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FP 사무총장 "한국, 수혜국서 공여국으로…롤모델 돼 환원해야"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5/PYH2019051308870001300_P2.jpg)
호웅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국제농업협력(ODA)포럼' 기자회견에서 IFAD가 유엔의 산하 기구이기 때문에 유엔의 의사 결정을 따라야 한다면서도 "상황이 허락한다면 이러한(대북) 사업도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1974년 설립된 IFAD는 개발도상국의 농업 개발과 식량 생산 증대를 위한 융자와 보조금 지원사업을 한다.
과거 북한에서도 각종 개발 투자 사업을 펼쳤지만, 2008년 이후 제재 등의 이유로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호웅보 총재는 "과거 북한에서 농촌 지역 여성 투자 사업 등 3가지 투자를 진행하고 있었다"며 "우리는 (이들 사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이 현재 제재를 받고 있어 받을 수 있는 돈을 받지 못하고 있어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며 "2∼3년 전 '우리가 돈을 줄 준비가 돼 있다'는 편지를 (북한 측으로부터) 받았는데도 제재 때문에 돈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아직 사업을 재개할 수 없다고 말씀드리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상황이 허락한다면 국제적 규칙에 따라 재개할 수 있다"며 해당 사례로 시리아와 예멘을 들었다.
호웅보 총재는 "인도적 지원은 국제사회의 합의로 진행돼야 한다"며 "미국과 유엔의 제재는 분명 (대북사업의) 걸림돌이 된다.
제재가 풀리면 사업을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농업 개발협력 사업의 성과와 내실화를 목표로 농림축산식품부 주최로 이날 개막한 '글로벌 ODA 포럼'은 15일까지 열린다.
호웅보 IFAD 총재를 비롯해 호세 그라치아노 다 실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사무총장, 데이비드 비슬리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 매튜 모렐 국제미작연구소(IRRI) 소장 등 농업·식량 관련 주요 국제기구 수장이 포럼 참석을 위해 서울에 모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5/PYH2019051309000001300_P2.jpg)
FAO 등 많은 세계 기구가 협력해 이 나라의 재건을 위해 협조했다"고 말했다.
이어 "해가 영원히 뜨지 않을 것 같은 나라에 태양이 뜰 수 있도록 꿈을 실현하게 해줬다.
그게 바로 대한민국"이라며 "이전에는 ODA 수혜국이었는데 이제 공여국이 됐다.
자금·현물뿐만 아니라 기술과 노하우도 공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슬리 사무총장은 "한국이 바로 롤 모델이 될 수 있고, 그렇게 해야 한다"며 "대한민국이 받은 것만큼 전 세계에 환원하지 못한다면 20년, 30년, 40년 뒤 (세계의 미래가) 매우 걱정된다"고 강조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05/PYH2019051308830001300_P2.jpg)
그는 "기아뿐만이 아니라 열악한 영양 문제가 만연했다는 또 다른 측면은 비만"이라며 "우리는 '안전한' 먹거리만이 아니라 건강한 먹거리로 나아가야 한다.
건강한 식단을 확대하려면 로컬(지역) 단위에서 식품을 생산하고 소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개호 농식품부 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농식품부는 2006년 4억원 규모의 3개국 지원사업으로 (ODA를) 시작했지만, 올해 현재 664억원 규모의 12개 국가 4개 국제기구에 지원하는 사업으로 예산 규모를 확대했다"며 "앞으로도 그 규모를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