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길의 경제산책] 수소탱크 폭발로 주변 쑥대밭…충전소 확대 가능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23일 오후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관용차로 이용하는 ‘수소전기차’를 타고 세종시에서 경기 판교까지 이동했습니다. 중간엔 수소차 충전소가 있는 안성휴게소에 들렀지요. 수소 충전 방법과 안전관리 현황 등의 설명을 듣는 모습을 촬영해 자신의 페이스북에도 올렸습니다. 성 장관 표정은 무척 밝았습니다.
페이스북에는 “수소차는 유해가스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고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차다. 2040년까지 수소승용차를 620만대 생산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 수소충전소도 전국에 1200개로 확대하겠다.”고 했습니다.
성 장관 표정이 확 달라지기까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어제 저녁 강원 강릉시의 강원테크노파크에서 수소탱크가 폭발했기 때문이죠. 정부는 그동안 “엄청난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수소탱크는 폭발할 수 없다”고 강조해 왔습니다. 성 장관은 오늘 새벽 6시에 긴급 간부회의를 열었고 곧 강릉으로 출발했습니다. 성 장관은 수소탱크 폭발 현장을 방문해 철저한 원인 규명을 약속했습니다. 같은 페이스북에는 “철두철미한 원인 조사와 보완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조속히 사고를 수습하고 대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강조했지요.
강릉 수소탱크 사건이 심각한 건 수소 폭발의 위험성을 대중에게 각인시켰기 때문입니다. 전체 건물이 쑥대밭이 됐고, 사상자도 8명 발생했습니다. 폭발음은 7~8km 떨어진 곳까지 들렸다고 합니다.작은 수소탱크(400㎥) 하나가 터졌을 때의 위력이 국민들의 불안감을 자극할 수 있지요.
‘수소경제 활성화’를 미래 먹거리로 내세우던 정부엔 비상이 걸렸습니다. 국회는 물론 도심 곳곳에 수소충전소를 대거 설치하려던 계획이 지역 주민 반발에 부닥칠 수 있어서지요.
산업부는 “이번 폭발 사고는 연구개발(R&D) 실증 과정에서 예외적으로 발생했는데, 수소충전소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사고 기록이 없다. 또 일반 충전소의 경우 국제 규격에 따라 안전하게 설치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다만 “사고 원인은 조사해봐야 한다”는 입장이죠.
전문가들은 “수전해 등의 수소 기술이 아직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소 기술이 안전하다고 100% 자신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사고가 난 수소탱크 역시 올 3월 R&D 과제 완료 후 완성품에 가까웠던 제품이었죠. 1000시간의 시험 가동 후 정식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었는데, 400여 시간만에 터진 겁니다. 만약 근로자가 많았던 낮시간대 폭발했다면, 또는 정식 운영 단계에서 터졌다면 사상자가 훨씬 많았을 겁니다.
정부는 현재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 문제로 골머리를 썩고 있습니다. 다음달 초에 원인 및 대응 방안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이번 수소탱크 폭발로 또 하나의 커다란 과제를 안게 된 셈입니다.
ESS 화재와 수소탱크 폭발이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밀어부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안전 사고는 아니었는지 진지하게 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페이스북에는 “수소차는 유해가스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고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차다. 2040년까지 수소승용차를 620만대 생산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 수소충전소도 전국에 1200개로 확대하겠다.”고 했습니다.
성 장관 표정이 확 달라지기까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어제 저녁 강원 강릉시의 강원테크노파크에서 수소탱크가 폭발했기 때문이죠. 정부는 그동안 “엄청난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수소탱크는 폭발할 수 없다”고 강조해 왔습니다. 성 장관은 오늘 새벽 6시에 긴급 간부회의를 열었고 곧 강릉으로 출발했습니다. 성 장관은 수소탱크 폭발 현장을 방문해 철저한 원인 규명을 약속했습니다. 같은 페이스북에는 “철두철미한 원인 조사와 보완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조속히 사고를 수습하고 대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강조했지요.
강릉 수소탱크 사건이 심각한 건 수소 폭발의 위험성을 대중에게 각인시켰기 때문입니다. 전체 건물이 쑥대밭이 됐고, 사상자도 8명 발생했습니다. 폭발음은 7~8km 떨어진 곳까지 들렸다고 합니다.작은 수소탱크(400㎥) 하나가 터졌을 때의 위력이 국민들의 불안감을 자극할 수 있지요.
‘수소경제 활성화’를 미래 먹거리로 내세우던 정부엔 비상이 걸렸습니다. 국회는 물론 도심 곳곳에 수소충전소를 대거 설치하려던 계획이 지역 주민 반발에 부닥칠 수 있어서지요.
산업부는 “이번 폭발 사고는 연구개발(R&D) 실증 과정에서 예외적으로 발생했는데, 수소충전소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사고 기록이 없다. 또 일반 충전소의 경우 국제 규격에 따라 안전하게 설치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다만 “사고 원인은 조사해봐야 한다”는 입장이죠.
전문가들은 “수전해 등의 수소 기술이 아직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소 기술이 안전하다고 100% 자신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사고가 난 수소탱크 역시 올 3월 R&D 과제 완료 후 완성품에 가까웠던 제품이었죠. 1000시간의 시험 가동 후 정식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었는데, 400여 시간만에 터진 겁니다. 만약 근로자가 많았던 낮시간대 폭발했다면, 또는 정식 운영 단계에서 터졌다면 사상자가 훨씬 많았을 겁니다.
정부는 현재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 문제로 골머리를 썩고 있습니다. 다음달 초에 원인 및 대응 방안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이번 수소탱크 폭발로 또 하나의 커다란 과제를 안게 된 셈입니다.
ESS 화재와 수소탱크 폭발이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밀어부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안전 사고는 아니었는지 진지하게 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