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기업 노리는 스타트업은 없다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타트업 ABC
역사가 30~40년에 이르는 대기업 오너에게 중장기 목표를 물으면 십중팔구 “100년 기업”이란 답이 돌아온다. 위대한 기업의 조건 중 하나를 ‘장수’로 판단한 것이다. 기업이 100년간 살아남는 건 희귀한 일이다. 1955년 포천지가 선정한 ‘500대 기업’ 중 현재까지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기업은 12%뿐이다. 100년으로 스펙트럼을 넓히면 생존 기업 비중은 더 줄어든다.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은 셈법이 다르다. 이들에게 ‘수명’은 중요한 지표가 아니다. 시장에서 오래 버티는 것보다 비싼 가격을 받고 빨리 지분을 파는 게 낫다고 보는 창업자가 많다는 얘기다. 창업 초기부터 대기업 인수합병(M&A)을 염두에 두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경우도 많다. 특정 사업부를 갈아 끼울 대체재가 있으니 빨리 사가라는 함의가 담겨 있다.
스타트업계에서는 ‘엑시트’란 용어를 쓴다. 창업주가 기업공개(IPO)나 M&A를 통해 회사를 키운 데 따른 금전적 보상을 받는 것을 뜻한다. 한국은 스타트업 투자가 활발하지만 엑시트가 쉽지 않은 나라로 꼽힌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스타트업은 45억달러(약 5조341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지난 7년간 연평균 투자액 증가율이 106%다. 매년 두 배 이상씩 투자액이 늘었다는 의미다. 하지만 엑시트에 성공한 곳은 많지 않다. 2013~2015년 초기 투자를 받은 138개 한국 스타트업 가운데 엑시트에 성공한 곳은 5.8%인 8개사뿐이었다. 같은 기간 미국은 12.3%의 기업이 엑시트에 성공했다.
한국 스타트업의 엑시트가 쉽지 않은 것은 M&A에 보수적인 국내 기업의 성향 탓이다. 미국은 전체 스타트업 엑시트의 80% 이상이 M&A 방식으로 이뤄진다. 한국에서 M&A 엑시트 비중은 3%(2018년 한국벤처캐피털협회 발표 기준)에 불과하다.
IPO도 쉬운 게 아니다.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상장 요건이 까다롭다. 스타트업이 IPO에 이르기까지 10년 넘게 걸리는 게 일반적이다. 전체 스타트업 엑시트 중 IPO가 차지하는 비중은 22% 선이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은 셈법이 다르다. 이들에게 ‘수명’은 중요한 지표가 아니다. 시장에서 오래 버티는 것보다 비싼 가격을 받고 빨리 지분을 파는 게 낫다고 보는 창업자가 많다는 얘기다. 창업 초기부터 대기업 인수합병(M&A)을 염두에 두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경우도 많다. 특정 사업부를 갈아 끼울 대체재가 있으니 빨리 사가라는 함의가 담겨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스타트업은 45억달러(약 5조341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지난 7년간 연평균 투자액 증가율이 106%다. 매년 두 배 이상씩 투자액이 늘었다는 의미다. 하지만 엑시트에 성공한 곳은 많지 않다. 2013~2015년 초기 투자를 받은 138개 한국 스타트업 가운데 엑시트에 성공한 곳은 5.8%인 8개사뿐이었다. 같은 기간 미국은 12.3%의 기업이 엑시트에 성공했다.
한국 스타트업의 엑시트가 쉽지 않은 것은 M&A에 보수적인 국내 기업의 성향 탓이다. 미국은 전체 스타트업 엑시트의 80% 이상이 M&A 방식으로 이뤄진다. 한국에서 M&A 엑시트 비중은 3%(2018년 한국벤처캐피털협회 발표 기준)에 불과하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