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死 넘나든 탈북 기억마저 희미…치매 여성이 겪은 폭력의 역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신춘문예 장편 당선작
진유라 '무해의 방' 출간
중국 거쳐 남한으로 건너온
북한 여성의 험난한 삶 풀어내
진유라 '무해의 방' 출간
중국 거쳐 남한으로 건너온
북한 여성의 험난한 삶 풀어내

탈북 사실을 숨긴 채 가정을 꾸리고 살던 무해는 ‘초로기 치매’ 진단을 받는다. 진단 후 생존 기간이 5~6년이라는 것을 알게 된 그는 북한에서 자주 먹던 감자 전분으로 만든 농마국수를 만들어 놓는다. 그러고선 홀로 남게 될 딸에게 자신이 탈북자라는 사실을 고백한다. “말이 되기를 기다리고 있던 ‘기억’들이 있었다. 말이 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감정’들이 있었다”는 소설 속 문장이 보여주듯 무해는 자신 안에 기록이 되지 못한 기억들이 있음을 깨닫는다. 생존이 불가능할 정도의 기근 속에서 존엄을 잃고 비참해진 사람들, 탈북을 결심하고 홀로 내달렸던 숲과 검은 압록강, 중국 브로커 집에서 팔리기만을 기다리며 지낸 시간, 장애가 있는 한족에게 팔려간 기억들이다.

광범위한 취재를 바탕으로 구성된 생생한 서사는 무해가 느낀 고통에 깊이 공감하게 하고, 나아가 고통을 넘어서려는 문학적 시도를 보여준다. 폭풍처럼 들이닥치는 기억 속에 주저앉은 무해를 붙드는 것은 결국 작은 공동체 속에서 이뤄지는 자신의 고백기도라는 점은 큰 울림을 준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