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1분기 실적 부진…가맹점 수수료 인하 영향 가시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소카드사는 순익 100억 이상 감소…일부는 일회성 요인에 실적 개선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여파가 카드사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다.
16일 신한, 삼성, KB국민, 현대, 롯데, 우리, 하나 등 7개 전업 카드사 공시를 보면 1분기 당기순이익은 4천53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에 견줘 30억원(0.7%) 감소했다.
순익 합계는 소폭 감소세로 나오지만 일부 카드사를 제외하고는 실적 부진세를 면치 못했다.
실적이 개선된 카드사도 일회성 요인 영향이 컸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는 1년 사이 순이익이 169억원(12.1%) 줄었다.
연체율 증가로 충당금을 더 많이 쌓은 탓도 있지만 가맹점 수수료 인하 영향이 컸다.
신한카드는 1분기에만 수수료 수익이 312억원 감소했다.
중소형 카드사는 직격탄을 맞았다.
중금리 대출이나 다른 부대사업을 벌이는 대형사와 달리 중소형사는 주로 가맹점 수수료 수익에 의존한 탓이다.
롯데카드는 167억원(38.7%), 우리카드는 153억원(38.9%), 하나카드는 73억원(28.6%) 순이익이 급감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수익이 줄고, 전년 동기 대비로 채권매각 규모도 축소돼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우리카드는 지난해 1분기 배드뱅크 배당이익 100억원이라는 일회성 요인이 있어 실적 감소폭이 컸으나 이를 제외하더라도 순이익이 줄어든 것은 변함이 없다.
하나카드 측은 "실적 감소의 90% 이상이 가맹점 수수료 수익 감소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대카드 1분기 순이익이 642억원으로 예외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로 381억원(146.0%)이나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에 디지털 인력을 대거 채용하고 대손 비용이 많이 늘어나 순이익이 261억원으로 그친 탓이 컸다.
현대카드는 최근 해마다 1분기에 500억원 이상의 순이익을 냈다.
현대카드의 올 1분기 실적 개선에는 일회성 요인도 반영됐다.
지난해 4분기에 정규직 200여명을 감축했고, 온라인 발급 비중이 증가하면서 모집비용도 280억원 정도 감소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비용 절감에 기인한 불황형 흑자"라며 "가맹점 수수료 수익은 올 1분기에 53억원 정도 줄었다"고 말했다.
삼성카드도 이번에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로 88억원(7.9%) 늘었다.
내실경영에 집중해 이익 감소 폭을 최소화했다는 게 삼성카드의 설명이다.
하지만 올 1분기에 법인세 환입금 85억원이라는 일회성 이익을 제외하면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순이익을 낸 셈이 된다.
국민카드 역시 63억원(8.8%) 순이익이 증가했다.
이는 작년 1분기에 있었던 희망퇴직 관련 비용 100억원가량이 이번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국민카드는 이번 1분기에 순익이 줄어든 셈이다.
카드사들은 앞으로가 더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1분기에는 수수료율 인하가 적용된 2월부터 인하 효과가 반영된 데 반해 2분기부터는 온전히 3개월 실적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1분기에 실적 선방을 한 삼성카드조차도 당시 실적 설명자료에서 "2분기부터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 효과가 전 기간에 걸쳐 반영되는 등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게다가 자동차, 이동통신, 대형마트, 항공사 등 대형 가맹점과 수수료 협상 결과에 따라 수수료를 환급해줘야 하기에 손익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과도한 마케팅을 자제하는 등 비용을 줄이는 노력을 하겠지만 순이익이 줄어드는 추세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는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여파가 카드사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다.
16일 신한, 삼성, KB국민, 현대, 롯데, 우리, 하나 등 7개 전업 카드사 공시를 보면 1분기 당기순이익은 4천53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에 견줘 30억원(0.7%) 감소했다.
순익 합계는 소폭 감소세로 나오지만 일부 카드사를 제외하고는 실적 부진세를 면치 못했다.
실적이 개선된 카드사도 일회성 요인 영향이 컸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는 1년 사이 순이익이 169억원(12.1%) 줄었다.
연체율 증가로 충당금을 더 많이 쌓은 탓도 있지만 가맹점 수수료 인하 영향이 컸다.
신한카드는 1분기에만 수수료 수익이 312억원 감소했다.
중소형 카드사는 직격탄을 맞았다.
중금리 대출이나 다른 부대사업을 벌이는 대형사와 달리 중소형사는 주로 가맹점 수수료 수익에 의존한 탓이다.
롯데카드는 167억원(38.7%), 우리카드는 153억원(38.9%), 하나카드는 73억원(28.6%) 순이익이 급감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로 수익이 줄고, 전년 동기 대비로 채권매각 규모도 축소돼 당기순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우리카드는 지난해 1분기 배드뱅크 배당이익 100억원이라는 일회성 요인이 있어 실적 감소폭이 컸으나 이를 제외하더라도 순이익이 줄어든 것은 변함이 없다.
하나카드 측은 "실적 감소의 90% 이상이 가맹점 수수료 수익 감소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대카드 1분기 순이익이 642억원으로 예외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로 381억원(146.0%)이나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에 디지털 인력을 대거 채용하고 대손 비용이 많이 늘어나 순이익이 261억원으로 그친 탓이 컸다.
현대카드는 최근 해마다 1분기에 500억원 이상의 순이익을 냈다.
현대카드의 올 1분기 실적 개선에는 일회성 요인도 반영됐다.
지난해 4분기에 정규직 200여명을 감축했고, 온라인 발급 비중이 증가하면서 모집비용도 280억원 정도 감소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비용 절감에 기인한 불황형 흑자"라며 "가맹점 수수료 수익은 올 1분기에 53억원 정도 줄었다"고 말했다.
삼성카드도 이번에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로 88억원(7.9%) 늘었다.
내실경영에 집중해 이익 감소 폭을 최소화했다는 게 삼성카드의 설명이다.
하지만 올 1분기에 법인세 환입금 85억원이라는 일회성 이익을 제외하면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순이익을 낸 셈이 된다.
국민카드 역시 63억원(8.8%) 순이익이 증가했다.
이는 작년 1분기에 있었던 희망퇴직 관련 비용 100억원가량이 이번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국민카드는 이번 1분기에 순익이 줄어든 셈이다.
카드사들은 앞으로가 더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1분기에는 수수료율 인하가 적용된 2월부터 인하 효과가 반영된 데 반해 2분기부터는 온전히 3개월 실적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1분기에 실적 선방을 한 삼성카드조차도 당시 실적 설명자료에서 "2분기부터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 효과가 전 기간에 걸쳐 반영되는 등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게다가 자동차, 이동통신, 대형마트, 항공사 등 대형 가맹점과 수수료 협상 결과에 따라 수수료를 환급해줘야 하기에 손익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과도한 마케팅을 자제하는 등 비용을 줄이는 노력을 하겠지만 순이익이 줄어드는 추세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는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