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경제제재 피하려 가상화폐 겨냥 사이버범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재무차관 "트럼프 행정부, 北에 전례 없는 경제적 압박" 강조
미국 재무부는 북한이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를 회피하는 수단으로 가상화폐 시스템을 겨냥한 사이버범죄를 벌이고 있다고 분석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4일 전했다.
시걸 맨델커 미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은 13일 뉴욕에서 열린 가상화폐·블록체인 기술 관련 회의에서 "정권과 악인들이 국제 금융거래시스템에서 차단되면 대안을 찾아왔듯 최근 일부 국가와 범죄자들이 경제제재에 따른 충격을 상쇄하기 위해 전자화폐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북한 국적의 해커로 알려진 박진혁을 예로 들었다.
맨델커 차관은 북한 연계 해커집단 라자루스 그룹의 일원인 박진혁 등이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으로부터 8천100만달러를 탈취하는 과정에서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을 도난자금에 대한 '세탁' 및 이체 수단으로 사용했다고 설명하면서 "최근 미국 법무부는 그를 기소했고,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제재를 가했다"고 밝혔다.
맨델커 차관은 이어 "(경제)제재는 최근 몇 년간 미국 국가안보 전력의 가장 중요한 도구로 부상했다"고 강조하면서 특히 "현 행정부 아래 재무부는 이란과 북한, 러시아 등에 전례 없는 경제적 압박을 가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북한의 해커조직이 더욱 정교해진 해킹 기술로 북한 주재 외국 대사관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벌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RFA에 따르면 국제 사이버보안업체인 캐스퍼스키 랩은 13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 당국과 연관된 해킹그룹 스카크러프트(ScarCruft)의 최근 활동을 추적·관찰한 결과 이들이 새로운 해킹 기술을 활용해 북한 주재 외교공관을 공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은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정보를 빼내는 기술인 '블루투스 디바이스 하베스터(Bluetooth Device Harvester)'를 주로 이용했으며, 해외 및 북한 주재 외교공관 이외에도 러시아와 베트남의 대북투자업체, 홍콩의 외교기관 등이 공격대상에 포함됐다고 캐스키퍼스 랩은 전했다.
/연합뉴스
시걸 맨델커 미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은 13일 뉴욕에서 열린 가상화폐·블록체인 기술 관련 회의에서 "정권과 악인들이 국제 금융거래시스템에서 차단되면 대안을 찾아왔듯 최근 일부 국가와 범죄자들이 경제제재에 따른 충격을 상쇄하기 위해 전자화폐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북한 국적의 해커로 알려진 박진혁을 예로 들었다.
맨델커 차관은 북한 연계 해커집단 라자루스 그룹의 일원인 박진혁 등이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으로부터 8천100만달러를 탈취하는 과정에서 가상화폐 거래 시스템을 도난자금에 대한 '세탁' 및 이체 수단으로 사용했다고 설명하면서 "최근 미국 법무부는 그를 기소했고,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제재를 가했다"고 밝혔다.
맨델커 차관은 이어 "(경제)제재는 최근 몇 년간 미국 국가안보 전력의 가장 중요한 도구로 부상했다"고 강조하면서 특히 "현 행정부 아래 재무부는 이란과 북한, 러시아 등에 전례 없는 경제적 압박을 가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북한의 해커조직이 더욱 정교해진 해킹 기술로 북한 주재 외국 대사관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벌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RFA에 따르면 국제 사이버보안업체인 캐스퍼스키 랩은 13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 당국과 연관된 해킹그룹 스카크러프트(ScarCruft)의 최근 활동을 추적·관찰한 결과 이들이 새로운 해킹 기술을 활용해 북한 주재 외교공관을 공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은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정보를 빼내는 기술인 '블루투스 디바이스 하베스터(Bluetooth Device Harvester)'를 주로 이용했으며, 해외 및 북한 주재 외교공관 이외에도 러시아와 베트남의 대북투자업체, 홍콩의 외교기관 등이 공격대상에 포함됐다고 캐스키퍼스 랩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