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우의 부루마블] 전열 가다듬는 '게임업계'…게임 중독 장기전 돌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공세로 맞서면서 반성의 목소리
수익에만 집중, 산업 전반 살필 것
"국민 신뢰 얻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
"복지부동 복지부 아닌 국민 설득해야"
수익에만 집중, 산업 전반 살필 것
"국민 신뢰 얻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
"복지부동 복지부 아닌 국민 설득해야"
![[윤진우의 부루마블] 전열 가다듬는 '게임업계'…게임 중독 장기전 돌입](https://img.hankyung.com/photo/201905/01.19777372.1.jpg)
WHO 결정에 대한 관심은 뜨거웠다. 일주일 간 1500개 넘는 언론 보도가 쏟아졌고 WHO의 결정에 반대하는 세미나(콘퍼런스)도 10개 이상 열렸다. 찬반 의견이 맞서는 만큼 쟁점도 다양했다. 현대판 마녀사냥이라는 게임업계와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복지부가 맞섰다.
게임업계는 총공세로 맞서고 있다. 89개 게임 단체가 공동대책위를 꾸렸고 협회들은 반대 성명을 쏟아내고 있다. 복지부와 의학계를 저격하는 날선 비판도 시작됐다. 의학계와 복지부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게임을 질병으로 몰고 있다는 것. 남궁훈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일부 정신과 의사들의 잘못된 진단은 우리 사회 곳곳에 존재하는 암을 키우게 될 것"이며 "게임을 범인으로 모는 그들이 바로 범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갈등이 커지자 국무조정실이 중재에 나섰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충분한 논의를 통해 건전한 게임 이용 문화를 정착시키겠다"며 "게임산업을 발전시키는 지혜로운 해결 방안을 찾겠다"고 했다. 국조실은 복지부·문체부·교육부·여가부·통계청·게임업계·의료계·전문가·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했다.
공동대책위의 발대식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게임산업과 문화가 죽었다는 의미로 상복을 입고 반성과 새 출발을 선언했다. 20대 대학생이 '게임 자유선언'을 낭독한 것도 같은 의미다.
게임업계를 중심으로 "우리가 설득해야 할 대상은 복지부가 아닌 국민"이라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복지부동의 복지부가 아닌 게임 때문에 아이들이 공부를 안 한다고 생각하는 대다수의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부분에서 복지부가 게임업계보다 한 수 위에 있다. 복지부는 시종일관 아이들의 건강과 학업을 걱정한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