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표면적으로 구리 가격의 등락은 세계 최대 공업 국가인 중국 경기의 흥망과 직접적으로 연결돼 있다. 중국은 전 세계 구리 수요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글로벌 구리 가격이 떨어진다는 건 그만큼 중국에서의 수요가 줄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특히 최근에는 미·중 양국의 갈등이 격화하면서 중국 경기가 앞으로 더욱 큰 하락세를 띄게 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공급 측면에서 봤을 때 구리 가격의 변동세는 구리를 생산하는 국가들의 화폐 가치 변화를 반영한다. 구리는 주로 세계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신흥국들이 공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지난해 기준 칠레(35.6%) 페루(14.8%) 중국(9.8%) 순이다. 결국 구리 가격이 하락한다는 건 이들 신흥국의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는 걸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과거에 비해 구리 가격 하락이 꼭 세계 경기 둔화와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예전에 비해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서 구리 공급량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실제 전 세계적으로 구리 채굴량은 지난 20년 새 두 배 이상 늘어났다.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연간 90억t가량 생산되던 것이 2017년에 와서는 191억t으로 급증했다. 초과 공급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글로벌 경기 변화 이외의 변수들이 구리 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칠 여지도 커지게 된다. 구리가 더 이상 국제 경기의 바로미터 역할을 충실히 해내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정연일 기자 ne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