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장사…영업益 37%↓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기에…IFRS 도입후 최악
국내 상장사들의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40% 가까이 급감했다. 국제회계기준(IFRS)을 전면 도입한 2012년 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이익 증가를 이끌었던 ‘반도체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 컸다. 미·중 무역갈등이 다시 격화하고 국내 경기마저 위축되면서 2분기 실적은 더 나빠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7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집계해 발표한 12월 결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573곳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연결 기준)은 27조8036억원으로 전년 동기(44조503억원)보다 36.9% 줄었다. 증권사들이 예상한 1분기 영업이익 감소율(28.8%)보다 더 악화된 수치가 나왔다.
영업이익률(매출 대비)은 5.7%로 작년 1분기 9.1%보다 3.4%포인트 낮아졌다. 매출은 484조34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늘었지만 수익성이 악화됐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순이익은 20조8590억원으로 전년 1분기보다 38.8% 줄었다.
증권가에선 2분기 실적도 어둡게 보고 있다. 주력업종 업황 둔화로 제품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무역전쟁으로 수출 환경도 갈수록 나빠지고 있어서다. 증권사들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년 동기 대비 37.4% 적다. 전망치대로라면 작년 4분기(-24.6%)부터 세 분기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다. 오현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국내외 경기변수 악화로 2분기 이익 전망치가 추가로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반도체 단물' 빠지자 드러난 민낯…"상장사 이익, 2년前으로 뒷걸음"
‘반도체 원맨쇼’가 끝나자 국내 상장사들의 기초체력 수준이 그대로 드러났다. 지난 1분기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영업이익이 2012년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최대폭 감소했다. 반도체 업황 둔화가 직격탄이 됐다.
상장사 영업이익 감소분 76%가 반도체
삼성전자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은 6조2333억원으로 전년 동기(15조6422억원)보다 60.2% 줄었다. SK하이닉스는 1조3665억원으로 68.7% 감소했다. 이 기간 두 기업의 영업이익 감소액은 12조4097억원으로 573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영업이익 감소액(16조2467억원)의 76%를 차지했다.
이로 인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영업이익 감소율은 전년 동기 대비 16.0%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했을 때인 36.9%보다 낮았다. 높은 반도체 의존도가 실적 하락기에는 되레 부메랑이 된 것이다.
반도체 효과가 사라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민낯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반도체 경기 호황으로 지난 2년 동안 급증했던 기업 이익이 2016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라며 “반도체를 뺀 나머지 산업은 제자리 걸음을 한 셈”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뺀 상장사의 영업이익률은 4.8%로 두 기업을 포함했을 때(5.7%)보다 낮았다. 지난해 1분기에는 반도체 두 기업을 빼자 10.0%였던 영업이익 증가율이 6.5% 감소로 돌아섰다.
573개사의 25.0%인 143개사는 적자를 냈다. 지난해 1분기 132개사(20.3%)보다 늘었다. 상장사 네 곳 중 한 곳은 이익을 내지 못하고 오히려 손실을 봤다는 얘기다.
17개 업종 중 12개 이익 감소
업종별로는 섬유·의복 업종의 영업이익 증가폭이 가장 컸다. 990억원으로 전년 동기(541억원)보다 83.0% 늘었다. 휠라코리아와 한섬 등의 영업이익이 급증한 영향이다. 자동차와 조선업체가 포진한 운수장비도 영업이익이 1조5742억원에서 2조2065억원으로 40.2% 증가했다. 지난해 극심한 부진에 빠졌던 현대자동차그룹이 살아나고, 조선업체들도 적자 폭이 줄거나 흑자 전환한 덕분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분기 1757억원의 영업손실을 냈지만 올 1월엔 281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유가 하락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항공주가 포함된 운수창고 업종은 영업이익이 9.1% 증가했다. 기계 업종도 8.9% 늘었다.
반도체가 포함된 전기전자 업종은 영업이익 감소율이 전년 동기 대비 58.8%로 가장 컸다. 전기가스업도 57.9%에 달했다. 한국전력의 영업손실이 지난해 1분기 1276억원에서 올 1분기 6299억원으로 확대된 영향이다. 중국 경기 둔화에 악영향을 받은 화학(-37.0%),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 타격을 입은 건설(-30.2%) 등도 감소율이 컸다. 유가증권시장 17개 업종 가운데 12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줄었다.
부채는 늘어…기업 체질 악화
상장사 전체 수익성은 크게 악화됐다. 1분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매출은 484조3455억원으로 1년 전보다 7930억원(0.2%) 증가했다. 제자리 수준인 매출에 비해 이익은 상당히 쪼그라들었다. 1분기 영업이익은 27조8036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6.9% 줄었다. 당기순이익(20조8590억원)도 38.8% 급감했다.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은 5.7%로 1년 전(9.1%)보다 3.4%포인트 줄었다. 상장사들이 1만원어치를 팔아 고작 574원을 남긴 셈이다.
이익이 고꾸라진 반면 부채는 늘었다. 기업들의 체질이 더 나빠진 것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부채 총계는 1501조3168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12조7182억원(8.1%) 증가했다. 자본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부채비율)은 112.4%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포인트 상승했다.
임근호/김기만 기자 eigen@hankyung.com
17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집계해 발표한 12월 결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573곳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연결 기준)은 27조8036억원으로 전년 동기(44조503억원)보다 36.9% 줄었다. 증권사들이 예상한 1분기 영업이익 감소율(28.8%)보다 더 악화된 수치가 나왔다.
영업이익률(매출 대비)은 5.7%로 작년 1분기 9.1%보다 3.4%포인트 낮아졌다. 매출은 484조34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늘었지만 수익성이 악화됐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순이익은 20조8590억원으로 전년 1분기보다 38.8% 줄었다.
증권가에선 2분기 실적도 어둡게 보고 있다. 주력업종 업황 둔화로 제품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무역전쟁으로 수출 환경도 갈수록 나빠지고 있어서다. 증권사들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년 동기 대비 37.4% 적다. 전망치대로라면 작년 4분기(-24.6%)부터 세 분기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다. 오현석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국내외 경기변수 악화로 2분기 이익 전망치가 추가로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반도체 단물' 빠지자 드러난 민낯…"상장사 이익, 2년前으로 뒷걸음"
‘반도체 원맨쇼’가 끝나자 국내 상장사들의 기초체력 수준이 그대로 드러났다. 지난 1분기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영업이익이 2012년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최대폭 감소했다. 반도체 업황 둔화가 직격탄이 됐다.
상장사 영업이익 감소분 76%가 반도체
삼성전자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은 6조2333억원으로 전년 동기(15조6422억원)보다 60.2% 줄었다. SK하이닉스는 1조3665억원으로 68.7% 감소했다. 이 기간 두 기업의 영업이익 감소액은 12조4097억원으로 573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영업이익 감소액(16조2467억원)의 76%를 차지했다.
이로 인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영업이익 감소율은 전년 동기 대비 16.0%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했을 때인 36.9%보다 낮았다. 높은 반도체 의존도가 실적 하락기에는 되레 부메랑이 된 것이다.
반도체 효과가 사라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민낯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반도체 경기 호황으로 지난 2년 동안 급증했던 기업 이익이 2016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라며 “반도체를 뺀 나머지 산업은 제자리 걸음을 한 셈”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뺀 상장사의 영업이익률은 4.8%로 두 기업을 포함했을 때(5.7%)보다 낮았다. 지난해 1분기에는 반도체 두 기업을 빼자 10.0%였던 영업이익 증가율이 6.5% 감소로 돌아섰다.
573개사의 25.0%인 143개사는 적자를 냈다. 지난해 1분기 132개사(20.3%)보다 늘었다. 상장사 네 곳 중 한 곳은 이익을 내지 못하고 오히려 손실을 봤다는 얘기다.
17개 업종 중 12개 이익 감소
업종별로는 섬유·의복 업종의 영업이익 증가폭이 가장 컸다. 990억원으로 전년 동기(541억원)보다 83.0% 늘었다. 휠라코리아와 한섬 등의 영업이익이 급증한 영향이다. 자동차와 조선업체가 포진한 운수장비도 영업이익이 1조5742억원에서 2조2065억원으로 40.2% 증가했다. 지난해 극심한 부진에 빠졌던 현대자동차그룹이 살아나고, 조선업체들도 적자 폭이 줄거나 흑자 전환한 덕분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분기 1757억원의 영업손실을 냈지만 올 1월엔 281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유가 하락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항공주가 포함된 운수창고 업종은 영업이익이 9.1% 증가했다. 기계 업종도 8.9% 늘었다.
반도체가 포함된 전기전자 업종은 영업이익 감소율이 전년 동기 대비 58.8%로 가장 컸다. 전기가스업도 57.9%에 달했다. 한국전력의 영업손실이 지난해 1분기 1276억원에서 올 1분기 6299억원으로 확대된 영향이다. 중국 경기 둔화에 악영향을 받은 화학(-37.0%),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 타격을 입은 건설(-30.2%) 등도 감소율이 컸다. 유가증권시장 17개 업종 가운데 12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줄었다.
부채는 늘어…기업 체질 악화
상장사 전체 수익성은 크게 악화됐다. 1분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매출은 484조3455억원으로 1년 전보다 7930억원(0.2%) 증가했다. 제자리 수준인 매출에 비해 이익은 상당히 쪼그라들었다. 1분기 영업이익은 27조8036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6.9% 줄었다. 당기순이익(20조8590억원)도 38.8% 급감했다.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은 5.7%로 1년 전(9.1%)보다 3.4%포인트 줄었다. 상장사들이 1만원어치를 팔아 고작 574원을 남긴 셈이다.
이익이 고꾸라진 반면 부채는 늘었다. 기업들의 체질이 더 나빠진 것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들의 부채 총계는 1501조3168억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12조7182억원(8.1%) 증가했다. 자본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부채비율)은 112.4%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포인트 상승했다.
임근호/김기만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