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캠퍼스에 첨단산업단지 '혁신파크'…올해 2∼3곳 선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수 인재와 기술을 보유한 대학 캠퍼스가 혁신적인 공간과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 산학협력 생태계로 탈바꿈한다.
정부는 15일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대학 캠퍼스의 남는 부지에 소규모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캠퍼스 혁신 파크 조성 방안’을 논의·확정했다.
교육부·국토교통부·중소벤처기업부가 함께 벌이는 이 사업은 대학 캠퍼스 유휴 부지에 기업 입주시설, 창업 지원 시설, 주거·문화 시설 등을 복합 개발하는 것이다. 입주 기업은 정부의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도 받는다.
정부는 올해 선도 사업으로서 2∼3개 캠퍼스 혁신 파크를 우선 지정하고, 내년부터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올해 선도 사업 후보지는 다음달 공모에 들어가 전문가 평가를 거쳐 8월 최종 선정된다. 대학 여건에 따라 용적률·건폐율을 상향하고 산단 내 기반시설도 지원한다.
대학뿐 아니라 공공기관과 민간도 대학 내 산업시설 설치가 가능하도록 산업입지법도 개정을 추진한다. 캠퍼스 혁신 파크 입주 기업은 지속적으로 같은 공간에서 사업할 수 있도록 임대료 인상률 제한, 임대 기간 자동갱신 협약 등 혜택을 준다.또 대학이 보유한 고가 연구 장비, 소프트웨어 등 연구시설과 컨설팅, 마케팅 서비스도 지원받는다. 이를 위해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계획 신청 때 대학·지방자치단체·사업시행자 등이 함께 ‘산학연 협력 사업 추진 협약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한다.
청년들이 즐기는 일터·삶터·배움터로 구축하기 위해 혁신 파크 안에는 해당 대학 여건에 따라 문화·복지·체육시설, 직장 어린이집, 차량 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주차장 등의 설치도 검토된다. 재학생, 창업자 등 산학연 참여자들을 위한 ‘산학연 협력 주택(행복주택)’ 공급, 중소기업 취업 청년에 대한 전세자금 저리 융자 등도 이뤄질 예정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앞으로 캠퍼스 혁신 파크가 조성되면 청년층이 선호하는 IT(정보통신)·BT(생명과학)·CT(문화기술) 등 첨단산업의 일자리가 파크당 1300개가 창출될 것”이라며 “청년층의 기업 선호도가 높아져 일자리 미스매치(불균형) 현상이 완화되고 창업 후 성장기업의 생존율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정부는 15일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대학 캠퍼스의 남는 부지에 소규모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캠퍼스 혁신 파크 조성 방안’을 논의·확정했다.
교육부·국토교통부·중소벤처기업부가 함께 벌이는 이 사업은 대학 캠퍼스 유휴 부지에 기업 입주시설, 창업 지원 시설, 주거·문화 시설 등을 복합 개발하는 것이다. 입주 기업은 정부의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도 받는다.
정부는 올해 선도 사업으로서 2∼3개 캠퍼스 혁신 파크를 우선 지정하고, 내년부터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올해 선도 사업 후보지는 다음달 공모에 들어가 전문가 평가를 거쳐 8월 최종 선정된다. 대학 여건에 따라 용적률·건폐율을 상향하고 산단 내 기반시설도 지원한다.
대학뿐 아니라 공공기관과 민간도 대학 내 산업시설 설치가 가능하도록 산업입지법도 개정을 추진한다. 캠퍼스 혁신 파크 입주 기업은 지속적으로 같은 공간에서 사업할 수 있도록 임대료 인상률 제한, 임대 기간 자동갱신 협약 등 혜택을 준다.또 대학이 보유한 고가 연구 장비, 소프트웨어 등 연구시설과 컨설팅, 마케팅 서비스도 지원받는다. 이를 위해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계획 신청 때 대학·지방자치단체·사업시행자 등이 함께 ‘산학연 협력 사업 추진 협약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한다.
청년들이 즐기는 일터·삶터·배움터로 구축하기 위해 혁신 파크 안에는 해당 대학 여건에 따라 문화·복지·체육시설, 직장 어린이집, 차량 공유가 가능한 스마트 주차장 등의 설치도 검토된다. 재학생, 창업자 등 산학연 참여자들을 위한 ‘산학연 협력 주택(행복주택)’ 공급, 중소기업 취업 청년에 대한 전세자금 저리 융자 등도 이뤄질 예정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앞으로 캠퍼스 혁신 파크가 조성되면 청년층이 선호하는 IT(정보통신)·BT(생명과학)·CT(문화기술) 등 첨단산업의 일자리가 파크당 1300개가 창출될 것”이라며 “청년층의 기업 선호도가 높아져 일자리 미스매치(불균형) 현상이 완화되고 창업 후 성장기업의 생존율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