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북핵, 韓 역할 더 커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재역할 제동 지적에 정면반박
"6월 오사카 G20 정상회담서
한일관계 개선 모멘텀 찾을 것"
"6월 오사카 G20 정상회담서
한일관계 개선 모멘텀 찾을 것"
강경화 외교부 장관(사진)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이 역할할 수 있는 공간이 더 넓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노이 2차 정상회담 이후 미국과 북한의 핵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한국 정부의 중재·촉진 역할에 제동이 걸렸다는 지적을 정면 반박했다.
강 장관은 2일 외교부청사에서 내신 브리핑을 열었다. ‘4·27 판문점선언’ 이후 1년에 대한 평가와 향후 전략을 설명하는 자리였다. 강 장관은 ‘북한과 미국 중 어느 쪽이 변해야 하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북한이 스코프(범위)를 좀 더 넓혀서 포괄적인 안목을 가지고 이 사안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미 간 이견을 조율 중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강 장관은 “공조라고 해서 꼭 입장이 같은 것은 아니다”며 “미국은 가장 중요한 동맹이지만 그들만의 방향도 있기 때문에 서로 생각을 잘 맞춰서 이해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공조”라고 말했다. 이어 “모두가 원하는 것은 ‘굿 딜(좋은 합의)’이고 북·미 간에 서로 만족할 수 있는 ‘굿 딜’을 만들어야 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3차 미·북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 중임을 시사했다. “8일 방한하는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포괄적인 논의를 할 것”이라고 했다. 북한과의 대화 통로에 관해선 “대북특사를 포함해 여러 가지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악화일로인 한·일 관계에 대해선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다. 강 장관은 “외교 당국 간 협의를 통해 (관계 회복을 위한)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일본 오사카에서 6월 말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오사카 한·일 정상회담을 일본 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 장관은 우리 사법부의 일제 강제징용자 피해보상에 대한 일련의 판결과 관련해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차원을 넘어 역사와 인권의 관점에서 피해자가 납득 가능한 치유가 중요하다”며 “그렇지만 한·일 관계는 계속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강 장관은 2일 외교부청사에서 내신 브리핑을 열었다. ‘4·27 판문점선언’ 이후 1년에 대한 평가와 향후 전략을 설명하는 자리였다. 강 장관은 ‘북한과 미국 중 어느 쪽이 변해야 하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북한이 스코프(범위)를 좀 더 넓혀서 포괄적인 안목을 가지고 이 사안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미 간 이견을 조율 중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강 장관은 “공조라고 해서 꼭 입장이 같은 것은 아니다”며 “미국은 가장 중요한 동맹이지만 그들만의 방향도 있기 때문에 서로 생각을 잘 맞춰서 이해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공조”라고 말했다. 이어 “모두가 원하는 것은 ‘굿 딜(좋은 합의)’이고 북·미 간에 서로 만족할 수 있는 ‘굿 딜’을 만들어야 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3차 미·북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 중임을 시사했다. “8일 방한하는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포괄적인 논의를 할 것”이라고 했다. 북한과의 대화 통로에 관해선 “대북특사를 포함해 여러 가지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악화일로인 한·일 관계에 대해선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다. 강 장관은 “외교 당국 간 협의를 통해 (관계 회복을 위한)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일본 오사카에서 6월 말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오사카 한·일 정상회담을 일본 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 장관은 우리 사법부의 일제 강제징용자 피해보상에 대한 일련의 판결과 관련해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차원을 넘어 역사와 인권의 관점에서 피해자가 납득 가능한 치유가 중요하다”며 “그렇지만 한·일 관계는 계속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