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검증없는 보도 자제를…삼바 수사에서 유죄라는 단정 확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직적 증거인멸 증거 vs 정상적 경영활동 일환일 수도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검찰 수사 등에 대비해 ‘부회장 통화 결과’ ‘바이오젠사 제안 관련 대응방안(부회장 보고)’ 등 제목의 폴더 내 파일 등 2100여개 파일을 삭제했다. 지난 20일 구속기소된 삼성바이오에피스 양모 상무 공소장에 이같은 내용이 담겼다.
검찰은 이를 이 부회장이 삼성바이오 관련 이슈를 직접 관리했다는 증거로 보고 있다. 또한 그가 분식회계와 콜옵션 문제 등을 사전에 인지했다고 의심한다. 삼성바이오가 부채로 계산되는 콜옵션을 고의적으로 늦게 공시해,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에 유리한 구도를 만들었다는 게 검찰 측 판단이다. 이 부회장을 정점으로 삼성그룹의 조직적 범행이 이뤄졌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재계 일각에선 그룹 부회장이 계열사 임원들과 통화해 업계 동향, 현안, 필요한 것 등을 물어보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경영활동’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한 재계 관계자는 “CEO와의 통화나 대화 내용을 어떤 형태로든지 정리해 기록으로 남겨두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특별한 반응을 내놓지 않던 삼성은 23일 이례적으로 “추측성 보도를 자제해달라”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내놓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전혀 사실이 아니거나 사실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 일부 언론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보도되고 있다”면서 “검증을 거치지 않은 무리한 보도를 자제해 줄 것을 간곡히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추측성 보도가 다수 게재되면서 아직 진실규명의 초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유죄라는 단정이 확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바이오 수사 대상이 이 부회장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만큼, 자칫 이 부회장의 ‘국정농단’ 상고심에 영향을 줄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