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통사에 5G 영업허가…"美 압박해도 갈 길 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中정부, 차이나모바일 등 4개사에 영업허가…상용화 일정 앞당겨
경기 부양·화웨이 살리기 등 다목적 포석…美 제재 영향 변수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이 미중 갈등의 최전선으로 부상한 가운데 중국이 자국 주요 이동통신업체의 5G 영업을 허가했다.
6일 펑파이(澎湃)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이날 오전 이동통신 3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과 중국라디오텔레비전인터넷에 각각 5G 영업허가증을 발급했다.
이통사들은 조만간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상용화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중국 업계에서는 8월께 일반 고객들이 5G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의 5G 상용화 일정은 중국의 기존 예고보다 앞당겨진 것이다.
공업정보화부는 당초 2016∼2018년 전국 주요 도시에서 5G 기술 테스트를 하고 올해 일부 사업자들에게 '임시 영업허가증'을 내줘 안정적 운영 여부를 점검하고 나서 내년 정식 상용화에 들어간다는 방침을 세워둔 바 있다.
중국이 5G 상용화 일정을 앞당긴 것을 두고 미중 무역 갈등 격화 속에서 5G 관련 투자를 조기 집행하도록 해 자국 경기를 부양하는 한편, 미국의 강력한 압박으로 고사 위기에 처한 자국 통신 기업 화웨이(華爲)를 돕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미국의 '5G 굴기'를 집요하게 견제해도 계획했던 발전 노선을 흔들림 없이 걸어가겠다는 뜻을 대내외에 천명했다는 해석도 있다.
경제지 차이신(財新)은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중국 3대 이통사가 올해만 320억 위안(약 5조4천500억원)을 들여 7∼8만개의 기지국을 세울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5G 네트워크 구축 핵심 사업자인 화웨이도 이날 낸 성명에서 "작년 4월부터 중국 40개 도시에서 3대 이통사와 더불어 도심, 실내, 고속도로, 지하철 등 다양한 장소에서 대규모 상용화 서비스 시험을 해 왔다"며 "시험 결과 모두 상용화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중국이 올해 5G 상용화 서비스를 개시해도 성숙한 수준의 5G 서비스를 공급하려면 향후 최소 2∼3년의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3대 이통사가 향후 3년간 600만개까지 5G 기지국을 설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올해 상용화를 개시해도 실제 대규모 투자는 내년과 내후년에 집중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5G 네트워크 구축 사업이 순조로울 수 있을지는 미국의 제재로 공급망 붕괴 위기에 처한 화웨이가 얼마나 제 역할을 해 줄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의 5G 인프라 구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화웨이가 미국 정부의 제재 대상이 돼 반도체 등 핵심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됨에 따라 중국의 5G 구축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애널리스트인 에디슨 리는 최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중국이 설령 5G 라이선스를 발급한다고 해도 나는 그 나라의 통신 사업자들이 화웨이 없이 빠른 속도로 건설을 해낼 수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연합뉴스
경기 부양·화웨이 살리기 등 다목적 포석…美 제재 영향 변수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이 미중 갈등의 최전선으로 부상한 가운데 중국이 자국 주요 이동통신업체의 5G 영업을 허가했다.
6일 펑파이(澎湃)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이날 오전 이동통신 3사인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차이나유니콤과 중국라디오텔레비전인터넷에 각각 5G 영업허가증을 발급했다.
이통사들은 조만간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상용화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중국 업계에서는 8월께 일반 고객들이 5G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의 5G 상용화 일정은 중국의 기존 예고보다 앞당겨진 것이다.
공업정보화부는 당초 2016∼2018년 전국 주요 도시에서 5G 기술 테스트를 하고 올해 일부 사업자들에게 '임시 영업허가증'을 내줘 안정적 운영 여부를 점검하고 나서 내년 정식 상용화에 들어간다는 방침을 세워둔 바 있다.
중국이 5G 상용화 일정을 앞당긴 것을 두고 미중 무역 갈등 격화 속에서 5G 관련 투자를 조기 집행하도록 해 자국 경기를 부양하는 한편, 미국의 강력한 압박으로 고사 위기에 처한 자국 통신 기업 화웨이(華爲)를 돕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미국의 '5G 굴기'를 집요하게 견제해도 계획했던 발전 노선을 흔들림 없이 걸어가겠다는 뜻을 대내외에 천명했다는 해석도 있다.
경제지 차이신(財新)은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중국 3대 이통사가 올해만 320억 위안(약 5조4천500억원)을 들여 7∼8만개의 기지국을 세울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5G 네트워크 구축 핵심 사업자인 화웨이도 이날 낸 성명에서 "작년 4월부터 중국 40개 도시에서 3대 이통사와 더불어 도심, 실내, 고속도로, 지하철 등 다양한 장소에서 대규모 상용화 서비스 시험을 해 왔다"며 "시험 결과 모두 상용화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중국이 올해 5G 상용화 서비스를 개시해도 성숙한 수준의 5G 서비스를 공급하려면 향후 최소 2∼3년의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3대 이통사가 향후 3년간 600만개까지 5G 기지국을 설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올해 상용화를 개시해도 실제 대규모 투자는 내년과 내후년에 집중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5G 네트워크 구축 사업이 순조로울 수 있을지는 미국의 제재로 공급망 붕괴 위기에 처한 화웨이가 얼마나 제 역할을 해 줄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의 5G 인프라 구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화웨이가 미국 정부의 제재 대상이 돼 반도체 등 핵심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게 됨에 따라 중국의 5G 구축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애널리스트인 에디슨 리는 최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중국이 설령 5G 라이선스를 발급한다고 해도 나는 그 나라의 통신 사업자들이 화웨이 없이 빠른 속도로 건설을 해낼 수 있다고 보지 않는다"며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