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기념식서 고교생 안종필군 사연 소개…참석자들 눈물로 말 잇지 못해
"안 아팠으면 너를 잡았을 건데" 총탄에 아들 잃은 어머니의 恨
"내가 안 아팠으면 그때 너를 잡았을 건데…."
18일 5·18 국립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장에는 올해도 소복을 입은 어머니들이 말없이 눈물을 지으며 자리를 지켰다.

이 여성들은 5·18 희생자 유족들이다.

이날 기념공연에서는 최후의 항전을 하다 총상을 입고 사망한 고등학생 시민군 고(故) 안종필 군 어머니 이정님 여사의 사연이 소개됐다.

5월 항쟁 당시 옛 전남도청 앞에서 마지막 가두방송을 했던 박영순씨가 무대에 나와 '그날, 5·18'이라는 주제로 참혹했던 광주의 상황을 소개하며 이 여사의 이야기를 전했다.
"안 아팠으면 너를 잡았을 건데" 총탄에 아들 잃은 어머니의 恨
이 여사는 1980년 5월 광주상고(현 동성고) 1학년이던 아들 안종필(16)군을 잃었다.

안 군은 고교생이었음에도 "심부름이라도 하겠다"며 시내에 나가 시민군 활동을 도왔다.

이 여사는 시위대 차량에 타 "계엄군은 물러가라"고 외치던 아들을 데리고 온 뒤 총탄 소리가 나는 시내에 또 나갈까 봐 노심초사하다가 몸져누웠다.

이 여사가 병이 난 다음 날인 1980년 5월 25일 새벽 안 군은 또다시 거리로 나갔고 그것이 마지막이 됐다.

남편을 여의고 홀로 1남 2녀를 키웠던 이 여사는 세상을 떠난 막내아들을 향해 "몸이 아파 배고프다는 아들에게 밥도 차려주지 못했다.

내가 안 아팠으면 너를 (못 가게) 잡았을 건데"라며 매일같이 미안한 마음을 전했다.

안종필 군의 조카인 안혜진씨도 무대에 나와 소년 안종필의 비극과 집안의 가장 역할을 하며 아픔을 감내해야 했을 안 군 형의 이야기를 전했다.

혜진씨는 "큰형이었던 아버지는 20대 어린 나이에 아프신 할머니를 대신해 모질고 힘든 상황을 모두 감수해야 했다"며 "막냇동생의 마지막 모습이 너무 아파 시신조차 보여드리지 못했다.

엄청난 슬픔을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었을지 저는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며 눈물을 흘렸다.

혜진씨는 "요즘 할머니는 삼촌의 기억을 잃어가지만 아픔이 남아서인지 눈물이 많아지셨다"면서 "삼촌을 기억하고 그날 그 자리에 있었던 분들을 잊지 않겠다는 다짐이 청년이었던 우리 아버지의 고통과 슬픔을 간직한 할머니를 위로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며 눈물을 참아가며 힘겹게 낭독을 마쳤다.
"안 아팠으면 너를 잡았을 건데" 총탄에 아들 잃은 어머니의 恨
문재인 대통령부터 사회자까지 안 군 가족 사연을 들은 참석자들은 곳곳에서 눈물을 훔쳤다.

사회자는 공연이 끝난 뒤 떨리는 목소리를 수차례 가다듬은 뒤에야 "광주의 희생이 있었기에 우리 민주주의가 다시 일어설 수 있었습니다"라며 다음 순서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 여사를 따뜻하게 안아주고 무대에 나섰던 문재인 대통령도 "광주시민들께 너무나 미안하고"라며 기념사를 하다가 한참 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김정숙 여사는 옆자리에 앉은 다른 어머니의 손을 꼭 붙잡고 눈물을 흘렸다.

한편 안 군처럼 5·18 민주화운동 당시 사망한 학생 희생자는 16개 학교, 18명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