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김원봉 공적' 재거론…'서훈논란' 다시 부상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충일 추념사서 "김원봉의 조선의용대, 광복군에 편입돼 독립운동 역량집결"
現기준으론 '北정권수립 기여' 때문에 서훈 불가…보훈처 "의견수렴 필요" 입장 문재인 대통령이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독립유공자 지정 여부를 놓고 논란이 제기됐던 약산 김원봉(1898∼1958)의 '공적'을 거론함에 따라 관련 논란이 다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사에서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 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고 말했다.
이런 언급은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10일 광복군을 앞세워 일제와의 전면전을 선포했다"며 광복군의 역할을 부각한 대목에서 나왔다.
문 대통령이 김원봉의 공적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문 대통령은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인 2015년 8월15일 페이스북을 통해 그동안 독립유공자 서훈에서 제외된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들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김원봉을 직접 거론한 바 있다. 특히 "김구 현상금 5만엔, 김원봉 현상금 8만엔"이라는 영화 '암살'의 대사를 언급하고 "광복 70주년을 맞아 약산 김원봉 선생에게 마음속으로나마 최고급의 독립유공자 훈장을 달아 드리고 술 한 잔을 바치고 싶다"고 말했다
1898년 경남 밀양에서 출생한 김원봉은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해 국내 일제 수탈 기관 파괴와 요인암살 등 무정부주의 투쟁을 전개했다.
1942년 광복군 부사령관에 취임했으며,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위원 및 군무부장도 지냈다.
그러나 광복 이후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린다. 김원봉은 1948년 월북한 이후 그해 8월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이 됐고, 같은 해 9월 국가검열상에 올랐다.
이후로도 노동상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등 북한 정권에서 고위직을 지냈지만, 1958년 김일성의 옌안파 제거 때 숙청됐다.
2015년 최동훈 감독의 영화 '암살'에서 조승우, 이듬해 김지운 감독의 영화 '밀정'에서 이병헌이 각각 김원봉과, 김원봉을 모델로 한 가상 인물 '정채산'으로 분해 카리스마 넘치는 무장 독립운동 리더의 이미지를 그려내면서 그의 삶은 근래 활발한 조명을 받고 있다.
특히 국가보훈처 자문기구인 '국민중심 보훈혁신위원회'가 올해 초 김원봉을 3·1절 계기에 독립유공자로 포상할 것을 권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치권 등에서는 뜨거운 찬반논쟁까지 벌어졌다.
보훈처는 관련 논란에 대해 김원봉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하면 북한 정권 출범에 관여한 인물도 유공자로 선정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입장을 취해왔다.
현행 독립유공자 서훈 기준으로는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인물은 유공자 포상이 불가능하다.
보훈처는 지난해 독립유공자 선정기준을 개정해 '광복 후 행적 불분명자'(사회주의 활동 경력자)도 포상할 수 있도록 했지만, '북한 정권수립에 직접 기여하지 않은' 인물이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피우진 보훈처장은 지난 4월 초 국회에 출석해 김원봉 서훈 여부에 대해 "지금으로서는 좀 더 의견을 수렴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現기준으론 '北정권수립 기여' 때문에 서훈 불가…보훈처 "의견수렴 필요" 입장 문재인 대통령이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독립유공자 지정 여부를 놓고 논란이 제기됐던 약산 김원봉(1898∼1958)의 '공적'을 거론함에 따라 관련 논란이 다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사에서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 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고 말했다.
이런 언급은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10일 광복군을 앞세워 일제와의 전면전을 선포했다"며 광복군의 역할을 부각한 대목에서 나왔다.
문 대통령이 김원봉의 공적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문 대통령은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인 2015년 8월15일 페이스북을 통해 그동안 독립유공자 서훈에서 제외된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들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김원봉을 직접 거론한 바 있다. 특히 "김구 현상금 5만엔, 김원봉 현상금 8만엔"이라는 영화 '암살'의 대사를 언급하고 "광복 70주년을 맞아 약산 김원봉 선생에게 마음속으로나마 최고급의 독립유공자 훈장을 달아 드리고 술 한 잔을 바치고 싶다"고 말했다
1898년 경남 밀양에서 출생한 김원봉은 1919년 의열단을 조직해 국내 일제 수탈 기관 파괴와 요인암살 등 무정부주의 투쟁을 전개했다.
1942년 광복군 부사령관에 취임했으며,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위원 및 군무부장도 지냈다.
그러나 광복 이후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린다. 김원봉은 1948년 월북한 이후 그해 8월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이 됐고, 같은 해 9월 국가검열상에 올랐다.
이후로도 노동상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위원장 등 북한 정권에서 고위직을 지냈지만, 1958년 김일성의 옌안파 제거 때 숙청됐다.
2015년 최동훈 감독의 영화 '암살'에서 조승우, 이듬해 김지운 감독의 영화 '밀정'에서 이병헌이 각각 김원봉과, 김원봉을 모델로 한 가상 인물 '정채산'으로 분해 카리스마 넘치는 무장 독립운동 리더의 이미지를 그려내면서 그의 삶은 근래 활발한 조명을 받고 있다.
특히 국가보훈처 자문기구인 '국민중심 보훈혁신위원회'가 올해 초 김원봉을 3·1절 계기에 독립유공자로 포상할 것을 권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치권 등에서는 뜨거운 찬반논쟁까지 벌어졌다.
보훈처는 관련 논란에 대해 김원봉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하면 북한 정권 출범에 관여한 인물도 유공자로 선정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입장을 취해왔다.
현행 독립유공자 서훈 기준으로는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인물은 유공자 포상이 불가능하다.
보훈처는 지난해 독립유공자 선정기준을 개정해 '광복 후 행적 불분명자'(사회주의 활동 경력자)도 포상할 수 있도록 했지만, '북한 정권수립에 직접 기여하지 않은' 인물이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피우진 보훈처장은 지난 4월 초 국회에 출석해 김원봉 서훈 여부에 대해 "지금으로서는 좀 더 의견을 수렴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