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기용 고려대 고등교육정책연구소장(교육학과 교수·사진)은 14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대학사회는 급속한 양적 성장으로 형성된 구조적 문제가 한꺼번에 폭발하고 있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이어 “반값등록금으로 인한 대학들의 재정난은 이 같은 위기의 현실화 시점을 앞당기는 역할을 했다”고 덧붙였다.
변 교수는 “대학의 재정난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4년제 사립대 중심의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깨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4년제 대학 졸업장이 취업을 보장해주지 않고, 많은 경우 졸업 후 진로가 전공과 무관한데도 대다수 학생이 4년제 대학에 진학하려는 문화는 천문학적인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변 교수는 4년제 사립대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직업교육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직업교육 확대로 4년제 대학 숫자가 줄어들면 정부는 대학에 대한 재정투자를 늘릴 수 있고, 이렇게 되면 대학들도 재정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변 교수는 폴리텍대 등 기능대학의 역할 강화와 공영형 전문대학의 도입을 직업교육 확대를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폴리텍대는 사실상 공립으로 등록금이 일반 사립 전문대의 절반 수준에 불과해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저렴하게 습득할 수 있다”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4년제 대학에 진학하는 대신 폴리텍대나 공영형 전문대학에서 필요한 기술을 배운 뒤 원하는 학생만 4년제 대학에 편입하는 문화가 정착되면 사회적 비용이 크게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변 교수는 유연하고 개방적인 학사 운영을 기능대학 역할 확대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했다. 폴리텍대와 같이 짧게는 6개월, 길게는 2년간의 모듈화된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운영해야 학생들이 직장을 다니면서도 수월하게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