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주입은 2017년 지진과 무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발표…"국내·외 자문으로도 확인"
경북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저장 실증(CCS) 사업에 따른 이산화탄소 주입 행위는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지진과 관련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이하 학회)는 24일 오후 서울대 엔지니어하우스 대강당에서 'CCS 연구와 2017 포항지진 관련성 조사연구' 발표회를 했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으로부터 의뢰받아 시행한 이번 조사에서 학회 측은 CCS 사업과 2017년의 규모 5.4 포항지진 사이에 관련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학회 조사연구단 책임자인 김형수 중원대 교수는 "일부 미소지진 모니터링과 공공 수용성 확보 등은 미흡했으나.
전반적으로는 조사를 합리적으로 수행했다"며 "국내·외 자문을 활용한 분석에서도 포항 영일만 CCS 프로젝트의 포항지진 야기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고 설명했다.
학회 측은 아울러 포항 CCS 실증 대상 지층이 연간 2만t의 이산화탄소 주입 실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공공수용성과 재해 발생 시 법적 보상 등 근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다른 지역에서 상업적 규모로 CCS 프로젝트를 하려면 지진활동도 조사와 해저면 수진기(지진 감지기)를 포함한 추가 모니터링을 시행할 것을 주문했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기술 연구를 위해 포항 영일만(해상)과 장기면(육상)에 각각 이산화탄소 저장 시설 구축을 추진했다.
영일만 시설의 경우 실증 연구용으로 최대 약 1만t의 이산화탄소가 주입될 예정이었으나, 포항지진 이후 모두 중단됐다.
/연합뉴스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이하 학회)는 24일 오후 서울대 엔지니어하우스 대강당에서 'CCS 연구와 2017 포항지진 관련성 조사연구' 발표회를 했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으로부터 의뢰받아 시행한 이번 조사에서 학회 측은 CCS 사업과 2017년의 규모 5.4 포항지진 사이에 관련성을 보여주는 증거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학회 조사연구단 책임자인 김형수 중원대 교수는 "일부 미소지진 모니터링과 공공 수용성 확보 등은 미흡했으나.
전반적으로는 조사를 합리적으로 수행했다"며 "국내·외 자문을 활용한 분석에서도 포항 영일만 CCS 프로젝트의 포항지진 야기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고 설명했다.
학회 측은 아울러 포항 CCS 실증 대상 지층이 연간 2만t의 이산화탄소 주입 실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공공수용성과 재해 발생 시 법적 보상 등 근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다른 지역에서 상업적 규모로 CCS 프로젝트를 하려면 지진활동도 조사와 해저면 수진기(지진 감지기)를 포함한 추가 모니터링을 시행할 것을 주문했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기술 연구를 위해 포항 영일만(해상)과 장기면(육상)에 각각 이산화탄소 저장 시설 구축을 추진했다.
영일만 시설의 경우 실증 연구용으로 최대 약 1만t의 이산화탄소가 주입될 예정이었으나, 포항지진 이후 모두 중단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