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미사일 발사 이후 첫 공식행보 '군수공장 시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군수공장이 밀집한 자강도 강계시와 만포시의 경제시설 시찰에 나섰다. 김 위원장이 공개 활동은 23일 만으로 지난달 9일 단거리 미사일 발사 참관 이후 처음이다.
1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강계트랙터종합공장, 강계정밀기계종합공장, 장자강공작기계공장, 2·8기계종합공장 등 자강도 일대의 공장을 현지지도했다고 전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에 시찰한 이들 공장은 모두 수십년의 역사를 가진 북한의 대표적인 군수공장이다.
강계트랙터종합공장은 포탄과 탄두 부분을 생산하는 북한의 대표적 군수공장으로, 한국 정부가 2016년 9월의 북한 5차 핵실험 등에 대응해 그해 12월 단체 35개, 개인 36명을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할 때 제재 대상에 포함된 곳이다.
김 위원장은 역시 70년의 역사를 가진 강계정밀기계종합공장을 둘러보고 완결된 생산구조와 국산화된 생산체계를 갖추고 첨단과학기술로 장비된 현대적인 공장으로 개건(리모델링)해 세계선진수준에 올려세워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1969년 건설된 만포시의 장자강공작기계공장도 찾아 사회주의경제건설에 이바지할 최신식 기계제품들을 더 많이 생산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김 위원장은 1945년 건설돼 '어머니공장'으로 불리는 2·8기계종합공장에도 들러 지방의 재활용자재로 만든 생필품을 높이 평가했다.
강계정밀기계종합공장은 소총과 기관포의 탄약류를 만드는 공장이며, 2·8기계종합공장은 주로 자동소총, 권총, 고사총, 소형 로켓포, 박격포 등을 생산하는 곳으로 알려졌다. 또 장자강공작기계공장의 경우 대전차유도탄, 지대공미사일, 대구경방사포탄 등을 만드는 '26호공장'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이 군수공장이 밀집한 자강도 강계 등을 찾은 것은 북한이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미국에 새로운 셈법을 갖고 나와야 한다며 태도 변화를 압박해온 그간 흐름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시찰에는 조용원(조직지도부)·유진(군수공업부)·김용수 등 노동당 제1부부장 3명과 현송월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겸 삼지연관현악단 단장, 김 위원장의 의전을 담당한 김창선 국무위 부장, 마원춘 국무위 설계국장 등이 수행했다.
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의 시찰 날짜를 밝히지 않았는데, 6개 부문에 대해 '지도'를 했다는 점에서 자강도 일대에서 한동안 머물려 국정운영을 한 것으로 관측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강계트랙터종합공장, 강계정밀기계종합공장, 장자강공작기계공장, 2·8기계종합공장 등 자강도 일대의 공장을 현지지도했다고 전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에 시찰한 이들 공장은 모두 수십년의 역사를 가진 북한의 대표적인 군수공장이다.
강계트랙터종합공장은 포탄과 탄두 부분을 생산하는 북한의 대표적 군수공장으로, 한국 정부가 2016년 9월의 북한 5차 핵실험 등에 대응해 그해 12월 단체 35개, 개인 36명을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할 때 제재 대상에 포함된 곳이다.
김 위원장은 역시 70년의 역사를 가진 강계정밀기계종합공장을 둘러보고 완결된 생산구조와 국산화된 생산체계를 갖추고 첨단과학기술로 장비된 현대적인 공장으로 개건(리모델링)해 세계선진수준에 올려세워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1969년 건설된 만포시의 장자강공작기계공장도 찾아 사회주의경제건설에 이바지할 최신식 기계제품들을 더 많이 생산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김 위원장은 1945년 건설돼 '어머니공장'으로 불리는 2·8기계종합공장에도 들러 지방의 재활용자재로 만든 생필품을 높이 평가했다.
강계정밀기계종합공장은 소총과 기관포의 탄약류를 만드는 공장이며, 2·8기계종합공장은 주로 자동소총, 권총, 고사총, 소형 로켓포, 박격포 등을 생산하는 곳으로 알려졌다. 또 장자강공작기계공장의 경우 대전차유도탄, 지대공미사일, 대구경방사포탄 등을 만드는 '26호공장'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이 군수공장이 밀집한 자강도 강계 등을 찾은 것은 북한이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미국에 새로운 셈법을 갖고 나와야 한다며 태도 변화를 압박해온 그간 흐름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시찰에는 조용원(조직지도부)·유진(군수공업부)·김용수 등 노동당 제1부부장 3명과 현송월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겸 삼지연관현악단 단장, 김 위원장의 의전을 담당한 김창선 국무위 부장, 마원춘 국무위 설계국장 등이 수행했다.
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의 시찰 날짜를 밝히지 않았는데, 6개 부문에 대해 '지도'를 했다는 점에서 자강도 일대에서 한동안 머물려 국정운영을 한 것으로 관측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