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플랫폼 서비스 직접 운영하겠다"…'타다'에 맞불 놓는 택시업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비스 개선 방안 '플랫폼 사업' 제시
"플랫폼 택시로 잃어버린 신뢰 회복"
"갈등 원인 택시 서비스 개선 아냐"
"플랫폼 택시로 잃어버린 신뢰 회복"
"갈등 원인 택시 서비스 개선 아냐"
택시업계가 승차 공유 서비스 '타다'와 전면전에 나섰다. 고질적 문제인 서비스(승차거부, 골라 태우기 등)를 개선해 타다를 몰아내겠다는 전략을 들고 나왔다. 택시업계는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플랫폼 사업을 제시했다. 별도의 플랫폼 택시를 만들어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갈등의 근본적 원인이 택시의 서비스 개선이 아니라는 점에서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전체 택시가 아닌 일부 플랫폼 택시의 서비스 개선만 언급한 것을 두고 "결국 타다를 내쫓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서울개인택시조합은 4일 서울중앙지검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택시의 공공성과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인택시 5000대를 별도의 플랫폼 사업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젊고 준비된 개인택시기사와 서비스 개선을 통해 타다와 경쟁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조합은 가맹사업을 함께 할 플랫폼 업체를 공개 모집했다. 카풀을 운영하는 카카오모빌리티, SK텔레콤, 현대자동차 등에게 러브콜을 보낸 셈이다. 사실상 택시를 활용한 '타다 서비스'를 운영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국철희 서울개인택시조합 이사장은 소비자 신뢰 회복을 강조했다. 그는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젊고 준비된 개인택시기사 5000명을 선발해 가맹사업을 통한 플랫폼 택시를 운영하겠다"며 "승차거부, 골라 태우기가 불가능한 공공앱 콜택시를 통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결정에는 '이대로 가다가는 공멸한다'는 택시업계 내부의 위기 의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택시업계는 지난 4월부터 타다 퇴출 릴레이 집회를 진행하고 있지만 여론은 긍정적이지 않다. 주요 고객인 젊은 층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이익만 앞세우는 택시업계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다. 택시업계를 기득권으로 보는 시각도 많다.
모빌리티 업계는 택시업계의 주장에 대해 "타다를 쫓아내기 위한 꼼수"라는 반응이다. 택시업계가 중소기업 기술을 착취하는 대기업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결국 짝퉁 타다를 만들어 기존 타다를 내쫓겠다는 것 아닌가"라며 "여전히 타다만 없어지면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눈 앞에 보이는 문제에만 집중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플랫폼 택시는 타다를 포함한 승차 공유 서비스를 택시업계 내부로 흡수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별도의 플랫폼 대신 제반환경(차량과 기사 등)이 갖춰진 택시업계가 이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한편 택시업계는 정부에 플랫폼 택시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도 요구했다. 영업용 차량을 5년간 무사고 운행해야 취득할 수 있는 개인택시면허 규정을 1년으로 낮추고, 타다가 사용하는 SUV 차량을 LPG용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해달라고 했다. 휘발유용 SUV 차량에 대한 유류세를 지급해달라는 요구도 있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그러나 이번 갈등의 근본적 원인이 택시의 서비스 개선이 아니라는 점에서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전체 택시가 아닌 일부 플랫폼 택시의 서비스 개선만 언급한 것을 두고 "결국 타다를 내쫓기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서울개인택시조합은 4일 서울중앙지검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택시의 공공성과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인택시 5000대를 별도의 플랫폼 사업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젊고 준비된 개인택시기사와 서비스 개선을 통해 타다와 경쟁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조합은 가맹사업을 함께 할 플랫폼 업체를 공개 모집했다. 카풀을 운영하는 카카오모빌리티, SK텔레콤, 현대자동차 등에게 러브콜을 보낸 셈이다. 사실상 택시를 활용한 '타다 서비스'를 운영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국철희 서울개인택시조합 이사장은 소비자 신뢰 회복을 강조했다. 그는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젊고 준비된 개인택시기사 5000명을 선발해 가맹사업을 통한 플랫폼 택시를 운영하겠다"며 "승차거부, 골라 태우기가 불가능한 공공앱 콜택시를 통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결정에는 '이대로 가다가는 공멸한다'는 택시업계 내부의 위기 의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택시업계는 지난 4월부터 타다 퇴출 릴레이 집회를 진행하고 있지만 여론은 긍정적이지 않다. 주요 고객인 젊은 층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이익만 앞세우는 택시업계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다. 택시업계를 기득권으로 보는 시각도 많다.
모빌리티 업계는 택시업계의 주장에 대해 "타다를 쫓아내기 위한 꼼수"라는 반응이다. 택시업계가 중소기업 기술을 착취하는 대기업과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결국 짝퉁 타다를 만들어 기존 타다를 내쫓겠다는 것 아닌가"라며 "여전히 타다만 없어지면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눈 앞에 보이는 문제에만 집중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플랫폼 택시는 타다를 포함한 승차 공유 서비스를 택시업계 내부로 흡수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별도의 플랫폼 대신 제반환경(차량과 기사 등)이 갖춰진 택시업계가 이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한편 택시업계는 정부에 플랫폼 택시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도 요구했다. 영업용 차량을 5년간 무사고 운행해야 취득할 수 있는 개인택시면허 규정을 1년으로 낮추고, 타다가 사용하는 SUV 차량을 LPG용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해달라고 했다. 휘발유용 SUV 차량에 대한 유류세를 지급해달라는 요구도 있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