전지 기술·인력 빼가"…SK이노 "대우 좋으니 인재 모여"
“핵심 인력을 빼가서 빨리 컸다.”(LG화학)
“대우를 잘해주니 좋은 인재가 스스로 오는 것이다.”(SK이노베이션)
LG화학은 29일(현지시간) 미국 법원 등에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선 이유로 ‘영업 비밀 침해’를 들었다. LG화학 출신 고급 인력이 가져간 노하우 덕분에 SK이노베이션이 2차전지 사업을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반면 SK이노베이션은 “적법한 절차에 따른 이직”이라고 맞섰다. “SK이노베이션이 아니었으면 중국 경쟁사로 갔을 인력”이라고도 했다. 업계에선 2차전지 시장 선도업체인 LG화학이 후발주자인 SK이노베이션을 견제하기 위해 ‘강수’를 뒀다는 분석도 나온다.
“핵심 기술 보호 위한 조치”
LG화학은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델라웨어주 법원에 SK이노베이션을 제소했다. SK이노베이션의 전지사업 미국법인이 있는 델라웨어주는 회사법과 조세 등 각종 제도가 기업에 유리해 포천 500대 기업의 60% 이상이 이 지역에 서류상 본사를 두고 있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이 2차전지 사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힌 2017년부터 핵심 기술이 다량 유출된 구체적 자료들을 발견했다고 소송 이유를 설명했다. 2차전지는 1차전지(건전지)와 달리 충전이 가능한 전지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가 대표적이다.
미국에서 소송을 낸 것은 ITC와 미국 법원이 강력한 ‘증거 제출 절차’ 제도를 운영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증거 제출은 소송의 한쪽 당사자가 보유한 증거 자료 등을 상대방이 요청하면 의무적으로 제공하도록 한 제도다. 이를 어기면 재판에서 불리하게 작용한다.
LG화학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2017년부터 2년 동안 LG화학 출신 임직원 76명을 채용했고 추가 영입도 추진하고 있다. 연구개발, 생산, 품질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이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LG화학이 미국의 한 완성차업체와 진행하고 있는 차세대 전기차 프로젝트에 참여한 핵심 인력들도 다수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이 입사지원 서류에 2차전지 양산 기술 등 LG화학의 주요 영업비밀을 상세하게 쓰도록 했다고 했다. 이직을 앞둔 직원들이 회사 시스템에서 1인당 400여 건에서 1900여 건의 핵심 기술 관련 문서를 내려받았다고도 주장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LG화학의 2차전지 사업은 1990년대 초반부터 30년간의 투자와 집념으로 이뤄낸 결실”이라며 “이번 소송은 핵심 기술과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말했다 .
“당사자가 원한 이직”
SK이노베이션은 ‘정당한 이직’이라고 반박했다. 이 회사는 “투명한 공개 채용 절차를 통해 국내외에서 경력 직원을 채용하고 있으며 직원 이동은 처우 개선과 미래 발전 가능성 등을 고려한 당사자 의사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직해온 인력들은 전 회사에서 비밀 유지 각서를 쓰고 오기 때문에 영업비밀을 유출했다는 주장도 맞지 않다”고 했다.
SK이노베이션은 이어 “기업의 정당한 영업활동에 대한 불필요한 문제 제기이며 국내 이슈를 외국에서 제기한 것은 국익 훼손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커지는 배터리 시장 놓고 격돌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간 소송은 처음이 아니다. LG화학은 2011년 12월 SK이노베이션이 2차전지의 핵심 재료인 분리막 특허권을 침해했다며 소송을 냈다. 이에 SK이노베이션은 특허심판원에 특허무효 심판을 제기했다. 두 회사가 2014년 소송을 취하하면서 휴전에 들어갔다.
LG화학은 2017년 SK이노베이션으로 이직한 직원 5명을 대상으로 국내 법원에 제기한 전직 금지 가처분소송에서 올해 초 ‘2년 전직 금지’ 처분을 받아내기도 했다. 다만 이에 대해 SK이노베이션 측은 “해당 소송은 동종 업계 이직 금지를 서약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SK이노베이션과는 관계가 없다”고 설명했다.
국내 2차전지 업체 가운데 1위 LG화학과 3위 SK이노베이션은 주머니에 소재를 담는 형태의 ‘파우치형’을 쓰고 있다. 2위인 삼성SDI 제품은 금속 캔에 담는 ‘각형’이다.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2차전지 시장은 올해 293억달러(약 34000조원)에서 2025년 1190억달러(약 139조원)로 커질 전망이다. LG화학은 1992년 이 사업에 뛰어들어 1998년 국내 최초로 대량생산체제 구축에 성공했다. 지난해 전지사업 부문 매출은 6조4989억원, 영업이익은 2091억원이었다.
최근에는 SK이노베이션의 추격이 거세다. 이 회사는 독일 폭스바겐으로부터 미국산 전기차용 배터리를 수주하고 지난달 조지아주 공장을 착공했다. 지난해 전지 부문에서 3482억원의 매출에 3175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김재후/강현우/김보형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