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가계대출 9년만에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분기 121조 대출…0.6% 줄어
부동산 시장 소강국면 원인
가계대출 연체율은 소폭 상승
부동산 시장 소강국면 원인
가계대출 연체율은 소폭 상승
보험회사의 가계대출 잔액이 9년여 만에 처음으로 줄었다. 지난해 정부가 내놓은 ‘9·13 주택시장 안정대책’의 영향으로 부동산 거래가 줄어든 탓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 말 보험회사들의 가계대출 잔액이 121조원으로 작년 말보다 8000억원(0.6%) 줄었다고 5일 발표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이 5000억원, 보험계약대출은 3000억원 감소했다.
보험사의 가계대출 잔액이 전 분기보다 줄어든 것은 2010년 2분기 이후 약 9년 만이다. 2010년 2분기 보험사의 가계대출은 60조7000억원으로 1분기(60조8000억원) 대비 1000억원 줄었다. 보험사 관계자는 “감소폭이 2010년보다 훨씬 큰 것은 그만큼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6월부터 보험사를 비롯한 2금융권에 총체적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면서 보험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사는 현재 73.1%인 평균 DSR을 70%로 낮춰야 한다. DSR은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대출채권 연체율은 0.30%로 지난해 말 0.29%보다 소폭 올랐다. 대출채권 연체율은 한 달 이상 원리금을 갚지 않은 비율을 뜻한다. 이 중 가계대출 연체율은 0.58%에서 0.61%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특별히 연체가 늘었다기보다 가계대출 잔액이 줄어들면서 분모가 줄어 연체율 수치가 올라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규모는 5812억원으로 집계됐다. 6139억원이던 지난해 말보다 5.3%(327억원) 감소했다. 금융회사는 자산건전성 등급을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분류하고 이에 맞춰 대손충당금을 적립한다. 고정이하여신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자산을 통칭하는 말로 3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채권을 뜻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회사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연체율 등 건전성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라며 “향후 신규 연체 발생 추이 등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 말 보험회사들의 가계대출 잔액이 121조원으로 작년 말보다 8000억원(0.6%) 줄었다고 5일 발표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이 5000억원, 보험계약대출은 3000억원 감소했다.
보험사의 가계대출 잔액이 전 분기보다 줄어든 것은 2010년 2분기 이후 약 9년 만이다. 2010년 2분기 보험사의 가계대출은 60조7000억원으로 1분기(60조8000억원) 대비 1000억원 줄었다. 보험사 관계자는 “감소폭이 2010년보다 훨씬 큰 것은 그만큼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6월부터 보험사를 비롯한 2금융권에 총체적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면서 보험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사는 현재 73.1%인 평균 DSR을 70%로 낮춰야 한다. DSR은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대출채권 연체율은 0.30%로 지난해 말 0.29%보다 소폭 올랐다. 대출채권 연체율은 한 달 이상 원리금을 갚지 않은 비율을 뜻한다. 이 중 가계대출 연체율은 0.58%에서 0.61%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특별히 연체가 늘었다기보다 가계대출 잔액이 줄어들면서 분모가 줄어 연체율 수치가 올라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규모는 5812억원으로 집계됐다. 6139억원이던 지난해 말보다 5.3%(327억원) 감소했다. 금융회사는 자산건전성 등급을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분류하고 이에 맞춰 대손충당금을 적립한다. 고정이하여신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자산을 통칭하는 말로 3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채권을 뜻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회사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연체율 등 건전성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라며 “향후 신규 연체 발생 추이 등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