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포스코 냉연 관세율 하향…유정용 강관에 두자릿수 관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제철 냉연 관세율은 예비판정 동일…유정용 강관업체 "대미 수출 부담"
미국 상무부가 포스코 냉연강판에 적용할 최종 관세율을 예비판정보다 추가 하향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국내 철강기업의 냉연강판 제품에 대한 1차 연례재심 최종판정 결과를 내놓았다.
포스코에 대해선 1차 예비판정 4.51%보다 1.28% 낮춘 3.23%의 관세율을 매겼다.
이 수치는 반덤핑(AD) 2.68%와 상계관세 0.55%를 합친 것이다.
반덤핑은 2.78%에서 2.68%로, 상계관세는 1.73%에서 0.55%로 낮아졌다.
냉연강판은 열연강판을 다시 상온에서 정밀 기계로 눌러 더 얇게 하고 표면을 미려하게 처리한 것을 말한다.
자동차나 가전제품, 강관 등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된다.
앞서 상무부는 지난해 10월 5일 포스코 냉연강판에 대한 관세율을 원심 59.72%에서 1차 예비판정에서 4.51%로 크게 낮춘 바 있다.
현대제철은 반덤핑 기준 예비판정과 같은 36.59%의 관세율을 받았다.
아직 상계관세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외 한국 업체에는 반덤핑 관세율 11.60%를 책정했다.
업체 간 희비가 갈린 데는 '불리한 가용 정보'(AFA) 규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AFA란 반덤핑·상계관세 조사에서 대상 기업이 미국 상무부가 요구하는 자료 제출 등 조사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상무부가 자의적으로 고율의 관세를 산정하는 것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정부와 적극적으로 공조해서 관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미국 수출 정상화에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무역확장법 232조 쿼터제로 미국으로 수입하는 냉연 물량을 미리 줄였으며 이번 재심판정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상무부는 유정용 강관(OCTG)에 대한 3차 연례재심 최종판정 결과도 내놓았다.
넥스틸은 32.24%, 세아제강은 16.73%, 기타 업체는 두 회사의 중간인 24.49%로 정해졌다.
넥스틸은 지난해 4월 2차 연례재심(2015년 9월 1일∼2016년 8월 31일 수출물량) 최종판정에서 75.81%, 같은 해 10월 3차 연례재심(2016년 9월 1일∼2017년 8월 31일 수출물량) 예비판정에서 47.62%를 받았다.
세아제강은 지난해 4월 2차 연례재심 최종판정에서 6.75%, 같은 해 10월 3차 연례재심 예비판정 19.4%의 관세율이 부과됐다.
원유와 셰일가스 채취에 사용하는 유정용 강관은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한다.
2017년 대미 철강 수출 총 354만3천t의 57.0%가 유정용 등 강관류였고, 수출이 빠르게 늘면서 미국이 한국에 철강 쿼터(할당)를 적용한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3차 예비판정보다는 낮아졌지만 '특별시장상황'(PMS·Particular Market Situation)이 적용되면서 대체로 높은 관세율을 받았다"며 "미국 철강 수출 기업들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PMS는 수출국의 특별한 시장 상황 때문에 조사 대상 기업이 제출한 자료만으로 관세율을 산정할 수 없다고 보고 상무부 재량으로 결정하는 조사기법이다. /연합뉴스
2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국내 철강기업의 냉연강판 제품에 대한 1차 연례재심 최종판정 결과를 내놓았다.
포스코에 대해선 1차 예비판정 4.51%보다 1.28% 낮춘 3.23%의 관세율을 매겼다.
이 수치는 반덤핑(AD) 2.68%와 상계관세 0.55%를 합친 것이다.
반덤핑은 2.78%에서 2.68%로, 상계관세는 1.73%에서 0.55%로 낮아졌다.
냉연강판은 열연강판을 다시 상온에서 정밀 기계로 눌러 더 얇게 하고 표면을 미려하게 처리한 것을 말한다.
자동차나 가전제품, 강관 등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된다.
앞서 상무부는 지난해 10월 5일 포스코 냉연강판에 대한 관세율을 원심 59.72%에서 1차 예비판정에서 4.51%로 크게 낮춘 바 있다.
현대제철은 반덤핑 기준 예비판정과 같은 36.59%의 관세율을 받았다.
아직 상계관세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외 한국 업체에는 반덤핑 관세율 11.60%를 책정했다.
업체 간 희비가 갈린 데는 '불리한 가용 정보'(AFA) 규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AFA란 반덤핑·상계관세 조사에서 대상 기업이 미국 상무부가 요구하는 자료 제출 등 조사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상무부가 자의적으로 고율의 관세를 산정하는 것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정부와 적극적으로 공조해서 관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미국 수출 정상화에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무역확장법 232조 쿼터제로 미국으로 수입하는 냉연 물량을 미리 줄였으며 이번 재심판정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상무부는 유정용 강관(OCTG)에 대한 3차 연례재심 최종판정 결과도 내놓았다.
넥스틸은 32.24%, 세아제강은 16.73%, 기타 업체는 두 회사의 중간인 24.49%로 정해졌다.
넥스틸은 지난해 4월 2차 연례재심(2015년 9월 1일∼2016년 8월 31일 수출물량) 최종판정에서 75.81%, 같은 해 10월 3차 연례재심(2016년 9월 1일∼2017년 8월 31일 수출물량) 예비판정에서 47.62%를 받았다.
세아제강은 지난해 4월 2차 연례재심 최종판정에서 6.75%, 같은 해 10월 3차 연례재심 예비판정 19.4%의 관세율이 부과됐다.
원유와 셰일가스 채취에 사용하는 유정용 강관은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한다.
2017년 대미 철강 수출 총 354만3천t의 57.0%가 유정용 등 강관류였고, 수출이 빠르게 늘면서 미국이 한국에 철강 쿼터(할당)를 적용한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3차 예비판정보다는 낮아졌지만 '특별시장상황'(PMS·Particular Market Situation)이 적용되면서 대체로 높은 관세율을 받았다"며 "미국 철강 수출 기업들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PMS는 수출국의 특별한 시장 상황 때문에 조사 대상 기업이 제출한 자료만으로 관세율을 산정할 수 없다고 보고 상무부 재량으로 결정하는 조사기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