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인당 국민소득 감소 유력…3만달러도 흔들리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1인당 국민소득(GNI·달러 환산)이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올들어 명목 성장률을 구성하는 실질 성장률과 물가 상승률이 크게 둔화되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급등(원화 가치 하락)하다보니 달러로 환산한 명목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게 된 것이다. 국민소득 감소가 현실화된다면 2015년 이후 4년만이다. 일각에선 경기 침체에 따른 저성장·저물가·저원화 상황이 더 악화되면 지난해 처음으로 3만달러를 돌파한 1인당 국민소득이 다시 2만달러대로 추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성장률 바닥에 원화가치는 하락
30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원화 가치 하락)으로 올해 평균 환율은 1140원까지 올라갔다. 지난해 평균 환율이었던 1100원30전과 비교하면 3.6%가 올랐다. 연 평균 환율은 당분간 계속 오를 전망이다. 환율이 4월 이후 가파르게 올라 최근에는 줄곧 1190원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달러로 환산한 우리나라 명목 국민총소득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를 상쇄하고도 명목 성장률이 플러스를 유지하려면 실질 성장률과 물가(GDP디플레이터)가 더 많이 올라줘야 한다. 2010년전까지만 해도 연간 명목 성장률이 4~8% 안팎에 달해서 원화 가치가 2~3% 하락하더라도 대체로 국민소득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최근 저성장·저물가로 명목 성장률은 계속 둔화되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외환위기 이후 최저 수준인 3.0%에 그쳤고 이어 올해는 더 낮아질 게 확실시된다. 우선 실질성장률이 지난해의 2.7%보다 더 낮아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2.5%, 정부는 2.6%를 예상하고 있다. 최근엔 이마저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주요 기관들은 잇따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우리나라 실질 GDP 성장률을 2.4%로 낮췄고, 무디스는 2.1%를 제시했다.
◆저성장·저원화 심화되면 3만달러도 흔들
이 와중에 1분기 물가 상승율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6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바닥을 기고 있다. KDI는 올해 GDP디플레이터가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까지 있는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근 보고서에서 대내외 수요 부진이 지속하고 유가는 높은 수준으로 상승한다고 전제한 결과 올해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0.2%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국민소득 감소를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1인당 국민소득이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려면 명목 성장률은 지난해와 같은 3% 수준을 유지하고 남은 기간 평균 원·달러 평균 환율도 1130원 이하를 유지해야 하는데 최근 국내 경기 상황과 대외여건 등을 감안하면 둘다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국민소득이 감소한다면 2015년 이후 4년만이다. 2014년 2만7892달러였던 1인당 국민소득은 이듬해 2만7170달러로 줄어들었다. 당시에는 환율 효과가 컸다. 명목 성장률이 5. 2%에 달했지만 원화가치가 7%가량 하락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가 무너지는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올해 명목 성장률이 2% 초반 수준까지 추락하고 올해 남은 기간 환율이 최근 수준인 1195원만 유지해도 1인당 국민소득은 3만달러 선마저 위태로워진다. 다만 다음달 한은이 국민계정의 기준연도를 변경하면 1인당 국민소득이 상향 조정되기 때문에 웬만큼 상황이 악화되지 않는 한 3만달러 밑으로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은은 5년마다 기준연도를 변경하는데 과거 사례를 보면 회계연도 변경 후에는 과거 연도의 성장률이 소폭 상향조정됐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
◆성장률 바닥에 원화가치는 하락
30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원화 가치 하락)으로 올해 평균 환율은 1140원까지 올라갔다. 지난해 평균 환율이었던 1100원30전과 비교하면 3.6%가 올랐다. 연 평균 환율은 당분간 계속 오를 전망이다. 환율이 4월 이후 가파르게 올라 최근에는 줄곧 1190원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달러로 환산한 우리나라 명목 국민총소득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를 상쇄하고도 명목 성장률이 플러스를 유지하려면 실질 성장률과 물가(GDP디플레이터)가 더 많이 올라줘야 한다. 2010년전까지만 해도 연간 명목 성장률이 4~8% 안팎에 달해서 원화 가치가 2~3% 하락하더라도 대체로 국민소득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최근 저성장·저물가로 명목 성장률은 계속 둔화되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외환위기 이후 최저 수준인 3.0%에 그쳤고 이어 올해는 더 낮아질 게 확실시된다. 우선 실질성장률이 지난해의 2.7%보다 더 낮아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2.5%, 정부는 2.6%를 예상하고 있다. 최근엔 이마저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주요 기관들은 잇따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우리나라 실질 GDP 성장률을 2.4%로 낮췄고, 무디스는 2.1%를 제시했다.
◆저성장·저원화 심화되면 3만달러도 흔들
이 와중에 1분기 물가 상승율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6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바닥을 기고 있다. KDI는 올해 GDP디플레이터가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까지 있는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최근 보고서에서 대내외 수요 부진이 지속하고 유가는 높은 수준으로 상승한다고 전제한 결과 올해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0.2%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국민소득 감소를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1인당 국민소득이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려면 명목 성장률은 지난해와 같은 3% 수준을 유지하고 남은 기간 평균 원·달러 평균 환율도 1130원 이하를 유지해야 하는데 최근 국내 경기 상황과 대외여건 등을 감안하면 둘다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국민소득이 감소한다면 2015년 이후 4년만이다. 2014년 2만7892달러였던 1인당 국민소득은 이듬해 2만7170달러로 줄어들었다. 당시에는 환율 효과가 컸다. 명목 성장률이 5. 2%에 달했지만 원화가치가 7%가량 하락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가 무너지는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올해 명목 성장률이 2% 초반 수준까지 추락하고 올해 남은 기간 환율이 최근 수준인 1195원만 유지해도 1인당 국민소득은 3만달러 선마저 위태로워진다. 다만 다음달 한은이 국민계정의 기준연도를 변경하면 1인당 국민소득이 상향 조정되기 때문에 웬만큼 상황이 악화되지 않는 한 3만달러 밑으로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은은 5년마다 기준연도를 변경하는데 과거 사례를 보면 회계연도 변경 후에는 과거 연도의 성장률이 소폭 상향조정됐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