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 이동거리 고려해 고양·양주·포천·동두천 특별관리지역 추가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개발 추진…농가 돼지에 잔반급여 금지 검토"
[일문일답] 농식품부 "北 요청 대비 ASF 진단 키트·소독약 등 준비"
북한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해 한반도 유입이 현실화한 가운데, 정부는 북한의 요청이 있을 경우 돼지열병 진단 키트와 소독약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정부는 또 ASF의 전파 매개체로 지목되는 멧돼지의 이동 거리를 고려해 경기도와 강원도의 기존 10개 시·군 접경지역 외에 경기 고양, 양주, 포천, 동두천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혈청검사에 나서기로 했다.

다음은 오병석 식품산업정책실장 등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와의 일문일답.

-- 북한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상황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나.

▲ 북한이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보고한 것처럼, 추가 보고나 정보가 있는지 OIE 파견 직원을 통해 매일 상황을 전파받고 있다.

OIE 관계자로부터도 정보를 받고, 통일부도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있지만, 기존 한 건 이외에 추가로 보고된 바는 없다.

-- 이낙연 국무총리가 3일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북한에서 빠르게 남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는데, 근거는 무엇인가.

▲이 총리는 북한의 방역 수준과 보고 체계 등에 대한 전문가의 우려가 기사로 나오는 것 등을 종합해서 말씀한 것 아닌가 한다.

이 총리는 '방역은 확률 게임이 아니다'라며 한 건이라도 나오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 북한 자강도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후 실제로 국내에서 포획되거나 사살된 멧돼지가 있는가.

▲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다만 사육 농가에 대해서는 혈청검사를 꾸준히 해 왔다.

2015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4천여건 검사해 모두 음성이 나왔는데, 올해 한 해에만 2천여건 검사해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

-- 접경지역 도축장에 대해 우려도 크다.

▲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개성 등 접경지역과 가까운 곳까지 내려올 것을 대비해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다.
[일문일답] 농식품부 "北 요청 대비 ASF 진단 키트·소독약 등 준비"
-- 북한과의 협조는 어떻게 돼가는가.

▲ 통일부가 방역이나 질병에 대해 협업하자고 수차례 북측에 보냈다.

북측도 이 질병의 위급성과 질병에 대해서 이해하고 심사숙고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는 북한이 지원을 요청할 경우 필요한 진단 장비, 키트, 소독약 소독 장비 등 줄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준비하고 있다.

통일부가 정확하게 접수하고, 통보해 오면 파악해서 준비할 계획이다.

그러나 북한에서 아직 (우리에게) 반응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렇다 할 답변이 없다고 전해 들었다.

-- 혈청검사는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가.

▲ 혈청검사는 농장당 8마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항체와 항원을 함께 검사하기 때문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지나간 것인지 아니면 양성인지를 다 보고 있다.

모두 음성으로 나왔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아직 국내에 침투를 안 했다고 볼 수 있다.

-- 멧돼지가 접경지역에서 어느 정도로 남북을 오가는가.

▲ 국방부는 휴전선 철조망에 센서가 달려 있고, 열 감지 장치와 미확인 지뢰도 있을뿐더러, 24시간 감시 체계가 있어 멧돼지가 땅을 파거나 구멍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했다.

혹시라도 강을 통해 남하할 가능성 때문에 국토부·국방부와 협의 중이다.

-- 음식물 찌꺼기를 급여하는 농가에 대한 대책은.
▲ 잔반은 80도 이상에서 30분 가열하게 돼 있다.

그러나 한돈협회나 전문가들은 가열 이후 보관 과정에서 오염의 우려가 있어서 대책을 환경부와 협의 중이다.

자가 급여 농가가 사료로 전환할 때 필요한 사료 구입 자금이나 시설 지원도 검토하고 있다.

추후 자가 급여를 가급적 금지하려는 생각이 있다.

--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연구 계획은 있는가.

▲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개발 준비를 하고 있다.

스페인 등 개발을 시도하는 외국과 연계해 백신을 개발하려고 준비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