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일 글로벌 무역 및 금융의 연계성 확장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구조개혁을 통해 해외발(發) 충격에 대한 국내 경제의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소공로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년 한은(BOK) 국제컨퍼런스' 개회식에 참석해 글로벌 연계성 확대의 성과를 보전하면서도 부정적 영향은 줄이기 위해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로 우선 구조개혁을 꼽았다.

이 총재는 "글로벌 연계성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최근 등장한 '슬로벌라이제이션(slowbalization·세계화의 쇠퇴)'이란 신조어가 말해주듯 글로벌 연계성의 확대가 한계에 다다랐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연계성이 약화될 경우 국제분업과 기술확산이 위축되면서 막대한 조정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무역의존도가 높고 내수기반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신흥국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작지 않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정책과제에 대해 "구조개혁을 꾸준히 추진해 성장잠재력과 일자리 창출 능력을 높이고 경제의 체질도 개선해 나가야 하겠다"며 "거시경제정책의 적절한 운영을 통해 국내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도 만전을 기해야 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중앙은행은 글로벌 연계성 확대로 통화정책 운영 여건이나 파급영향이 크게 달라지고 있는 만큼 통화정책 운영에 개선할 점이 없는지 살펴보고 새 정책수단을 개발하는 데 힘써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경쟁에 뒤쳐진 사람들을 위해 사회안전망을 확대하고, 비교열위 분야의 노동자들이 경쟁력 있는 분야로 원활하게 재배치될 수 있도록 노동시장 관련 제도도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총재는 다만 "이 과정에서 경쟁과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창출이 저해되지 않도록 유의하고, 새로운 승자들이 계속해서 길러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도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하겠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연계성은 이미 상품 뿐 아니라 아이디어, 지식 그리고 혁신이 교류 및 전파되는 중요한 통로가 됐다"며 "이러한 통로가 국가간 무역분쟁으로 인해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세계는 무역분쟁의 해법을 조속히 찾아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글로벌 경제의 연계성:영향과 시사점'이란 주제로 오는 4일까지 진행된다. 카르멘 라인하트 미국 하버드대 교수, 찰스 엥겔 미 위스콘신대 교수 등 국제 석학이 기조연설자로 참석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