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익IPS·네패스…시스템 반도체 투자 수혜株가 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over Story

정부도 최근 ‘시스템 반도체 육성을 위한 5대 중점 대책’을 발표하고 R&D 생태계 활성화에 나섰다. 증권업계에선 삼성전자와 정부의 대규모 투자 및 시장 육성 정책으로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수혜주 찾기에 분주하다.
528조원(2018년 기준)에 달하는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비메모리 반도체 부문은 350조원으로, 메모리(178조원)보다 두 배 가까이 크다. 파운드리(수탁생산), 자동차용 반도체 등 시스템 반도체 분야는 공정장비 국산화가 거의 이뤄지지 않아 대규모 시설투자가 예상된다는 게 증권업계 분석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앞으로 12년간 비메모리와 관련한 설비투자가 연평균 5조원씩 이뤄지면 최근 몇 년간의 비메모리 투자 규모보다 50~100% 증가하는 셈”이라며 “삼성전자 비메모리 부문에 장비나 소재를 공급한 이력이 있는 업체들은 수주 증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국경제TV 전문가들은 원익IPS, 네패스 등을 투자 유망주로 꼽았다. 박찬홍 한국경제TV 파트너는 “한국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지만 성장 모멘텀을 보유한 종목은 앞으로 시장의 관심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정부와 삼성전자가 시스템 반도체 1위 달성을 위해 손을 잡은 만큼 시스템 반도체 관련주들은 조정이 나올 때마다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